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3 22:47
[자동차] 전기차, GM이 시작했지만 현대차가 추월…1회 충전에 400㎞ 시대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311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852415







지난 1996년 GM이 전기차 'EV1'을 선보이며 전기차 시대 개막을 알려..

올해 3월 현대자동차가 1회 충전거리 406km '코나EV'를 공개하면서 전기차 시대 새로운 강자로 떠올라..

현재 양산하는 대중적인 전기차 중 코나EV보다 주행거리가 긴 모델은 없다. 



현대차는 코나 EV를 통해서 전기차 기술 리더로 올라섰다. 


전기차 시장 열쇠는 '배터리' 인데 전문가들은 배터리 기술력을 갖고 있는 대한민국이 

향후 전기차 시장 주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




화이팅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10-23 22:47
   
4457205 18-10-23 22:48
   
대단합니다
천연계 18-10-23 22:51
   
현대 전기차 점유율이 늘어나면

삼성 엘지 전기배터리 사업도 순풍이겠군여
     
4457205 18-10-23 22:52
   
SK를 빼놓으셨습니다.
     
스크레치 18-10-24 13:46
   
예 대한민국 전기차 배터리 빅3 업체에게도 좋을듯 합니다.
bluered 18-10-24 02:50
   
개인적으로 방식으로 봤을 때, 전기차 보다는 수소차를 더욱 선호합니다.

전기차는 자체적으로 전기 생산을 못하기 때문에 모든 에너지를 그 무거운 배터리에 저장하고 다녀야 하는 엄청난 비효율성 때문이죠.

현재 인프라와 그 추가 인프라 구성의 용이성 때문에, 전기차가 득세이긴 하지만...

과연 배터리 충전시간의 단축과 더 높은 저장능력을 갖추는 배터리의 개발이 먼저가 될런지, 아니면, 수소 충전소의 인프라 구축이 빠를지 지켜봐야 겠죠.

아무튼 우리나라 기업이 잘 됐으면 좋겠습니다.
     
스크레치 18-10-24 13:45
   
수소차는 어차피 현대차가 현재도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상태입니다.


정부도 수소 충전소나 수소전기차 인프라 구축에 상당히 관심이 많은것으로 보이는만큼

지켜보면 될듯 싶습니다.
     
정말미친뇸 18-10-25 00:26
   
난 반반임. 경유 와 휘발료 처럼 전기차 와 수소 전기차 두종료 다 공존함 백퍼 확신함. 어짜피 수소차도 전기로 움직이까요. 그리고 아직 상품화 하지는 안했지만 손파닥만한 크기 베터리가 700키로 갈수있는 기술 개발함 1회용인지만. 또 전기차 트럭도 나오기 시작했음
설설설설설 18-10-24 07:49
   
화이팅~
귀요미지훈 18-10-24 14:17
   
전기차, 수소차 등 차세대 친환경 자동차 분야에서 잘 나간다는 소식은
언제나 듣기 좋네요.

한국 자동차 회사들이 이 분야를 통해 기존 자동차 시장 판도를 뒤집어야 될텐데..기대가 됩니다.
     
스크레치 18-10-24 14:31
   
자동차 산업은 정말 어렵고 브랜드로 자리잡는건 더 어려운 일인데

초기 산업 발전단계에서부터 무리라고 생각했지만 자동차산업에 뛰어든게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무모했지만 세계적인 자동차 강국으로 올라서기 위한

그때가 마지막 시기가 아니었을까 생각해봅니다.


대한민국 현대기아차가

현재 세계 빅5 자동차 브랜드로 성장한것만 해도 기적적이고 충분히 대단한일이라고 생각해요 

앞으로 잘 유지하는게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멀리뛰기 21-01-02 14:54
   
[자동차] 전기차, GM이 시작했지만 현대차가 추월…1회 충전에 400㎞ 시대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4
   
[자동차] 전기차, GM이 시작했지만 현대차가 추월…1회 충전에 400㎞ 시대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20
6829 [기타경제] 아프리카지역 국부 순위 (2017년) (9) 스크레치 06-22 3300
6828 [전기/전자] 미국, 중국통신장비 구매금지 및 기존장비 거둬내기 (3) 귀요미지훈 10-29 3300
6827 日 5대 편의점 “2025년까지 모든 점포에 무인 계산대 도… (7) 스쿨즈건0 08-26 3301
6826 [기타경제] “여보, 미안한데” 먹먹한 가장들…국민 2명중 1명은 벌… (10) VㅏJㅏZㅣ 12-14 3301
6825 [자동차] 삼성 오디오 하만카돈 (17) 빙어사냥 12-01 3303
6824 [전기/전자] 삼성 파운드리, 8나노 RF 공정 기술 개발 (3) Architect 06-09 3303
6823 中 일대일로 잇단 타격…파키스탄도 댐 건설 않기로 (4) 스크레치 11-18 3304
6822 [기타경제] 韓 1인당구매력 日추월 (2023년) (10) 스크레치 08-11 3304
6821 [전기/전자] "접는데 물이 안 새?"..삼성 개발자가 말하는 폴더블폰 �… (1) 스크레치 08-18 3304
6820 [전기/전자] '투명OLED 유일 생산' LG디스플레이, 韓 지하철도 … (2) 스크레치 09-01 3304
6819 [잡담] 미국.유럽.일본이야 말로 친중질인데.. (10) 도다리 01-10 3304
6818 韓 1인당 GDP 세계 29위…3만 달러 넘으면 이탈리아 앞지른… (4) 심판위원장 08-06 3305
6817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이탈리아 vs 대한민국 1인당GDP 역대현황 (4) 스크레치 07-14 3305
6816 [전기/전자] 133조 쏟아붓는 삼성의 자신감..비메모리 1위 승부수 (6) 스크레치 03-19 3306
6815 [잡담] G7 가입은 트럼프의 농간일 뿐 아무런 이득도 없다. (30) 아빠가흐 07-27 3306
6814 [기타경제]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만24세 3월2일부터 접수 (7) 헤라클롱 02-27 3306
6813 "애플, 2018년 아이폰 전 모델에 OLED 채택…삼성의 승리" (4) 스크레치 07-10 3307
6812 [과학/기술] 韓, 드론 기술 앞서고도 中에 시장 빼앗겨 (13) 스쿨즈건0 03-17 3307
6811 [기타경제] 韓조선 두달만에 6조수주 (11) 스크레치 03-01 3307
6810 [잡담] [인용] 우크라이나 거래 - 북한,중국 식량, ICBM, 극초음속… (11) 조지아나 03-06 3308
6809 [전기/전자] 세계 소비자용 SSD시장 점유율 순위 (2017년) (9) 스크레치 06-22 3309
6808 [기타경제] 'WTO패소 보복 나선日…"넙치 등 韓수산물 검사 강화" (17) 스쿨즈건0 05-31 3309
6807 [기타경제] 日 '추가 보복' 이달말 윤곽…최악의 시나리오 … (11) 스쿨즈건0 07-22 3309
6806 OLED시장 5년내 2배… 한국 수출 '희망' 되다 (4) 스크레치 12-27 3310
6805 [기타경제] 美, 중국 국유 반도체회사와 거래 금지령 (16) 굿잡스 10-30 3310
 <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