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7-10 13:16
[기타경제] 로마의 경제는 왜 무너졌을까?
 글쓴이 : 활인검심
조회 : 2,097  


재밌게 경제를 설명해놓은게 있어서 퍼왔습니다.
빈부격차문제는 예전부터 큰 문제였고
기득권의 정치결탁 및 부패가 빈부격차와 경제붕괴를 가속화 한다는 내용과
결국 나라가 무너지게 된다는 걸 알기 쉽게 보여주는데...
보면 볼수록 현대와 다를게 없다는 생각이 듭니다.

쉬운 경제영상이니 한번 보길 추천드립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다잇글힘 20-07-10 14:53
   
잘봤습니다. 전체적으로 역사적인 사실과 맥락을 잘 연결해서 요약을 잘했네요. 주로 빈부격차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을 했지만 이건 많은 나라들이 몰락할때 나타나는 공통점이기도 하구요.

다만 다른 공통점들도 부연설명을 해야 하는데 그중 하나가  기후와 이민족 침입부분입니다.

고대든 중세든 근세든 경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농업생산력입니다. 어쨌든 농업생산력은 기후영향이 거의 절대적입니다. 농업생산력이 떨어지면 사회질서도 결국은 흔들릴 수밖에 없습니다. 사회질서가 흔들린다는건 이전에 잘 작동하던 제도가 더이상 적용되기 힘들다는걸 의미합니다. 또한 농업생산력이 떨어지면 군사력의 약체화도 필연적입니다. 더군다나 변방지역의 기후도 안좋아지기는 매한가지기 때문에 야만족들이 이동이 잦아지고 문명사회에 침입하는 경우가 많아지죠. 실제 고대의 많은 제국들의 멸망은 기후변화와 연관된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수메르문명도 그렇고 앗시리아 제국도 그렇고 이집트 중왕조와 신왕조 사이의 중간기인 힉소스 침입시기도 그렇고 후기청동기 붕괴기도 그렇고

로마의 전성기는 공화정시기 포에니전쟁 승리때부터 제정으로 넘어와 5현제 시기까지 기원전2세기부터 기원후2세기 사이로 본다는건 잘 아실겁니다. 이 시기는 중국의 한나라 제국의 흥망성쇠기와도 일치합니다. 그리고 이 시기를 지나면서 로마는 위기의 3세기를 맞이하고 중국은 황건적의 난에서부터 삼국시대, 팔왕의난, 5호16국시대로 대혼란의 시기로 이어지죠.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그럼 실제 그 당시 기후는 어떻게 변했을까요?

https://i.imgur.com/ySbqz7A.png
https://i.imgur.com/iJluKPL.jpg

위 두 링크 자료를 보시면 로마 온난기로 불리우는 시기가 로마의 전성기와 한나라 흥망성쇠기와 일치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그리고 그 이후로 점진적으로 한랭화가 진행되다가 9세기 무럽부터 다시 중세온난기에 접어듭니다. 동아시아의 경우 수당제국의 시기가 있기 때문에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유럽은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와 콘스탄티누스 대제 그리고 테오도시우스 황제까지 다시 반짝하는데 기후적으로 그때 다시 기후가 반등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그이후 특히 서로마제국의 경우 막장으로 흘러가고 멸망하면서 게르만 왕조들이 유럽을 지배하면서 중세암흑기에 접어듭니다. 

동로마는 그래도 게르만족들을 막아낼 수 있는 지형적으로 유리한 여건들도 있었고 이집트라는 곡식창고에 아나톨리아나 레반트 지역과 같은 동방무역에서의 경제적인 이득을 취할 수 있는 지역을 지켜낼 수 있었기 때문에 이슬람 침공전까진 그나마 경제적으로 넉넉했지만 서로마는 그렇지를 못했습니다.

서로마지역의 농업생산력에서 당시 이탈리아 반도는 갈리아나 마우리타니아(모로코,알제리), 튀니지(카르타고), 리비아(아프리카 프로콘술라리스)와 같은 북아프리카 지역과는 비교해서 낙후된 곳으로 전락했습니다. 더군다나 고트족이나 반달족 등에게 곡창이라고 할 수 있는 많은 지역을 황제들의 무능때문에 빼앗깁니다. 특히 반달족에게 북아프리카 지역을 빼앗긴게 결정타가 됩니다.

