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01 08:21
[기타경제] [엔진 식어가는 독일 경제]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33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15&aid=0003940453







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 경제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1년간 유로화 가치가 8% 상승한게 

발목을 잡고 있는듯 


올해 IMF에서 국민소득 예상치가 나왔을때도 유로화 가치 상승의 도움들을 

많이 받은것을 우리가 다 목격했지만

그것이 결국 경제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듯 하네요 



최근 이탈리아 경제도 삐걱댄다는 소식도 많이 접하고 있는데 

그것도 유로화 환율 상승때문이라는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을 정도 


이탈리아는 아예 영국처럼 유로화권에서 빠져나가겠다는 생각도 있는듯하고 

하여간 유럽이 최근 혼란스럽네요 



유로화 환율이 올라서 

달러환산 국민소득들은 다들 올라갔지만 

결국 경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는듯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6-01 08:21
   
바람노래방 18-06-01 10:21
   
동아시아에서 유로화 같은 통화 연합 만들면 한국이 독일처럼 되겠네요.
대신 중국의 경제 규모는 미국을 능가할테고요.
Sulpen 18-06-01 13:12
   
중국도 마찬가지지요.

중국 입장에서 위안화 가치를 낮추는게 장기적인 무역경쟁력에서 좋은데 미국 압력때문에 가치가 절상되고 있고, 단기적으로 gdp 자체는 높아지지만 성장 동력은 떨어지게 되지요. 현재 중국이 가격 경쟁압력 없이 지속 성장할 품목이 많지 않은 입장이니까요.
     
스크레치 18-06-01 18:16
   
중국 자체적으로도 저번에 중국 학자들이 중국경제에 대해 얘기하는걸 한번 기사로 본적 있는데

향후 몇년안에 저성장 궤도에 중국경제도 본격 진입을 할 것이고

중국은 국민소득이 1만불 내외에 도달한 시점에 벌써 빈부격차가 생각보단 심하고 해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쉽지 않을거 같다는 얘기를 자기들 스스로가 하더군요
정말미친뇸 18-06-02 00:13
   
영국이 승자인가?
     
Sulpen 18-06-02 08:23
   
여전히 독일이 승자이긴 합니다.

다만 엄청난 무역흑자를 보던 독일(세계 2위 흑자국, 1위는 중국이니 경제규모 대비 무역흑자는 1위)이 경제규모에 맞게 흑자규모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도 원화강세가 됐는데 유로화 강세보다는 약하더군요
rozenia 18-06-02 06:06
   
유로화 같은 아시아판이 되려면 통일과 중국의 분할 또는 약화, 일본의 약화가 모두 이루어져야 가능할듯하네요.

외교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일본이나 중국보두 그런걸 하려고 하지 않을 가능성도 크고 서로가 머리라고 생각하는 판이다보니 ...
멀리뛰기 21-01-02 14:05
   
[기타경제] [엔진 식어가는 독일 경제]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13
   
[기타경제] [엔진 식어가는 독일 경제] 감사^^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22
6754 [전기/전자] “삼성 큰일 났네” 맹추격하는 중국…알고보니 선봉엔 … (1) 욜로족 11-26 3328
6753 현대차, 中 판매 만족도 1위. (5) 스쿨즈건0 07-03 3329
6752 [기타경제] 韓日 최저임금 현황 (시급 기준) (7) 스크레치 07-14 3329
6751 [잡담] 수치가 똑같다고 똑같은경제력인가요? (9) 돌아온드론 12-02 3329
6750 [과학/기술] 삼성 파운드리, 첨단-전통 공정 ‘투트랙’ (10) 굿잡스 03-13 3329
6749 지난해 취업 청년 10명 중 6명은 비정규직 (2) 블루하와이 01-11 3330
6748 [전기/전자] 반도체 화력 집중하는 美.."반도체에 '1000억 달러 이… (11) 스크레치 05-10 3330
6747 북미 TV시장 점유율 순위 (2016년) (7) 스크레치 03-14 3331
6746 [기타경제] 환율 2년3개월만에 '최고'...경제회복은? GDP는? (12) 귀요미지훈 05-06 3331
6745 [기타경제] 일본 주가 하락 관광객 감소, 일본 보수 언론도 화들짝 (11) darkbryan 07-12 3331
6744 [과학/기술] 멈춘 한국 원전 수출 탄력받나 (21) 귀요미지훈 09-22 3331
6743 [잡담] 2021년 1월 수출입 동향 자료.jpg (14) 축신 02-01 3331
6742 [전기/전자] 결국 삼성따라 '안으로 접는' 화웨이…22일 새 폴… (22) 안보면후회 02-03 3331
6741 [잡담] 삼성 전세계 브랜드 2위 등극 (2) 강남토박이 11-17 3331
6740 [기타경제] SK하이닉스, 반도체 설계 1위 ARM 인수 검토. (8) 샤넬케이 03-30 3331
6739 [전기/전자] 10만원짜리 '갤럭시S6' 중국산 짝퉁 (8) 귀요미지훈 08-23 3332
6738 [과학/기술] 백신 '종결자' 나오나.."코로나 계열 모두 예방할 … (4) 스크레치 06-29 3332
6737 [기타경제] 조선 '잭팟'에 미소 짓는 후광업체 (2) 스크레치 06-29 3333
6736 [전기/전자] 中화웨이 결국 중저가 스마트폰 버린다 (6) 스크레치 10-20 3333
6735 日제조업 `적자 신기록` 도시바, 지난해 순손실 9500억엔 (… (7) 스쿨즈건0 05-15 3334
6734 반도체 호조에 새해도 수출 '훨훨'…1∼10일 17.6% … (4) 굿잡스 01-11 3334
6733 [전기/전자] 삼성 5G기지국 5만3000개 깔았다…화웨이 5배 '압도' (5) 스크레치 04-17 3334
6732 [과학/기술] 폭발·화재 위험 없는 대면적 전고체전지 제조기술 개발 (10) 진구와삼숙 06-17 3334
6731 [전기/전자] 삼성 3나노 전략 윤곽…"2022년 GAA 기반 독자기술 도입" (13) 스크레치 03-11 3334
6730 [기타경제] [엔진 식어가는 독일 경제] (9) 스크레치 06-01 3335
 <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