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6-27 22:04
[기타경제] 韓에 무너진 이탈리아 역대 1인당GDP 현황 (IMF)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703  

40년전 대한민국 1인당GDP의 4.9배 

무려 5배에 가까웠던 G7 국가중 하나였던 서유럽의 대표적인 

경제대국이자 선진국이었던 이탈리아 



그로부터 40년이 지난 2020년 

드디어 대한민국에 1인당 국민소득(명목기준)에서도 역전을 당하면서 

자리바꿈을 하게 됩니다. 



올해도 코로나 사태로 큰 충격을 받은 이탈리아는 

무려 -12.8%의 참담한 경제성장을 예상하고 있어서 

앞으로 대한민국과의 1인당GDP 격차는 계속 더 벌어질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1980년부터 2020년까지 40년간 

대한민국과 이탈리아의 IMF 역대 1인당GDP (명목기준) 현황 









<역대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GDP 현황> (명목기준) (2020.4월 IMF 최신 기준) 




1980년 (대한민국 - 1761 달러) (이탈리아 - 8561 달러) (이탈리아가 대한민국의 4.9배) 
1981년 (대한민국 - 1932 달러) (이탈리아 - 7751 달러)
1982년 (대한민국 - 2043 달러) (이탈리아 - 7654 달러)
1983년 (대한민국 - 2253 달러) (이탈리아 - 7937 달러)
1984년 (대한민국 - 2470 달러) (이탈리아 - 7842 달러)
1985년 (대한민국 - 2539 달러) (이탈리아 - 8095 달러)
1986년 (대한민국 - 2896 달러) (이탈리아 - 1만 1463 달러) (이탈리아 1만달러 최초 돌파)
1987년 (대한민국 - 3628 달러) (이탈리아 - 1만 4388 달러)
1988년 (대한민국 - 4842 달러) (이탈리아 - 1만 5936 달러)
1989년 (대한민국 - 5927 달러) (이탈리아 - 1만 6563 달러)
1990년 (대한민국 - 6733 달러) (이탈리아 - 2만 655 달러) (이탈리아 2만달러 최초 돌파)
1991년 (대한민국 - 7773 달러) (이탈리아 - 2만 1799 달러)
1992년 (대한민국 - 8267 달러) (이탈리아 - 2만 3120 달러)
1993년 (대한민국 - 9031 달러) (이탈리아 - 1만 8575 달러)
1994년 (대한민국 - 1만 545 달러) (이탈리아 - 1만 9152 달러) (대한민국 1만달러 최초 돌파)
1995년 (대한민국 - 1만 2743 달러) (이탈리아 - 2만 607 달러)
1996년 (대한민국 - 1만 3574 달러) (이탈리아 - 2만 3033 달러)
1997년 (대한민국 - 1만 2535 달러) (이탈리아 - 2만 1809 달러)
1998년 (대한민국 - 8354 달러) (이탈리아 - 2만 2282 달러)
1999년 (대한민국 - 1만 755 달러) (이탈리아 - 2만 1969 달러)
2000년 (대한민국 - 1만 2257 달러) (이탈리아 - 2만 117 달러)
2001년 (대한민국 - 1만 1561 달러) (이탈리아 - 2만 423 달러)
2002년 (대한민국 - 1만 3165 달러) (이탈리아 - 2만 2310 달러)
2003년 (대한민국 - 1만 4673 달러) (이탈리아 - 2만 7495 달러)
2004년 (대한민국 - 1만 6496 달러) (이탈리아 - 3만 1250 달러) (이탈리아 3만달러 최초 돌파)
2005년 (대한민국 - 1만 9403 달러) (이탈리아 - 3만 1936 달러)
2006년 (대한민국 - 2만 1743 달러) (이탈리아 - 3만 3342 달러) (대한민국 2만달러 최초 돌파)
2007년 (대한민국 - 2만 4086 달러) (이탈리아 - 3만 7685 달러)
2008년 (대한민국 - 2만 1350 달러) (이탈리아 - 4만 658 달러) (이탈리아 4만달러 최초 돌파)
2009년 (대한민국 - 1만 9138 달러) (이탈리아 - 3만 6862 달러)
2010년 (대한민국 - 2만 3087 달러) (이탈리아 - 3만 5655 달러)
2011년 (대한민국 - 2만 5096 달러) (이탈리아 - 3만 8012 달러)
2012년 (대한민국 - 2만 5467 달러) (이탈리아 - 3만 4470 달러)
2013년 (대한민국 - 2만 7183 달러) (이탈리아 - 3만 5219 달러)
2014년 (대한민국 - 2만 9250 달러) (이탈리아 - 3만 5457 달러)
2015년 (대한민국 - 2만 8732 달러) (이탈리아 - 3만 153 달러)
2016년 (대한민국 - 2만 9296 달러) (이탈리아 - 3만 824 달러)
2017년 (대한민국 - 3만 1577 달러) (이탈리아 - 3만 2195 달러) (대한민국 3만달러 최초 돌파)
2018년 (대한민국 - 3만 3320 달러) (이탈리아 - 3만 4321 달러)
2020년 (대한민국 - 3만 494 달러) (이탈리아 - 2만 9820 달러) (대한민국 이탈리아 사상 최초역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노원남자 20-06-27 22:47
   