서로마 황제들은 호노리우스 때부터 다들 무능해서 사실상 스틸리코나 아에티우스 같은 유능한 군사사령관들에 의해 겨우겨우 버티는거나 다름없었는데 모두 황제들의 의심병으로 처형되거나 암살당하죠. 특히 훈족을 물리친 아에티우스 사후엔 로마는 더이상 회복하기 힘든 막장의 늪으로 빠지고 황제를 죽이고 실권을 쥔 오도아케르가 이전처럼 허수아비 황제를 내세우지 않고 스스로  실권자를 자처하면서 멸망하게 됩니다.
멀리뛰기 21-01-12 09:17
   
[기타경제] 로마의 경제는 왜 무너졌을까? 감사^^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10
7123 [전기/전자] 삼성전자 '세계 최대' LED스크린, 美LA 풋볼경기장… (4) 스크레치 07-08 3680
7122 [기타경제] 日 세계 첫 고속철에 韓 '수소열차' 맞불 (배터리… (16) 스크레치 07-08 6514
7121 [전기/전자] 외국언론 “삼성전자 내년 스마트폰에 자체 AP ‘엑시노… (28) 유랑선비 07-08 5329
7120 [전기/전자] 삼성 꿈의 기술 '전고체 배터리' 역량 집중 (17) 스크레치 07-08 2562
7119 [전기/전자] "애플, 脫액정패널로 산업구조 전환…삼성이 유기EL 공급… (6) 진구와삼숙 07-08 2286
7118 [전기/전자] 韓 주도 'OLED 조명' 국제표준 순항..日은 자국 성… (5) 스크레치 07-08 3698
7117 [전기/전자] 삼성전기 2년뒤 日추월 세계2위 노린다..스마트폰 대신 … (9) 스크레치 07-08 4107
7116 [주식] 버리이즌, 노키아를 삼성으로 교체 (7) TTTTTTT 07-08 2586
7115 [기타경제] 짐 로저스 "중국어 말고 한국어 배워라…가장 유용한 언… (4) 너를나를 07-08 3102
7114 [기타경제] ‘전동열차 vs. 준고속열차’…부산~마산복선철도 달릴 … (3) 너를나를 07-08 1169
7113 [자동차] 유럽 달리는 韓 수소화물차..400만대 시장 문 두드린다 (4) 스크레치 07-08 2100
7112 [자동차] 현대차 쏘나타 N라인 통해 스포츠 세단으로 변신 (5) 스크레치 07-08 2500
7111 [전기/전자] LG폰 간만에 웃었다.."인도 중국산 불매운동에 판매량 10… (6) 스크레치 07-08 3111
7110 [기타경제] "없어서 못판다는 새우깡 열풍에 꽃새우 1300상자 순식간… (7) 스크레치 07-08 5037
7109 [기타경제] 中전문가 "韓 G7 참여는 허상" (16) 스크레치 07-09 7471
7108 [기타경제] 쿠팡, 마켓컬리 적자에도 로켓배송 놓지못하는 이유 (2) 용관띠 07-09 2734
7107 [기타경제] 日 "무역갈등 한국의 수출관리 취약 때문" 억지 주장. (23) 스쿨즈건0 07-09 4962
7106 [기타경제] 韓日 무역전쟁 1년.."액체불화수소 국산화 100%, 기체도 연… (18) 스크레치 07-09 6432
7105 [전기/전자] 반도체 일본 의존도 (62) 놋쨘 07-10 6285
7104 [기타경제] 로마의 경제는 왜 무너졌을까? (2) 활인검심 07-10 2098
7103 [전기/전자] 반도체 선방 이어 디스플레이 회복?..전자부품, 하반기 … (2) 스크레치 07-10 1535
7102 [전기/전자] 애플·구글 "반도체 직접 설계"..삼성 파운드리에 '희… (3) 스크레치 07-10 4331
7101 [전기/전자] 삼성전자 "英에 5G장비 공급 가능하다" (2) 스크레치 07-10 2793
7100 [전기/전자] 이탈리아도 5G 中화웨이 배제 (3) 스크레치 07-10 3525
7099 [전기/전자] 일본 경제학자의 냉철한 한일관계 분석 (7) 유랑선비 07-10 8028
 <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