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25 13:41
[금융] 빚내 집산 '영끌·빚투족' 주담대 '年6%대 시대'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1,649  


금융당국의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권의 대출 규제 영향 등으로 수도권 주택 매매시장 심리 지수가 큰 폭으로 하락했다.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의 10월 부동산시장 소비자 심리조사 결과를 따르면 지난달 서울의 주택 매매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전달 142.8에서 128.7로 14.1포인트 하락했다. 전세시장 심리지수도 서울 9월 121.4에서 지난달 111.2로 내려가는 등 수도권 전체가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0.75%→1.00%)하면서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가 조만간 6%대로 진입할 가능성이 커졌다. 0%대 '제로(0) 금리' 시대의 종언과 대세 금리 상승기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초저금리 때 빚을 내 아파트나 주식 등 자산시장에 투자한 '영끌·빚투족'의 이자 부담은 앞으로 더 늘어날 전망이다.

주담대 금리 5% 넘어…신용대출도 5% 목전

25일 은행업계에 따르면,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은행 등 4대 시중은행의 고정형(금융채 5년물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전날 기준 연 3.84~5.211%로 지난해 말(2.69~4.20%)과 견줘 1%포인트 이상 올랐다. 최고 금리가 이미 5%대를 넘어선 것이다. 변동형(신규 코픽스 기준 변동금리) 주담대 금리도 같은 기간 2.52~4.054%에서 3.56~4.936%로 뛰었다. 상단 금리 5% 진입이 목전이다. 신용대출(1등급·1년 만기)의 경우 작년 말 2.65~3.76%이던 금리가 전날 현재 3.37~4.63%로 상승했다. 역시 최고금리 5%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지난 8월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0.50%에서 0.75%로 0.25%포인트 인상한 데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에 시중금리가 오르면서 대출금리가 상승한 것이다. 금융당국의 엄격한 가계대출 총량 관리로 은행들이 대출 수요 억제를 위해 가산금리를 올리고 우대금리를 축소한 영향도 크다. 금통위가 이날 3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추가로 인상한 만큼 시중금리 상승세는 더 가팔라질 전망이다. 기준금리가 1%대로 진입한 건 작년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제로금리 시대가 끝나고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가 도래한 셈이다.

주담대 6% 진입 초읽기…가계 이자부담 5.8조↑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시중금리 상승으로 대출금리는 본격적인 우상향 추세로 진입할 것으로 보인다. 연내 주담대 최고금리가 6%대를 넘어설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자산 가격 상승기에 초저금리를 이용해 은행 빚을 낸 대출자의 이자 상환 부담도 더 늘어난다. 지난 2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1년 3분기중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지난 3분기(9월말) 현재 가계신용(가계대출+판매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서만 117조원 늘었다. 전년 같은 기간 증가액(81조2000억원)보다 35조원 가량 더 증가한 것이다.

카드·할부금융사의 외상판매인 판매신용을 뺀 9월말 기준 가계대출 잔액도 1744조7000억원에 달한다. 한은이 9월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금리 0.25% 포인트 인상에 이어 추가로 0.25% 포인트 더 오르면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은 작년말보다 5조 8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대출자 1인당 연간 이자 부담은 같은 기간 271만원에서 301만원으로 30만원 불어난다.

자산가격 조정에 대세 금리상승기

특히 집값 상승 기대심리로 과도한 빚을 내 아파트를 구입하거나 주식, 가상화폐 등에 투자한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투자), '빚투'(빚 내 투자)족은 이중고에 처하게 됐다. 정부의 돈줄죄기가 내년까지 이어지면 자산 가격 조정이 불가피한 데다 금리 상승 탓에 이자 부담은 더 커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물가 상승과 과잉 시중 유동성에 따른 가계부채 증가 억제를 위해 한은 기준금리 인상 기조는 내년까지 이어질 공산이 크다. 자본시장연구원은 이날 발표한 '2022년 경제 및 자본시장 전망'에서 기준금리가 내년에 연 1.5%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양호한 경기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물가 상승 압력을 감안해 내년 1분기와 3∼4분기 각각 1회씩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상될 것으로 예상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25 13:41
   