코로나 지나면 이전으로 복구되겠지만 그것도 한참이겠죠.설령 복구된다해도 그기간 우린 성장안한다는것도 아니니 벌릴때 크게 벌렸으면 좋겟네요.남들이 주저앉을때 우리는 나아간다 비바 트로피..아니 대한민국..ㅋㅋ
개개미S2 20-06-27 23:24
   
진짜.. 지도자 제대로 못뽑고 부정부패를 묵인함으로 생긴 대표적인 사례..
달은해의꿈 20-06-27 23:55
   
이탈리아가 예전처럼 살려면 관광이 예전처럼 활성화되어야 하는데 코로나 이후에 바로 회복될거 같진 않네요
셀시노스 20-06-28 10:00
   
아니 무너진다는 표현이 입술에 참기름발랐나
어째 추월했다는 기사에
무너졌다고 하는 뻔뻔함은
어후..
얼굴이 화끈거리네요
셀시노스 20-06-28 10:05
   
게다가 GDP올랐다는 자랑질은 그만봤음 좋겠음
ㅅㅂ
솔직히 그거 오른건 삼성덕이 제일크고
부동산으로 그차익 몇놈들만 배불린건데
대신 집도 못갖게만드는 부동산전략일랑
국민들 살기 어렵게 만들어 놓은채
좀 GDP자랑질 그만 봤으면 싶음

국뽕이 차올라야 말이지

에잉 손흥민이나 봐야지
     
자그네브 20-06-28 10:57
   
- 중국 (+2.0%)

- 대한민국 (-1.8%)

- 독일 (-11.9%)

- 영국 (-18.1%)

- 이탈리아 (-18.5%)

- 일본 (-22.3%)

- 미국 (-34.5%)

스크레치님이 잡게에 올린글 퍼온건데요...
현재 전세계가 일반적인 경제가 아니죠.
평상시에 아무리 극심한 불황이라도 볼수 있는 수치가 아닙니다.
저는 50년 정도 살면서 처음 봅니다.
세계금융위기 ,  IMF사태.... 그런 정도의 수치가 아니에요. 쨉이 안되죠.
마이크 타이슨의 핵주먹으로 온몸을 사정없이 강타당하고 있는
세계 대공황급 경제 대몰락의 광풍안에 들어와 있습니다.
단순한 전염병이 아니라 코로나의 본질은 그것입니다.

