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9-07 00:18
‘강남 광풍’ 일으킨 최경환 ‘부동산 3법’, 줄폐기
 글쓴이 : 하하하호
조회 : 2,715  

[헤럴드경제=김성훈 기자] 박근혜 정부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경기부양을 위해 만들었던 ‘부동산 3법’이 사실상 모조리 폐기된다. 가장 큰 수혜를 받았던 강남 재건축 시장이 관련법 폐지로 가장 큰 타격을 입게 된다.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3법’은 2014년 마지막 본회의에서 한꺼번에 통과된 3개의 법안이다. 재건축 조합원의 분양주택수를 3주택까지 허용하는 내용의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도정법)’과 분양가 상한제를 실질적으로 폐지하는 내용의 ‘주택법’,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를 3년간 유예하는 내용의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에 관한 법률’이다. 주로 강남 재건축 사업에 혜택이 집중되는 내용이다.

헤럴드경제

2016년 1월 정부세종청사 대강당에서 이임식을 마친 뒤 직원들을 향해 웃음짓고 있는 당시 최경환 경제부총리 [사진=연합뉴스]


박근혜 정부는 부동산 과열투기시대에 만들어졌던 규제 때문에 부동산 경기가 침체돼 있다고 진단했고, 시장 활성화를 명분으로 3법을 만들었다.

당시 최경환 전 부총리는 “한여름에 겨울옷을 입은 격”이라 했고, 박근혜 전 대통령도 “퉁퉁 불어터진 국수”라고 표현했다. 야권에서는 “강남발 부동산 투기를 재현할 것”이라며 반발했지만 결국 통과됐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법 통과 이전 3개 년 동안(2011.12~2014.12) 서울 아파트값은 6.01% 하락했지만, 법 통과 이후 현재까지 13.62% 상승했다. 반전의 중심에는 강남 재건축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문재인 정부는 5일 내놓은 ‘8.2 부동산 대책’의 후속조치에서 그간 유명무실했던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 상한제를 부활시키겠다 발표했다. 재건축 조합원이 받을 수 있는 분양주택수를 3주택으로 늘렸던 것도 다시 1주택으로 줄이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 ‘8.2 대책’과 그 후속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지역들은 이미 해당 규제가 적용되고 있으며, 그 외의 과밀억제권역은 도정법 개정을 통해 적용할 방침이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는 3년간의 유예 기간을 마치고 내년 예정대로 시행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주택 정책을 정치적 목적이나 경기 활성화를 위해 이용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한다.

최은영 한국도시연구소 연구위원은 “‘부동산 3법’은 정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언제든 부동산 정책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잘못된 믿음을 시장에 줬다”며 “이러한 믿음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일관된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tilla 17-09-07 21:28
   
인간 쓰레기
멀리뛰기 21-01-02 08:41
   
‘강남 광풍’ 일으킨 최경환 ‘부동산 3법’, 줄폐기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1:36
   
‘강남 광풍’ 일으킨 최경환 ‘부동산 3법’, 줄폐기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533
7448 [전기/전자] SKC코오롱PI, OLED 핵심소재 'PI 바니시' 독점 깬다 (10) 스크레치 03-15 2726
7447 [기타경제] 연말 여행 예약 '동남아' 인기…1위 '베트남�… (9) 귀요미지훈 11-18 2726
7446 [기타경제] 마쓰야마대 장정욱 교수 “일본 불매운동, 관광에 집중… (4) 문제적남자 07-14 2726
7445 [기타경제] 국제관광도시에 부산..강릉·전주·목포·안동, 지역관광… (3) 너를나를 01-28 2726
7444 [전기/전자] 베트남 삼성전자 덕분에 스마트폰 수출 급증 (7) 스크레치 02-12 2726
7443 [전기/전자] 삼성, 1분기 美 스마트폰 1위 탈환…애플 제쳐 (9) 스크레치 04-19 2725
7442 [잡담] 샤오미 홍미노트7,국내 예판 첫날 초기물량 매진..엄청난… (23) 여우봉봉 04-16 2725
7441 [기타경제] 장밋빛 메모리 전망 내놓은 마이크론 "데이터센터 수요 … (4) 굿잡스 04-03 2725
7440 [기타경제] 대우조선해양 그리스 LNG운반선 1척 수주 (5) 스크레치 06-13 2724
7439 [잡담] 일본수입품목의 방사능검사 또는 후쿠시마 부근현까지 … (7) SHIPYARD 07-02 2724
7438 [기타경제] “연봉대박 中기업 갈까” 美, 시민권 박탈 경고 (1) 박카스 10-18 2724
7437 [자동차] PSA-FCA, 합병사 ‘스텔란티스’ 아래 새로운 시작에 나선… (7) 대한사나이 09-29 2723
7436 [기타경제] 韓 경제규모 세계 10위.. 1인당 GDP 이탈리아 첫 추월 (11) 스크레치 04-08 2723
7435 [기타경제] 리튬 생산 임박 포스코, 원자재값 급등에 '대박' … (2) 굿잡스 03-19 2723
7434 [기타경제] '바람'빠진 일본 열풍…여행 수요 일제히 감소 (8) 스쿨즈건0 03-07 2722
7433 [기타경제] 출산율이 계속 떨어지는 이유 (14) 므흣합니다 12-01 2722
7432 [과학/기술] 2020 전세계 무기 수출국 순위.jpg (4) 몬스트레치 07-20 2722
7431 G6 ‘사전예약 8만2000대’ 인기.. 스마트워치로 흥행 바통 (3) 스크레치 03-10 2721
7430 [전기/전자] 인텔 중국에 NAND 플래쉬 기술 전수 (8) 전쟁망치 03-07 2721
7429 [기타경제] 韓 인공지능기술 日 거대기업 업무 지식 플랫폼에 쓰였… (3) 스크레치 06-29 2721
7428 [기타경제] 삼성엔지니어링 멕시코서 4조5천억원 규모 수주..창사이… (4) 스크레치 10-30 2721
7427 [기타경제] 세계 10대 제약사 현황 (2019년) (11) 스크레치 03-05 2721
7426 [과학/기술] 표준연, 반도체 수율 핵심인 플라즈마 실시간 진단 센서 … (2) Architect 05-31 2721
7425 한국인이 독일인보다 살충제 계란 더먹어도 된다? (3) 스쿨즈건0 08-22 2720
7424 [기타경제] 삼성重, 2154억원 규모 LNG 운반선 1척 수주 (6) 스크레치 03-25 2720
 <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