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7-29 19:34
[전기/전자] 인텔 7나노 상용화 지연 뒷 이야기
 글쓴이 : 식후산책
조회 : 2,924  

해외에서는 TSMC 얘기만, 국내에서만 삼성 얘기 나와서 TSMC로 갈것 같다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노원남자 20-07-29 21:06
   
백퍼 티에스엠시로 가겠죠..삼성이 진짜 2,3단계 초격차로 경쟁우위로 가지못하는한 결국 고객과경쟁안하는 하청업체로 선안넘을회사한테 갈수밖에요.
틀딱아임다 20-07-29 21:26
   
삼성이냐 TSMC로 갈것이냐...관심 많았는데 정리를 해주시네요.
감사합니다.
가세요 20-07-29 22:03
   
확실히 it전문 기자들이 소식이 빠르고 정확한거 같아요. 디일렉 평소에도 잘 보고 있습니다
totos 20-07-30 07:39
   
뭐. 별 내용이 없네요.

GPU는 당연히 TSMC가 수주하는게 기정사실이였고 그럴만한 이유가 있습니다.
TSMC의 7nm와 5nm는 셀밀도가 높아요.

인텔 GPU는 서버 연산용으로 나오는건데 셀밀도가 높은 파운드리에서 제조하면 전성비가 우수해집니다.
특히 서버 시장에서는 전성비 벤치마크가 있고 에너지 효율에 민감합니다.
엔비디아 암페어가 TSMC 7nm에서 제조되니깐 전성비는 어느정도 맞춰야 됩니다.
TSMC의 7nm에서 하프노드 6nm라면 셀을 더 줄여서 밀도를 더 높혔을것으로 보입니다.

그에 비해서 삼성은 7nm의 하프노드가 5nm인데 (파생 6nm도 하프노드) TSMC에 비해 뛰어나진 않습니다.
대신 삼파 3nm가 풀노드, TSMC는 3nm가 하프노드입니다.
퀄컴 피셜로는 765G AP에서 TSMC 7nm보다 삼파 7nm가 칩 사이즈 5% 더 작다고 합니다만 연산용 GPU 같은 빅칩은 셀밀도가 무조건 높은쪽이 성능을 더 많이 뽑아냅니다.

서버 시장에서 엔비디아와 경쟁하려면 삼성 7nm와 5nm 세대는 적합하지 않은거에요.
인텔 서버 시장에 엔비디아가 강력한 경쟁자라서 힘 빡 주고 GPU로써는 최고밀도의 공정으로 제조하는거구요.
애초에 셀밀도가 더 낮은 삼성 파운드리가 수주할 물건이 아니였습니다.
totos 20-07-30 07:45
   
삼성이 지금 평택 고덕 파운드리를 미친듯이 확장하고 있잖아요?
고객사도 없다는데 (현실로는 10nm 이하 캐파는 꽉꽉 차서 신규 주문을 못 받는 상황) 단일 규모로는 세계 최대 규모인 상태에서도 계속 파운드리 짓는 이유가 있습니다.
여기서 인텔 7nm에 해당하는 CPU 생산할겁니다.
일본 소재 기업들은 이미 대량으로 납품 계약 들어갔어요.
노무라에서 삼성이 인텔 CPU 수주할꺼라는거 빈말 아닙니다.
디지타임즈에 흘리는 내용들 믿지 마시고 차분하게 지켜보세요.
삼성 6nm에서 인텔 아톰 SOC는 수주를 해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전략의 삼성이 2030년에 파운드리 1위 할꺼라고 하는게 괜한 이유가 아닙니다.
국뽕도 아니구요.
     
kira2881 20-07-30 08:51
   
말씀하신데로 삼성이 정말 인텔 파운더리 들어가면 시장 파급력 장난 아니겠네요
     
iamafool 20-08-15 23:55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12 09:21
   
[전기/전자] 인텔 7나노 상용화 지연 뒷 이야기 잘 읽었어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37
8234 경제민주화에 대한 질문입니다. 전문가분들 계신가요??? (14) 간성이 03-22 2933
8233 [전기/전자] 삼성전자·SK하이닉스, ‘반도체 코리아’ 아성 지켰다 (5) 스크레치 03-04 2933
8232 [전기/전자] 도시바, 日정부와 담합해 '외국인 투자자 제한' (4) 스크레치 06-11 2933
8231 [전기/전자] 영국, '엔비디아 ARM 인수' 국가안보 차원에서 조… 키륵키륵 11-17 2933
8230 [기타경제] "백화점 한국인 넘쳐난다" 수퍼엔저에 일본 싹쓸이 (6) 부엉이Z 11-21 2933
8229 [전기/전자]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생산 능력 두 배로 늘린다 (11) 스크레치 03-18 2932
8228 [기타경제] 주요 선진 25개국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5) 스크레치 06-30 2932
8227 [자동차] 전기차 기술력에 관해서 (18) 루이14 08-03 2932
8226 [기타경제] [주요국] 1인당 육류 소비량, 수산물 소비량 (13) 스크레치 07-14 2931
8225 [기타경제] 일본 3개 월째 수출 감소? (12) 공평 03-18 2931
8224 부동산 뉴스나 구글링 포털의 답변이 곧 정답은 아니다. (2) 김PD 01-23 2930
8223 삼성전자, 꿈의 반도체 M램 내년 상용화 (4) 스크레치 05-25 2930
8222 [금융] 미국 인플레이션 우려와 금리인상 (3) 트랙터 02-03 2930
8221 [기타경제] 노무현의 균형발전 1.0 김경수의 균형발전 2.0 (12) 너를나를 10-04 2930
8220 [자동차] 현대차 파쿠르 로봇 '보스턴 다이나믹스' 주인 물… (4) 푹찍 11-11 2930
8219 [전기/전자] 글로벌파운드리 분할 매각으로 선회.. 삼성전자 반사이… (6) 진구와삼숙 03-11 2929
8218 [잡담] 중국 무섭지 않나요? (18) 알파2021 06-07 2929
8217 [전기/전자]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34조원에 인수 추진 (8) Architect 07-16 2929
8216 3분기 달러대비 원화가치 4.6%↑...2년3개월 만에 최고치 (5) 스테판커리 10-19 2928
8215 [기타경제] 월급쟁이들의 전쟁 : 연말정산 (6) 노는언니 12-13 2928
82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마트폰 자동 통역 기술이 세계 … (5) zone 08-24 2927
8213 [과학/기술] 한국, 탈석탄화 관련 특허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3) 귀요미지훈 04-26 2927
8212 북한도발에 美방산주 "훨훨"···韓 방산주는 "소외" (3) 스쿨즈건0 09-10 2926
8211 美 국제무역위 "삼성·LG세탁기로 美산업 피해" 판정. (11) 스쿨즈건0 10-07 2926
8210 [기타경제] "올해 LNG선 50척 발주된다"…韓 조선업 수혜 기대감 (7) 스크레치 08-28 2926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