한국이 이정도로 넘기고 있는것에 매우 감사해야 합니다.
아시아 몇몇 소수의 나라들이 큰 타격없이 무사히 헤쳐나간다면
코로나사태 이후에 한두단계씩 상승해 있겠지요.
그런 시선으로 희망을 갖고 현사태를 바라봅시다.
케이비 20-06-28 19:22
   
여기도 총리 뭐 같은 거 뽑았다가 그 값을 톡톡히 치루고 있죠.
구름바라기 20-06-29 14:35
   
이탈리아는 중간에 갑자기 발전한 기간이 있네요. 86년애서 90년 4년만에 2배를 만드네요
어떻게 가능한건지.
멀리뛰기 21-01-12 09:13
   
[기타경제] 韓에 무너진 이탈리아 역대 1인당GDP 현황 (IMF) 멋진글~
 
 
Total 16,53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276
7231 [전기/전자] 3차원 디스플레이 개발…육면체 TV 나오나 (4) 진구와삼숙 06-23 2616
7230 [자동차] 현대기아 세계2위 전기차 판매기업 등극 (2020년) (25) 스크레치 06-23 2673
7229 [기타경제] 현대로템, GTX-A 전동차 40량 추가 수주 (3) 너를나를 06-23 2084
7228 [기타경제] 韓이만든 러시아 국민과자..35년 생존의 비결 (17) 스크레치 06-23 3047
7227 [자동차] 中지리, 쌍용차 관심없어 (6) TTTTTTT 06-23 2051
7226 [자동차] "10년뒤 절반은 전기車"..현대차·폭스바겐·GM, 수십兆 투… (23) 스크레치 06-23 2081
7225 [자동차] 현대차 삼성·LG·SK와 '전기차 배터리 4륜 동맹' 시… (2) 스크레치 06-23 1734
7224 [기타경제] 대우조선 러시아 LNG선 12척 수주 '유력' (8) 스크레치 06-23 3774
7223 [기타경제] 日언론 '韓반도체' 급소 찌르기 수출규제, 일본만… (8) 스크레치 06-23 8311
7222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15) - LNG선 수주하면 환율이 내려가? … (50) 귀요미지훈 06-24 3343
7221 [전기/전자] 中화웨이 삼성에 위탁생산 거절당했다..스마트폰 생산 … (38) 스크레치 06-24 9757
7220 [과학/기술] ETRI, 7가지 빛을 내는 '친환경 컬러 박막 태양전지'… (2) 진구와삼숙 06-25 1880
7219 [전기/전자] UNIST-삼성, "반도체 집적 한계 돌파할 신소재" 발표 (3) 진구와삼숙 06-25 3820
7218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16) - 환헤지 하느라 바빠지는 몽부장… (11) 귀요미지훈 06-25 1347
7217 [기타경제] IMF 韓 "선진국중 가장 선방" (경제성장률 6월 수정전망치 (37) 스크레치 06-25 6948
7216 [기타경제] 260만명 쓰는 '틱톡', 폰에 입력한 내용 몰래 긁어… (15) 굿잡스 06-26 3234
7215 [기타경제] "자는 동안 '해외결제' 문자 수십통"..애플은 '… (6) 굿잡스 06-26 3600
7214 [과학/기술] 7나노 도전한다던 중국의 HSMC가 파산위기.. (14) 없습니다 06-26 6310
7213 [전기/전자] 日도 주목하는 LG전자 가전제품, 외산 무덤서 '승승장… (13) 스크레치 06-26 6764
7212 [기타경제] 韓 드디어 캐나다역전 성공 (GDP) (IMF 공식 확정통계) (61) 스크레치 06-26 7783
7211 [기타경제] "한국은 최저임금 올려서 망했다는데?" 라는 질문에 대한… (15) 달구지2 06-27 5485
7210 [기타경제] 韓에 무너진 이탈리아 역대 1인당GDP 현황 (IMF) (9) 스크레치 06-27 4704
7209 [잡담] 귀요미의 쉬운경제 (17) - 통화스왑은 무엇, 왜, 어떻게? (20) 귀요미지훈 06-28 1342
7208 [잡담] 삼성중공업, 협력업체에 공사대금 쥐어짜기로 분쟁발생 (6) 하나둘넷 06-28 2384
7207 [기타경제] 韓 드디어 캐나다역전 성공 (역대 GDP 현황) (1) 스크레치 06-28 2489
 <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