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10-27 01:29
[잡담] 너무 인상적이라 정게에서 퍼옴 - 마르티넬리 어록
 글쓴이 : 대충123456
조회 : 3,179  

강원도가 지방채 디폴트했다고 믿는 1찍들
 글쓴이 : 마르티넬리
 조회 : 119  

기본적인 사실관계도 모르고 찍 쓰는게 일부러 개그를 치는건지 ㅋㅋㅋ

강원도는 보증채무자이고 주채무자는 GJC라고 따로 있단다. 지방채는 레고랜드 사태로 인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이고. 

그리고 강원도는 단 한번도 자기가 발행한 지방채를 채무불이행하겠다고 한 적도 없음. 

무식한 1찍 새끼가 문제 하나도 못 풀고 지가 주장한거 데이터 하나도 못 가져오는 꼴인데 

채권가격이 par가 아닌것부터가 채권이 장래에 발생할 위험이 반영되어 있는 것임. 


극단적인 예를 들어줄게

1년만기 할인채. 액면금액 100. 무위험이자율 5%. 하기 시나리오 위험은 각각 50%

시나리오1) 채무불이행이 없을 경우. 
시나리오2)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경우 (부도위험 50%, 회수금액 50%) 


만기시

시나리오1) 회수금액 100
시나리오2) 회수금액 50

그럼 이 채권의 현재가격은? (100*0.5 + 50*0.5)*1.05^(-1) = 71.428
이 채권의 가격 (금리호가로 바꿀시에) 40%

경제는 신용이다고 우기기 전에 이미 채권현재가격에 미래 시나리오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기에 잘 알지도 못하는 신용 운운하지 말고 호가창 보면서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내는 연습이나 좀 해라. 실제 채권가격평가는 저기서 더 배배꼬고 있으니까. 

1. 세금으로 50조원을 썼다 (X) -> 채권안정을 위해 투입되는 50조원은 예산지출이 아님. 

2. 레고랜드가 현재의 채권시장을 망쳤다 (X) -> 국채금리는 미국금리 따라간다고 상승하는 추세이고 투자등급 회사채와의 스프레드도 예년과 같음. 만약에 진짜 금융위기나 채권시장의 경색이 발생하면 국채에 자금이 더 몰리기 때문에 BBB- 회사채 따위는 쳐다도 안 볼 것이기에 금리스프레드가 확대되어야 하나 금융위기운운하는 1찍 바람과는 달리 평온한 상태. (채권이 뭔지 왜 금리가 오르는지 모르면 재무관리, 투자론은 읽고 와라) 근본적으로 현재 채권시장은 세계적 고금리 및 한전채 발행액으로 시중자금 흡수로 인한 효과가 더 압도적임. 

신용, 현금흐름 없는 프로젝트 사업에 지자체 보증하면 묻지마 AAA 신용등급이 되는 매직과 그걸 쳐 믿은 투자자가 일단 1차적인 병1신인 것이고 

그리고 07~08년 서브프라임사태 때에도 방식은 똑같은데 

모기지채권 -> 1차 유동화 -> 2차 유동화 -> .. 를 거치면서 기초자산인 주택저당증권에서 뭔가 수작질 

(CDO- 즉 기초자산pooling을 설정하여 손실흡수정도, 현금흐름 tranche를 설정하여 선순위 90%를 AAA 신용등급 만드는 기술) 

을 하면 그걸 쳐 믿고 투자한 15년전의 사건하고 완전 같은 케이스임. 

애초에 PF는 지금과 같은 시기에 투자등급도 안되는 투기처이고 지급보증에 가려졌을 뿐이고. 

1. 강원도는 GJC가 뭐 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없었음. (44% 지분, 법률상 모회사가 아니며 자회사 자료요구권이 없음) 

2. 강원도가 생각한 방안은 보증채무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채무자회생법에 따른 회생절차를 개시하면 채무자에 대한 재무상태조사가 진행될 수 있음. 그리고 엄밀히 따지면 보증채무도 영향이 없음. 

