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8-07 18:32
[전기/전자] 휴대 PC 게임기 스팀덱 성공예감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3,380  

스팀 게임 스토어로 유명한 밸브가 새로운 휴대게임기를 출시한다고 
예약을 받았는데 즉시 매진되는 인기를 보이고 
게임관련 평론가나 인플루엔서들을 대상으로 시연행사를 열였는데 
생각보다 매우 평가가 좋다.


닌텐도 스위치와는 상당히 다른 개념의 휴대 게임기이고
어쩌면 초경량 PC (UMPC) 개념에 더 가까운 게임기
가격은 400달러부터 시작.

하지만 얼마전 까지만 해도 게임계의 평가가 엇갈려서 예네들 또 개삽질한다는 소리도 들리고
(과거 몇년전에 스팀 전용 콘트롤러를 개발 출시했지만 시원하게 망했다)
나도 저렇게 크고 무거운 (무게 670그램, 닌텐도 스위치는 390그램) 게임기가 
더구나 딱히 젤다나 동물의 숲 같은 시스템 셀러 게임도 없이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아직은 회의론에 가까운 편이다.

또 현재도 이런 PC 기반 휴대게임기가 없었던 건 아니다. 중국제 x86 기반 게임기는 
그동안에도 꽤 있었지만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일단 밸브와 스팀이라는 막강한 배경을 업고 있어서 이번에는 다를 수도 
있다는 기대감을 생기게 하기에는 충분하다.
만약 이런 스팀 게임기가 성공한다면 이는 휴대 게임기라는 장르에 대한 
중대한 위상변화를 의미하는 것이라 나도 주시하고 있다.

그리고 PC 게임을 기반으로한 스팀덱 같은 휴대게임기가 성공한다면 
스맛폰 게임을 기반으로한 전용 휴대게임기의 시장전망은 한층 더 밝아질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노원남자 21-08-07 19:17
   
이왕나온다면 피시연결시 순수 패드로서 기능할수있음 좋을것같음.물론 무선패드니 무선리시버로해서 피시겜을 저걸로 조작할수있음면 딱이겠고.역시 그냥 순수모니터와연결해서 저기기자체의겜을 큰모니터로 즐길수있으면 좋을것같음.충전시 옆으로해서 듀얼모니터로도 사용가능하면 좋을것같단 생각듦.요즘 알뜰요금제도 활성이니 유심칩박아서 폰기능도 넣어쓸수있음좋지않을까 생각됨.
thisbest 21-08-07 20:05
   
그냥 엑박 클라우드로 하는게 좋을거 같음.
pc, 스마트폰 안가리고 초기 기기 구입비 안들고..
지원 게임이 늘어났으면.
     
이름없는자 21-08-07 21:57
   
액박 클라우드는 포텐셜은 있지만 와이파이가 거의 필수죠. 외국에서는 이동성이 제한됨.
노세노세 21-08-07 23:38
   
요즘 pc게임은 용량이 너무 후덜덜;; 왠만한 게임들 100기가는 가뿐히 넘어서...힘들건데..
     
이름없는자 21-08-08 00:41
   
게임 용량이 그렇게 커지는 주된 원인은 고해상도 4K 등그래픽 텍스쳐 때문인데 저 기기는 스위치보다 약간 높고 FHD 에는 다소 못미치는 정도의 해상도라 그렇게 커지지는 않습니다. 스위치는 불과 32 GB 죠.  안하는 게임은 지웠다가 나중에 다시 스팀에서 다운 받아도 이어서 할 수 있으니 다소 귀찬아지긴 하지만 결정적인 문제는 아니죠.
김정은 21-08-08 04:12
   
