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5-27 21:17
[잡담] 역사는 반복 시, 반드시 우상향을 선택한다.(2)
 글쓴이 : 서비
조회 : 1,091  


1. 산업혁명으로 인해, 자동차가 마차를 대신하는 시점에 이르니, 마부들의 격렬한 저항이 시작되고, 극단적 상황까지 이어지는 사건! 사고들이 발생!,,, 

극단적 저항(생존권)에 의해, 영국 정부 항복,, 결과 요약,,, 마부들이 직접 만든, 조례 하나 만들어서 통과... (자동차를 막진 않겠다, 단, 시속 6.5km 이하로만 다녀야 한다). 자동차 이용자들은 포기할 수밖에....

2. 2019년, 타다, 우버,,,또는, 유사 유료 운송업체들이 획기적인 이동 발전 시스템으로, 시장 진출 시점에, 택시 운전사들의 극단적 저항(생존권)에 의해, 한국 정부 항복,,, 결과 요약,,, 어떤 업체는 불법으로 규정, 어떤 업체는 허가보류, 이유가 어떻든,,, 기존에 기획된 서비스 불가!!!

여기까지 적은, 글을 보니, 경제를 말하는 듯 하지만, 결국, 완전히 정치적으로 보수의 편에 서서, 시대를 막론하고, 노동자들을 씹고? 있네요. 인류 역사의 발전을, 인류 경제의 발전을, 발목 잡는 노동자들이라며,,,,,,,,

그런데, 제가 우상향(그래프적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속 위로 올라가는 형태) 한다고 했죠. 역사든, 경제든, 기타 인간의 모든 것은 진화라는 것에 모두 포함되어, 반드시 우상향 한다고...

마부들이 막았던, 조례 때문에, 유명무실했던 자동차... 지금 어떻게 됐나요? 

이런식으로, 인간의 역사를 포함한 모든 것들은,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식상하지만, 진리인,,, 인간에게 필요한, 인간에게 도움 되는, 인간에게 중요한 것들은, 무조건 발전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그것은, 지금까지의, 인간의 역사만 봐도, 그렇하다라는 제 생각을 말 한 것입니다.

복지는, 인간에게 필요하고 중요한 것!!!이라는 명제는 그 어느 보수나 진보도 부정하지 않습니다. 다만, 보수는, 아직은 때가 아니며, 이 때를 지키지 않아서 발생하는 부작용이 클 경우, 오히려, 인간의 발전을 퇴보시킬수도 있다라는, 안정적 견해를 내세우는 경우가 많을 뿐입니다. 

제 글쓰기 실력이 부족해서, 또는, 읽는 사람의 유권 해석으로 인해, 제 뜻과는 너무 다른 측면으로, 해석되는 면도 있는 것 같아, 보충해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부르르르 19-05-27 23:25
   
한가지 문제가 있어 보이는 부분은...
시대를 막론하고 노동자를 씹는(?) 집단은 정치적 보수가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경제적 기득세력입니다.

정치적 보수는 민족주의적 국가주의적이며 이런 가치를 지키고 발전시키기 위해 안보에 역점을 두며, 변화하는 트랜드 보다는 변하지 않는 가치관에 조금 더 중점을 두는 세력입니다.

물론 경제적인 기득세력을 국가발전의 원동력으로 보는 시각에서 보면 그 둘의 교집합 부분이 크긴 하지만 둘을 같이 볼 수는 없는 것이지요.

정치적 보수와 진보는 가치관의 차이가 핵심이라면
노동자와 기득권 세력은 이익의 상관관계가 핵심입니다.
     
금소맛 19-05-28 12:16
   
자본주의에선 당연히 경제적 기득권 세력이 있는게 당연한데 자본주의 자체를 부정하시는 건지 자본주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건지.

자본주의를 적대시한다면 사회주의로 갈수 뿐이 없고 매우 정치적인 글인데 본인은 정작 정치적이지 않다하고...

거기다 변화하지 않는건 노동주의 사회이지 자본주의는 급격히 바뀌며 변화해 갑니다. 돈 벌려고 더 열심히 일하고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고 세상이 변화하는건데 이런 자본주의 사회가 변화가 없다니요? 노조의 권리가 쌜수록 기업은 변화에 뒤쳐지고 경쟁에서 밀릴수 뿐이 없지요. 자본 입장에서 회사 마음대로 못하고 제약이 심하며 세금이 높은 국가에 누가 투자를 합니까? 자본 없이 그 노동자 밥은 누가 멕이나요? 배고파 죽겠는데 인권이며 문화며 기본적인 생활 자체가 가능한가요? 범죄가 판을 치겠죠. 흑인 인권과 여성인권 등 도 기본적으로 자본주의 발전이 토대입니다. 역사가 그래왔잖아요. 그 욕하는 경제적 기득권 세력덕에 국가가 발전하고 사회가 진보할수 있었죠.