무영각 21-11-25 13:46
   
개두환 사랑하며 조문이나 가라    도베충베충 똥벌레야
곰탕면 21-11-25 14:20
   
이걸 예측 못한것들이 ㅄ들이지 이미 몇개월 전부터 예고하고 올리고 있는건데 ㅋㅋ 내년에는 지금 3차례 이상 금리 인상이 예고돼있음 영끌한 애들은 한강 많이 갈거다
북리 21-11-25 19:49
   
금융 부동산쪽 자산은 2년동안 많이 벌었잖아요
 
 
Total 23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8 [금융] 최악의 금융후진국 대한민국 (23) 므흣합니다 01-30 8161
157 [금융] 도둑놈들 소굴 (14) 므흣합니다 01-26 4696
156 [금융] 경제정책의 대규모 변화예고(천국과 지옥) (6) 므흣합니다 12-25 4920
155 [금융] 중개형 ISA 다들 만드셨나요 (1) 힁국 12-17 2256
154 [금융] 금융의 지배, '앵글로색슨 자본주의'의 정체 (3) 케이비 12-12 3350
153 [금융] 증권사 기준금리 오르자마자 빚투 이자 인상 ‘만지작’ (4) 사랑하며 11-29 1939
152 [금융] 다우 13개월 만에 최대 급락…Fed '테이퍼링 시계' … (1) 사랑하며 11-29 1410
151 [금융] 지표금리 상승·대출규제에...주담대·신용대출 금리 치… (3) 사랑하며 11-27 1932
150 [금융] “백신, 오미크론에도 여전히 효과”···“美증시, 월요… (3) 사랑하며 11-27 3219
149 [금융] 가계·자영업자 패닉…빚폭탄 경고등 (4) 사랑하며 11-25 1727
148 [금융] 빚내 집산 '영끌·빚투족' 주담대 '年6%대 시대… (4) 사랑하며 11-25 1650
147 [금융] 한국은행, 기준금리 0.25%P 인상···코로나 제로금리 1년 8… (1) 사랑하며 11-25 1320
146 [금융] 빗장 푸는 은행들, 재개되는 대출 "대출 완화 소식에 실… (1) 사랑하며 11-25 1271
145 [금융] "NFT도 특금법 포함…내년부터 과세 대상" (17) 사랑하며 11-23 2698
144 [금융] 터키의 진실의 시간 (4) 이름없는자 11-23 5133
143 [금융] 파월 연임 사실상 확정...내년 3차례 금리인상 전망 (1) 사랑하며 11-23 1247
142 [금융] 은행 대출 거절 당한 직장인, 연 4.5%로 2000만원 빌린 비결 (1) 사랑하며 11-23 1700
141 [금융] 올해 대출금리 1%포인트 올랐다…은행권 우대금리 부활… (1) 사랑하며 11-22 1298
140 [금융] 인플레이션, 거시경제전문가들 “공급병목 해결 어렵다… (3) 사랑하며 11-11 1007
139 [금융] "7억 받고, 직원 10명중 7명 짐쌌다"…씨티은행 희망퇴직 … (2) 사랑하며 11-11 2115
138 [금융] 마크 파버 "한국 저평가, 신흥국 가치주에 투자하라" (4) 꼬마와팻맨 11-11 2439
137 [금융] 국민연금 930조원 돌파‥8월 수익률 9.65% (2) 키륵키륵 11-09 2863
136 [금융] 미국 테이퍼링 시작…한은, 내년 초까지 먼저 기준금리 … (8) 사랑하며 11-04 3057
135 [금융] 일만 터졌다 하면.. 바이든, 삼성에 SOS (5) 꼬마와팻맨 10-15 5749
134 [금융] 韓원화 기축통화 추가 가능성 높다 (19) 스크레치 09-28 8030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