3. 생각지 못한 변수가 생기는데 국내 PF 투자관행이 국가, 지자체의 지급보증에 절대적으로 의존하는 개무능이었다는 사실임. 근본적으로 PF는 프로젝트 사업성에 대하여 수익성, 회수가능성을 평가하여야 하고 투자자 본인의 리스크관리- 유동성, 레버리지 비율을 관리하여야 했음. 

국내 투자사업이 이 정도로 허술하다는 증거인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파란혜성 22-10-27 04:51
   
여당이 총선 이긴다면서 캐삭빵도 못하는 등신이에요 ㅋㅋㅋ
땡말벌11 22-10-27 09:21
   
PF의 사업이 다 그렇긴 하겠지만 애초에 강원랜드가 강원도에서 추진한 것이고
그래서 신용등급 높게 받아서 갚싸게 사업한 것인데
사업주체자가 돈 안갚겠다고 하는데 무슨 채권시장 탓?
채권 투자자들 바보라고 하네요.
     
돌쇠3 22-10-27 12:24
   
채권투자자들 전부 바보행 ㅋㅋㅋㅋ
 
 
Total 16,53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559
7282 [기타경제] 세계7위 항공사 출범 日, 견제구 던지나? (10) 스크레치 12-02 3179
7281 [전기/전자] 인텔, 美 의회에 SOS "보조금·稅혜택 등 모든 조치 필요" (17) 스크레치 03-17 3179
7280 [전기/전자] GM 리콜 LG가 1.4조 부담..배터리 리스크 "터지면 조 단위" (10) 대팔이 10-13 3179
7279 [전기/전자] ‘아파트 한 평 값’ 삼성 8K TV 출시…LG는 88인치 OLED로 … (10) 스크레치 11-02 3180
7278 [잡담] 너무 인상적이라 정게에서 퍼옴 - 마르티넬리 어록 (3) 대충123456 10-27 3180
7277 [기타경제] 대한민국 vs 세계 최고 부자나라 빅5 국부 현황 (7) 스크레치 08-22 3181
7276 [잡담] 망국적인 급격한 최저임금인상 (42) glober11 08-18 3182
7275 [과학/기술] 셀트리온이 만드는 바이오신약, 독감치료제 'CT-P27 (6) 진구와삼숙 11-17 3182
7274 [전기/전자] [단독]삼성, 中 화웨이에 패널 수출 美 허가 받았다 (3) 스크레치 10-27 3182
7273 [전기/전자] "삼성폰 日에서 3위등극" (일본 시장조사업체) (14) 스크레치 05-20 3182
7272 [기타경제] 세계 각국 국채 금리 비교 (6) archwave 07-28 3182
7271 남미대륙 양대 경제대국(브라질,아르헨티나) 주요 산업 (7) 스크레치 04-20 3183
7270 [자동차] 2018년 전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10) 스포메니아 05-18 3183
7269 [전기/전자] SKC 日독점 반도체핵심 '블랭크 마스크' 국산화 본… (17) 스크레치 03-29 3183
7268 [기타경제] 일본 은행이 빌려준 돈 25조라는데, 금융 보복 가능성은 (15) darkbryan 07-17 3184
7267 [전기/전자] "1대에 2천억 없어서 못판다"..삼성 하이닉스 TSMC 인텔도 … (6) 스크레치 07-21 3184
7266 삼성전자, 차세대 5G 무선통신 핵심 칩 개발 (3) 스크레치 02-21 3185
7265 [전기/전자] 화웨이 5g 장비, 절반 이상이 한국행 (12) 꿈결 12-20 3185
7264 [잡담] 엔화 폭등이네요 (8) 인생또있다 08-05 3185
7263 [잡담] 앞으로 계속 될 소득주도성장 (21) 부두 11-14 3185
7262 [자동차] 기아 인도서 초고속 성장…마힌드라 제치고 4위 (7) 스크레치 02-19 3185
7261 [잡담] 외환보유고와 관련하여 (블룸버그 8개월??) (16) 마르티넬리 09-18 3185
7260 과학게시판이 없어서 여기에 물어보네요. 황우석박사의 … (5) rozenia 11-21 3186
7259 IoT 반도체 선점 나선 삼성 (4) 스크레치 06-12 3186
7258 IMF 주요선진국 경제성장률 전망 (2017. 10월 최신) (4) 스크레치 10-11 3186
 <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