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8-15 11:43
[기타경제] (장문) 이준구 교수님의 '근거 없는 위기론은 무책임할 뿐더러 위험하기까지 하다'
 글쓴이 : 너를나를
조회 : 2,495  

https://www.clien.net/service/board/park/13823403?combine=true&q=%EC%95%84%EB%B2%A0&p=1&sort=recency&boardCd=&isBoard=false

이준구 교수님 미시경제학 재정학저자로 유명한분이죠. 경제관료들도 대부분 이분책보고 공부한다고 들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연 19-08-15 12:14
   
서울대 (진짜) 명예교수에서 빵 터졌습니다 ㅎㅎ
     
행운7 19-08-15 12:19
   
가짜를 두번 죽이는... ㅋㅋㅋㅋㅋㅋㅋ
프리홈 19-08-15 14:42
   
미 국채 2 년물과 10 년물의 이자율이 역전되었는데 향후 22 개월후 경제공항이 오는 것으로 100 % 역사적으로 입증되었네요.
즉 2 년내 세계공항이 다가 오는데 한.일간 감정적으로 치고받느라 대비조차 못하고 있다고 보여지네요.
내공을 쌓아야 합니다.

한 국가는 물론 개인적으로도요.
미중간 무역전쟁과 환율전쟁으로 세계경제가 어려운 판에
일본하고 치고받고 할 때가 아니지요....타협을 하던지 해서 2 년내 도래하는 세계공황에 대비해야지요.

저 아래에 무지막지한 낭떨어지 폭포수가 대기하고 있는데, 물살빠른 강 한가운데 쪽배안에서 한.일 두 선원이 치고받고 하는 꼴임.

한.일간 누가 먼저 분쟁의 단초를 제공하였는가가 세계공황 대비보다도 중요한 것으로 보이나요?
     
조국과청춘 19-08-15 15:53
   
22개월 후 경제공항? 100% 역사적으로 입증??
미래에서 오셨어요???
          
프리홈 19-08-16 11:34
   
지난 50 년동안 3 년 만기 미 국채 수익율과 10 년 만기 미 국채 수익율 역전 현상이 6 번 있었는데, 어김없이 세계불황(recession)이 찾아왔고, 또한 평균 311 일간 지속되었다 하죠.

3 년 만기와 10 년 만기 미 채권수익율의 역전현상은 이미 지난 5월부터 있어왔고 2 년 만기와의 역전현상은 2일전부터 시작되었는데, 지난 50 년간의 6번 세계불황 가운데 이번 예측이 가장 확율(81 %)이 높다 하지요....두번이상 말하면 잔소리가 되겠죠.

https://youtu.be/CNmnY-1Fdjs
     
Banff 19-08-15 20:42
   
그럴 수도 있다는 것이지 역사적입증은 오버. 숏세일에 걸면 누구나 돈벌게. ㅎㅎ
     
이도저도 19-08-16 00:24
   
과거사례를 말하시는거라면 이런경우가  3번있었구요. 그중에 두번이 경제침체가왔었어요. 100%는 아니에요. 그럴 확률이높다는거지요.
황악사 19-08-15 16:08
   
근거없는 위기론엔 나름 책임도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라 전체에 미치는 파장과 손해가 너무 막대합니다.
미니사랑 19-08-17 12:33
   
참교수의 합리적인 식견이네요
멀리뛰기 21-01-02 17:37
   
[기타경제] (장문) 이준구 교수님의 '근거 없는 위기론은 무책임할 뿐더러 위험하기까지 하다'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12 08:03
   
[기타경제] (장문) 이준구 교수님의 '근거 없는 위기론은 무책임할 뿐더러 위험하기까지 하다' 감사합니다.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736
7342 [전기/전자] 日포토레지스트 한국수출 2차 허가 (8) 스크레치 08-19 2499
7341 [기타경제] Jap산 오토바이도 불매운동 확산..이륜차 시장서 수입업… (3) 굿잡스 08-19 1687
7340 [기타경제] 韓, 日등유 수출금지하면 일본 등유가격 폭등 - 블룸버그 (16) 스크레치 08-19 2794
7339 [기타경제] 삼성중공업 아시아서 2200억 규모 LNG선 1척 수주 (7) 스크레치 08-19 2029
7338 [전기/전자] 혁신 사라진 애플 '관세'로 삼성 걸고 넘어졌다 (10) 스크레치 08-19 2015
7337 [전기/전자] 세계 스마트폰 ‘흥망사’…남은 자와 사라진 자 (3) 스크레치 08-19 1917
7336 [잡담] 이번에 일본의 경제보복에 대한 세계전문가들반응이 (20) wpxlgus1234 08-19 6058
7335 [기타경제] 삼성중공업, 7천513억원 규모 유조선 10척 수주 (2) SHIPYARD 08-19 3018
7334 [기타경제] 일본 무역수지 두달만에 적자 전환..한국수출 전년比 6.9%… (6) 너를나를 08-19 4163
7333 [기타경제] 1탄 '日 경제 몰락' 간단 요약본 (16) 경제왕왕 08-19 6746
7332 [전기/전자] 5G반도체 삼성 '초격차'…통신칩 세계 1위 노린다 (5) 스크레치 08-19 2979
7331 [전기/전자] "삼성보다 먼저 폴더블폰 큰소리치더니"…결국 꼬리 내… (15) 스크레치 08-19 3841
7330 [기타경제] 한국 전승, 결론난韓-日 WTO 분쟁 '3:0'… (6) 스쿨즈건0 08-19 4438
7329 [기타경제] 추석여행 1순위 오사카의 추락…유니클로는 3번째 폐점. (7) 스쿨즈건0 08-19 2566
7328 [전기/전자] 일본의존 극복한 기술, 일본에 역수출, 중소기업의 도전 (6) darkbryan 08-19 2887
7327 [과학/기술] 강철보다 강한 '국산' 탄소섬유..국내서만 '찬… (15) 류현진 08-18 4435
7326 [기타경제] '매출 급감' 유니클로 또 폐점 (9) 굿잡스 08-18 3312
7325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 넘본다… 5G 통합칩 올해 출시 (13) 스크레치 08-18 3777
7324 [전기/전자] 차세대 GPU 메모리의 미래…한국이 주도하는 HBM 메모리 (9) 스크레치 08-18 3444
7323 [전기/전자] 중위권 파운드리기업 생존 전략 '공정 차별화' (8) 스크레치 08-18 1815
7322 [과학/기술] '克日' 위해 수치제어장치 국산화 컨소시엄 꾸린… (20) 이리듐 08-18 4526
7321 [기타경제] 세계 금보유량 순위 (34) 공평 08-18 7366
7320 [잡담] 한일 간의 종합경기 선행지수가 역전된 연도 2018 (7) 행복찾기 08-18 3852
7319 [잡담] 위기에 선제대응하기위해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면? (6) 부두 08-18 2335
7318 [기타경제] 日 "韓경제 너무커졌다" (31) 스크레치 08-18 10886
 <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