.
.
.
모르실수도 있지만, 밸브는 그동안 스팀게임기를 꽤 여러개 냈습니다.
그떄마다 대 실패했지요. 물론 그때마다 평론가나 언론의 평가는 언제나 좋았습니다
.
밸브가 가야할길은 게임기가 아니라 게임 스트리밍입니다. 방향을 잘못잡고 있어요.
.
이번 게임기도 게임 그래픽에 따라서 2시간에서 최대 8시간 플레이 가능합니다.
업체측의 선전이 이정도이니 실제로는 트리플A게임 같은경우는
거의 1시간대 플레이만 가능하다는 소리입니다. 사실상 휴대용게임기가 아니라는 소리.
.
평론가? 언론? 인플루언서? 다 의미없습니다.
활인검심 21-08-10 17:19
   
휴대폰 때문에 휴대게임기 시장은 디카시장과 비슷한 상황
 
 
Total 16,52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44
6603 [잡담] 농협 사기업? 공기업? (4) 순둥이 02-20 3368
6602 [기타경제] '韓무시 논란' 유니클로, 전전긍긍…롯데까지 진… (11) 스쿨즈건0 07-18 3368
6601 [전기/전자] 日직원 못보게 SK 분리막공장, '거대 가림막' 정체… (4) 스크레치 07-30 3368
6600 [기타경제] 금융위기 때와 현재 제조업 경기 비교 (10) 귀요미지훈 04-02 3368
6599 [잡담] 러시아 산업단지& 아프가니스탄 하자라족 난민(몽골계 1… (14) 조지아나 09-13 3368
6598 미국 셰일, 프랙히트 현상으로 유정 생산량 급감 (3) 뮤직클럽 10-29 3369
6597 [전기/전자] SK하이닉스, DDR5로 수요 살린다 (2) 나이희 01-14 3369
6596 '장보기가 겁난다'...먹거리·기름 가격 고공행진 (4) 블루하와이 04-04 3370
6595 [전기/전자] 삼성전자, 텔레포니카 독일과 5G FWA 시범망 구축 (3) 스크레치 09-25 3370
6594 [전기/전자] LGD CTO “폴더블 준비됐다…IT기기서 확산 기대” (5) 진구와삼숙 05-19 3370
6593 [기타경제] 불매운동에…일본 담배회사, 'KT&G 지분' 팔며 손 … (4) 스쿨즈건0 12-06 3370
6592 [전기/전자] "中 BOE, 애플에 OLED 공급"..OLED도 '치킨게임' 되나 (16) 대팔이 10-22 3370
6591 [기타경제] 삼성 ‘반도체 초격차’ 특허로 증명 (1) 굿잡스 04-16 3370
6590 [기타경제] 한국정부 인도네시아 농업투자 협약(MOU)한듯.. (11) 조지아나 04-13 3371
6589 불황에 유커 급감…서울 주요 상권 임대료 뚝↓ (6) 스쿨즈건0 04-24 3372
6588 [기타경제] 삼성 스마트폰 사업 하락세 (17) 술먹지말자 08-02 3372
6587 [기타경제] "日 제재 완화, 군사용 아니면 반도체 소재 판매"-FT (11) 굿잡스 07-10 3372
6586 [전기/전자] LG 삼성 파운드리 쓴다…DDI 위탁 (9) 스크레치 01-16 3372
6585 "우리가 인공지능·5G 주도"… KT·SKT '신경전' (4) 스크레치 04-08 3373
6584 LG디스플레이, 연말까지 中스마트폰 OLED 공급 (5) 스크레치 04-17 3373
6583 [기타경제] 아사히맥주·마일드세븐 퇴출…동네 마트도 '불매 (8) 스크레치 07-06 3373
6582 [기타경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실질적 관문공항으로 건설 (18) 너를나를 12-15 3373
6581 삼성에 이어 애플까지 가세…OLED, 스마트폰 디자인 혁신 … (3) 스크레치 01-20 3374
6580 한국 일본 1인당 GDP 연도별 비교 (2000~2022) (2) 커리스테판 08-18 3374
6579 [과학/기술] 日보다 초고순도 불화수소, 10년전 이미 한국에 있었다" (2) 케인즈 07-23 3374
 <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