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11-08 10:14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글쓴이 : 보미왔니
조회 : 3,000  

(1) 세계경제포럼 : 국가경쟁력 순위 작년보다 2단계 오른 13위

여러분이 잘 아시듯 세계경제포럼(WEF)에서는 해마다 세계 각국의 국가경쟁력을 측정해 그 순위를 발표하고 있습니다.
국제기구와 각국 정부 통계, 그리고 기업 CEO 대상 설문조사 등에 기초해 그 순위를 매긴하고 합니다.
지난 10월에 발표된 올해의 국가경쟁력 순위를 보면 한국이 지난해보다 2단계 오른 13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보수언론들은 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우리 경제가 거의 궤멸 직전의 위험한 상태에 빠진 듯 난리를 떱니다.
그런데 세계경제포럼에서 작성한 국가경쟁력 순위는 계속 상승해 왔습니다.
2017년 17위, 2018년 15위였던 것이 2019년에는 13위로 상승해 왔으니까요.
그렇다면 세계경제포럼은 현실을 전혀 모르는 바보들의 집단이라는 말인가요?

(2) 스탠더드앤드푸어사(S&P) : 한국 국가신용등급 AA 유지

국제 신용평가사 S&P는 한국의 신용등급을 기존과 같이 AA로 평가했습니다.
그 근거로 최근의 한국 경제 성장세가 다른 고소득국가보다 탄탄하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보수언론은 우리나라 성장률이 2% 아래로 떨어지게 생겼다고 난리를 떠는데, S&P사는 왜 그런 말을 하고 있을까요?

궁금하게 생각되면 Economist지에 실린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한 번 읽어 보세요.
2019년 전망치를 보면 미국 2.2%, 일본 1.0%, 영국 1.1%, 캐나다 1.6%, 유로지역 1.3%입니다.
우리가 세계 최강 경제대국이라고 생각하는 독일은 불과 0.5%에 지나지 않구요.

우리와 비슷한 처지에 있는 동아시아의 네 마리 용도 비슷한 처지입니다.
홍콩 0.5%, 싱가포르 0.7%의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니까요.
예외적으로 타이완이 상대적으로 높은데, 이것도 불과 2.4%에 지나지 않습니다.
현 정부의 경제정책이 성공적이라고 생각하는 건 아니지만, 지금의 상황에서 2% 내외의 성장률을 갖고 너무 심하게 시비를 거는 건 볼성사나운 일입니다.

(3) New York 시장 : 한국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5년물) 27bp로
2008년 이래 최저수준


어제 퇴근길에 라디오 뉴스에서 이 소식을 들었는데 오늘 아침 신문을 보니 거의 보도가 되지 않았더군요.
CDS 프리미엄이란 어떤 국가가 발행한 채권원금이 상환되지 못할 경우에 대비한 보험료 성격의 수수료를 뜻합니다.
따라서 국가부도의 위험이 클수록 이 프리미엄이 더 높은 수준으로 올라가기 마련입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했을 때 한국의 프리미엄은 무려 669bp나 되는 수준이었습니다.
그 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다가 최근 27bp라는 최저치를 기록하게 된 것입니다.
그만큼 우리 경제에 대한 해외신인도가 높아졌음을 의미하는데, 국내 경기 부진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한국경제의 기초체력이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셈입니다.

(4) 세계은행(World Bank) : 한국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기업하기 좋은 나라

세계은행이 발행한 “2020년 기업환경평가”에서 평가 대상이 된 190개국 중 우리나라가 5위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010년 16위이던 것이 2014년 5위로 올랐고, 그 뒤 계속 5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것입니다.
기업하는 사람의 천국처럼 자주 인용되는 미국이 6위, 독일 22위 그리고 일본이 29위입니다.




일본 진짜 망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눈팅중 19-11-08 18:49
   
지정학적 불리함이 긍정적인 요소에서 -를 추가하는 것으로 작용 합니다.
북한 리스크를 제거하면 신용도는 트리플A- 까지도 가능했을 나라입니다.
그 신용도를 기초로 더 가치가 있는 나라로 인식되고 있을 나라인데.
아쉽고 안타까운 일입니다.
개 거지같은 주변국들로 인해 날개를 제대로 펴 본일이 없으니
멀리뛰기 21-01-02 18:10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12 08:30
   
[기타경제] 해외에서 바라보는 긍정적인 한국 경제 지표 멋진글~
 
 
Total 16,5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759
8152 [과학/기술] 국내연구진, 세계 최초 투명 반도체 태양전지 개발 (3) 귀요미지훈 11-12 3124
8151 [기타경제] '무신사', 국내 10번째 유니콘 기업으로... (5) 귀요미지훈 11-12 3015
8150 [기타경제] 조선업 10월 수주, 中 제치고 압도적 1위..점유율 86% (3) 정봉이 11-12 2101
8149 [과학/기술] 한화에어로, 롤스로이스에 10억달러치 항공엔진 부품 공… (3) 귀요미지훈 11-12 2505
8148 [자동차] 현대차, 첨단 음파기술로 노면소음 잡아 (14) 진구와삼숙 11-11 3605
8147 [자동차] 올들어 전기차 수출 2배 ↑ (9) 귀요미지훈 11-11 3538
8146 [기타경제] 롯데, 불매운동에 사상 최악적자~ (33) 보미왔니 11-11 5913
8145 [기타경제] 셀트리온헬스케어 미국시장 진출한다. (2) 눈팅중 11-10 2374
8144 [자동차] E커머스? Car커머스 시대 온다. (2) 눈팅중 11-10 1291
8143 [잡담] 80년도와 19년도 한국 대만 차이 (6) 폭군 11-10 5026
8142 [기타경제] 닛케이 "韓 반도체 소재 국산화해도 경쟁력 없다" 주장 (13) 너를나를 11-10 6114
8141 [전기/전자] 세계 최고 권위 CES에서 삼성과 LG가 일본 털어버린다 (6) 하루두루 11-10 4356
8140 [잡담] 지정학적 이점 살려 외국군 주둔비 받아 GDP 5% 충당 (6) 달구지2 11-10 3140
8139 [기타경제] 문재인정부 2년 반, 국가신용등급 역대 최고 (13) bts4ever 11-09 3626
8138 [기타경제] 삼성물산, 3조3600억 방글라데시 공항터미널 수주 (15) 귀요미지훈 11-09 6106
8137 [잡담] 대만과 한국의 gdp격차가 벌어진 이유 (16) 폭군 11-09 8883
8136 [잡담] 인구 천만명이 넘는 아시아국가 1인당 gdp 순위 (6) 폭군 11-09 6103
8135 [잡담] imf이후 힘들게 내려놓은 환율 명박이가 다시 올려버렸죠 (18) 폭군 11-09 3019
8134 [주식] (스압)주식에 대한 생각들. (11) 눈팅중 11-09 1993
8133 [기타경제] 공식 통계를 믿을 수 있는 나라는? (5) 흐흫흫 11-09 1909
8132 [기타경제] LGD 사무직원 대상 희망퇴직 접수 시작. (7) 눈팅중 11-08 3078
8131 [기타경제] 지적재산권 돈버는나라 순위 (8) 냥냥뇽뇽 11-08 6486
8130 [기타경제] 최근 남미에서의 한국기업들 소식 한토막 (8) 귀요미지훈 11-08 7257
8129 [기타경제] 백악관, 미중 관세철회 합의 중국 발표일뿐 (4) 귀요미지훈 11-08 2564
8128 [전기/전자] LG화학·中 지리차 합작법인 '윤곽' (10) 귀요미지훈 11-08 3107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