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1-18 10:47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1,104  

캡처.JPG


지난 해 7월과 10월 두 차례 내린 바 있는 기준금리를

어제 한국은행 금통위 회의에서 현 1.25%에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인하 의견을 낸 금통위 위원도 전체 7명 중 2명이 있었습니다.




바쁘신 분들을 위해 이번 금리동결 배경 및 금통위의 입장을 요약해 보겠습니다.

(1) 경제 지표가 소폭이나마 개선되고 있는 모습이다
-> 설비투자가 늘고 소비증가 확대, 경기선행지수 상승 등

(2) 작년 우리 경제에 가장 큰 영향을 준 대내 여건이 호전되고 있는 모습이다 
-> 미중무역분쟁 1단계 합의, 반도체 가격 하락세 진정 및 2분기부터 상승 전망

(3)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는 유지하겠으나 거시경제 흐름금융안정 리스크도 고려하겠다
-> 한은총재는 '완화기조 유지' 이 부분을 강조했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 
금리인하 의견이 2표나 나왔음에도 금리동결을 해놓구선 완화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말하니 
시장과 취재를 한 언론 일각에서는 한은이 향후 금리를 인하 하겠다는건지 
인상 하겠다는건지 알쏭달쏭해 하는 모습도 다소 있는 것 같습니다.



보시는 분들마다 해석이 다소 상이할 수도 있는 부분인데 
개인적으로 저는 이렇게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통화정책 완화기조를 유지하겠으나..." 
>>> 현재 경기지표나 대외여건이 호전되고 있어 금리동결을 했으나 
아직 안정권에 들어간 상황이 아니기에 언제든 경제상황, 대외변수 등의 전개상황에 따라 
금리인하를 할 수 있다는 의미로서 시장의 심리위축과 불안도 고려한 표현으로 보입니다.


"거시경제 흐름과 금융안정 리스크도 고려하겠다"
>>> 경기가 회복이 되지 않으면, 성장률과 물가 목표치를 달성하기 어렵다 싶으면
앞서 얘기한 것처럼 금리인하를 하겠는데, 그 반대 상황 즉, 거시경제가 완연히 호전되고
만약 물가가 예상보다 상승할 경우 금리 동결이나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따라 대내적으로는 가계부채 증가와 부실채권 확대, 
대외적으로는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와 차이가 더 벌어질 경우 해외자본의 급격한 이탈 등으로 인한 
금융 불안정 위험성도 고려해야 하기에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표현으로 보입니다. 

즉, 금리의 현상태 유지 또는 인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인하의 경우에도 최대한 보수적으로 하겠다로 이해가 됩니다.





다 풀어놓고 보면 결국 원론적인 얘기를 한 것 같은데
한국은행총재 자리가 자리인만큼 표현이 참 신중해서인지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고 알쏭달쏭 측면이 다소 있긴 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20-01-18 11:00
   
멀리뛰기 21-01-02 18:23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멋진글~
멀리뛰기 21-01-12 08:41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감사합니다.
 
 
Total 16,5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646
8076 [과학/기술] 삼성중공업, '암모니아 연료' 추진 선박 계약 (5) 귀요미지훈 01-17 2287
8075 [자동차] 볼보, 美 배터리팩 조립공장 건설…LG화학 '함박웃음&… (23) 귀요미지훈 01-17 3083
8074 [자동차] '아우라·카니발'로 인도 시장 넓히는 현대·기아… (4) 스크레치 01-17 1892
8073 [전기/전자] 동진쎄미켐 '日규제 맞서 국산화' 포토레지스트 … (8) 스크레치 01-17 3788
8072 [기타경제] 현대중공업, 그리스 원유운반선 2척 수주 (4) 귀요미지훈 01-17 1229
8071 [과학/기술] 삼성전자, 지난해 미국 특허 2위·LG전자 6위 (8) 귀요미지훈 01-17 2213
8070 [자동차] 닛산, 르노와 결별 움직임 (45) 귀요미지훈 01-17 3996
8069 [기타경제] LS전선아시아, 동남아에서 역대 최대 실적 달성 (6) 귀요미지훈 01-17 2507
8068 [전기/전자] 삼성전자 폴더블폰 베트남서 만든다 (19) 스크레치 01-17 5269
8067 [기타경제] 세계 10대 경제대국 현황 (39) 스크레치 01-18 6195
8066 [기타경제] 한국은행, 기준금리 1.25% 동결..그 배경은? (3) 귀요미지훈 01-18 1105
8065 [자동차] 폭스바겐, 중국 3위 배터리업체 지분 20% 매입 (4) 귀요미지훈 01-18 2350
8064 [기타경제] 삼성重, 러시아 쇄빙LNG선 10척 수주 유력 (7) 귀요미지훈 01-18 2793
8063 [잡담] 한국은 못만드는 초고부가가치 선박에 중국도전 (86) TTTTTTT 01-18 6064
8062 [전기/전자] 中BOE 수율 부진… 모토로라 레이저 폴더블 출시 연기 불… (21) 스크레치 01-18 3033
8061 [전기/전자] 삼성 "마이크로 LED TV 300만원대에 내놓을 것" (25) 스크레치 01-18 3374
8060 [기타경제] 日불매가 햇반 0.1% 원료 바꿨다 (23) 스크레치 01-18 4175
8059 [기타경제] 韓조선 3년 연속 세계1위 노린다...반도체처럼 LNG船도 … (23) 스크레치 01-18 3472
8058 [기타경제] 세계 TOP30 부자나라 현황 (2019년) (9) 스크레치 01-18 5540
8057 [잡담] 한국의 심각한 고령화 저출산 문제 중국과 비교. (18) someak 01-18 3604
8056 [잡담] 일베.일뽕 뻑갈 엔화실상 (7) 도다리 01-19 5073
8055 [과학/기술] 한국의 우월한 초격차 기술력에 전세계 모든 기업들이 … (3) 경상도마미 01-19 6272
8054 [전기/전자] 日 JDI의 몰락, 우리는 괜찮을까 (25) 스크레치 01-19 7586
8053 [부동산] 9억 초과 주택...내일부터 전세대출 막힌다 ~ (22) 별찌 01-19 4251
8052 [전기/전자] 韓 솔브레인 ‘99.9999999999%’ 불산 생산 (51) 스크레치 01-19 11535
 <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