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3-18 16:23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 두 배로 늘린다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93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691128







삼성전자가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을 두 배로 늘린다. 소니를 제치고 이미지센서 시장에서도 1위를 달성하겠


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미지센서는 스마트폰에 듀얼카메라에 채택되고, 자동차에도 카메라 장착이 늘어나면


서 수요가 폭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D램, 낸드플래시 메모리에 이어 이미지센서가지 '1등 목록'을 구성하


면서 명실상부한 종합반도체 1등 기업으로 업그레이드될 전망이다. 이미지센서 시장 1위 소니의 300mm 이


미지센서 생산용량은 월 10만장 수준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가 13라인 전환까지 마치면 소니증설을 고려


하더라도 동등한 수준 그이상의 생산용량을 확보하게된다. 삼성전자가 이미지센서를 대거 증설하는 이유는


자신감이 붙었기 때문이다. 내부평가를 통해 기술은 이미 소니에 근접한 수준까지 올라온것으로 판단했다. 


고객사도 늘고있다. 삼성전자 이미지센서를 구입하는 외부고객사는 현재 10곳을 넘어섰다. 















이제 이미지센서 시장까지 ㄷㄷㄷ  

그나마 일본 소니 희망줄 가운데 하나가 저거였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3-18 16:29
   
번개머리 18-03-18 16:32
   
들리는 말로는 삼성이 라인을 이미지센서쪽으로 전환하는 이유가
일단 수주를 받고 전환하고 있다는 소리가 있더군요
이미지 센서쪽으로 소니하고 경쟁이 치열할걸로 예상이 된다는 군요
     
스크레치 18-03-18 16:38
   
삼성전자에 비해 구멍가게 수준인 소니가 그나마 발버둥치는 분야인데

발버둥 그만치라고 할 모양입니다 ㅋㅋ
     
행복찾기 18-03-19 13:30
   
현재 삼성의 이미지센서 기술은 소니의 95% 수준이라고 하더군요..
즉, 기술격차가 거의 없어졌다고보면 되고요,,
삼성이 지속적으로 기술을 개발하면 수년 내로 소니와 비슷하거나 추월할 것이라고 보여집니다.

거기에 삼성의 영업력과 원가절감 능력이 결합되면,,
소니.. 똥줄타겠네요.
답없는나라 18-03-18 16:35
   
센서, tv, 의료기기, 금융, 게임, 엔터 등등
센서가 가장 돈이 되지만 아직 캐쉬카우 있어요.
테스크포스 18-03-18 17:28
   
참..적의 입장에서 보면 정말 무서운 삼성;
부엉이Z 18-03-18 17:47
   
소니 이 기사뜬날 주식내려갔을듯..........ㅋㅋㅋ
노브레인 18-03-18 20:22
   
소니 숨통을 마저 끈을라고 하는듯, 무섭다 삼성.
호갱 18-03-19 09:41
   
이미지 센서 별로 큰 시장이 아닙니다...
그러니 삼성이 장악해도 회사 망하고 이런상황 안나옵니다.
게다가 삼성은 cmos이미지센서만 만들겁니다.
ccd는 안만들어요.
멀리뛰기 21-01-02 09:39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 두 배로 늘린다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00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 두 배로 늘린다 잘 읽었어요~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567
8248 [기타경제] 中 '부동산 불황' 쇼크..관련기업 주가 하루 80% 폭… (6) 굿잡스 01-18 2938
8247 [전기/전자] '없어서 못 판다' ASML EUV 노광장비 내년까지 주문 … (3) 스크레치 03-25 2938
8246 [전기/전자] 삼성 모바일 SoC 점유율 개떡락 (11) 븅아 10-04 2938
8245 주식투자에 좋은 시기 같습니다. (8) 돌아온드론 10-06 2937
8244 국민은행, 국내 첫 '창구 수수료' 부과 추진 (2) 블루하와이 02-14 2937
8243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내주 경기지표도 줄줄이 발… (3) 스쿨즈건0 09-23 2937
8242 [전기/전자] 도시바, 日정부와 담합해 '외국인 투자자 제한' (4) 스크레치 06-11 2937
8241 [전기/전자] 삼성·LG디스플레이, 日과 4세대 OLED 기술 내년 중 개발 완… (7) 스크레치 09-06 2936
8240 [전기/전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코리아’ 아성 지켰다 (5) 스크레치 03-04 2936
8239 [전기/전자] 폭스바겐 해프닝서 본 韓 배터리 위상…글로벌 JV는 딜레… (9) 스크레치 03-06 2936
8238 LG V30 美 출시 완료…V시리즈 처음으로 유럽시장도 노크. (8) 스쿨즈건0 10-12 2935
8237 [전기/전자] 글로벌파운드리 분할 매각으로 선회.. 삼성전자 반사이… (6) 진구와삼숙 03-11 2935
8236 [기타경제] 노무현의 균형발전 1.0 김경수의 균형발전 2.0 (12) 너를나를 10-04 2935
8235 경제민주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문가분들 계신가요??? (14) 간성이 03-22 2934
8234 [기타경제] 주요 선진 25개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5) 스크레치 06-30 2934
8233 [전기/전자]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34조원에 인수 추진 (8) Architect 07-16 2934
8232 부동산 뉴스나 구글링 포털의 답변이 곧 정답은 아니다. (2) 김PD 01-23 2933
8231 [금융]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상 (3) 트랙터 02-03 2933
8230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 두 배로 늘린다 (11) 스크레치 03-18 2933
8229 [기타경제] 일본 게임 불매관련 (9) 화폐금융론 07-26 2933
8228 [자동차] 전기차 기술력에 관해서 (18) 루이14 08-03 2933
8227 [자동차] 현대차 파쿠르 로봇 '보스턴 다이나믹스' 주인 물… (4) 푹찍 11-11 2933
8226 삼성전자, 꿈의 반도체 M램 내년 상용화 (4) 스크레치 05-25 2932
8225 [기타경제] 일본 3개 월째 수출 감소? (12) 공평 03-18 2932
8224 [잡담] 중국 무섭지 않나요? (18) 알파2021 06-07 2932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