당장 사회주의 공산주의 국가들과 자본주의 국가들을 비교해 봐도 빤히 보이는 걸.
서비 19-05-28 00:58
   
네. 무슨 말씀인지 잘 알고 있습니다. 전 말씀하신 부분을, 논리와 현실간의 부득이한 괴리? 정도로 이해하고 넘어가려 했습니다.

경제적 기득권 세력의, 대표적 특징 중 하나는, 보수 편에 서서, 또는 보수 뒤에 숨어서 자신의 이익을 관철시키는 세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이미 역사적으로도, 입증됐고, 또 한, 현실에서도, 국가 구분없이,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음식을 이미 가진 자는, 배가 부르고, 주머니가 가득 차도, 절대 나누어 줄 생각을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만, 저도 이런 욕심이라는 본질 자체를 나쁘게 만은 보지 않습니다. 이런 부분이 인간의 진화를 가속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굳이 보수와 진보 진영을, 정책을 기준으로, 구분하자면, 나눔의 구분으로 말할 수 있는데,,, 복지는, 일종의 "함께 나눔"이기 때문입니다. 보수는 지키고자 하는 성향이 강한 진영임을, 경제적 기득권층은 이미 알고 있기에, 음식을 나누지 않기 위해서는, 당연히 보수 진영으로 합류해야 합니다.

이렇게 말하면, 또, 사회주의, 아니, 심지어 빨갱이 소리까지 하는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 미리 보충하자면,,, 선악의 개념이나, 정치적 이데올로기와는 전혀 상관없는, 글자 그대로의 분배 방식만을 말합니다.

그러면, 내가 힘들게 획득한 음식을 왜 나누어야 하냐구요?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에서, 나눔이란 게 없다고 가정해 볼까요? 본인이 걷고, 운전하는 도로는 있을 수가 없으며, 마시는 깨끗한 물도 있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자면 끝이 없을 정도로....

 결국, 사회적 공동체에서는, 사회주의도, 민주주의도,,, 공통적으로 지닐 수밖에 없는 절대 가치가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네... 세금은 복지입니다. 복지의 시스템이 결국, 세금입니다. 이 세금은, 보수, 진보, 그 누구도 필요성을 거부하지 못하죠.  바로 이런 것처럼,,,

정치적 성향을 따지지 않고도, 인간의 역사, 경제, 정치를 포함한 모든 것은, 결국 발전하며, 진화하고,,, 그것을 그래프로 묘사할 때, 우상향으로 표시하는 것,,, 이것을 말한 겁니다.

아... 걱정했던, 장황한 문장이,,,, ㅜㅜ. 마지막으로, 무슨 말씀, 무슨 뜻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잘 알고 있고, 또 한, 소중한 고견에 정말 감사드립니다.
분석 19-05-30 03:12
   
결국 영국 자동차 기술자들이 독일같은 나라로 이주하게 되었고 결과물은 지금도 확인가능하죠.

기술과 인간의 욕구는 막는다고 막히는것도 아님.

소유시대에서 공유의 시대로 전환되는 시점에 백날 싸워봐야 결국 택시기사는 사라질 직업일뿐..
멀리뛰기 21-01-02 16:08
   
[잡담] 역사는 반복 시, 반드시 우상향을 선택한다.(2) 감사^^
멀리뛰기 21-01-08 16:08
   
[잡담] 역사는 반복 시, 반드시 우상향을 선택한다.(2)  잘 보았습니다.
 
 
Total 33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64 [잡담] 피치, 올 韓성장률 2.5→2.0%로 낮춰 (11) 축신 06-19 2598
263 [잡담] 정부부처 내년 예산 요구 500조 육박…올해보다 6.2% 증가 (35) 델리알리 06-15 2194
262 [잡담] 생산성 안 높이면 2.5% 성장도 어려워… 핵심 노동정책 손… (39) 델리알리 06-15 2415
261 [잡담] 60세이상 단기일자리는 전혀 문제가 안됩니다 (13) 부두 06-12 1637
260 [잡담] 중국 면담이 사실이였군요. (11) llllllllll 06-11 3627
259 [잡담] 전체 gdp에서 캐나다를 따라잡았고 이탈리아 추월직전이… (6) 폭군 06-11 2337
258 [잡담] 2019 한국 1인당 원화 gdp (12) 폭군 06-08 3989
257 [잡담] 한국의 gdp가 세계 10위로 올라섰군요 (6) 폭군 06-08 4031
256 [잡담] 미국의 1분기 호황은 반짝? 5월 고용지표 "쇼크" (4) 부두 06-08 1413
255 [잡담] 임금 상승률 '6년만에 최저'…소득주도성장 실패(… (17) 델리알리 06-07 2680
254 [잡담] 포스코 , 1조원 가량 손실 위기 직면 (9) 축신 06-07 4029
253 [잡담] 예전 태블릿 + 휴대폰 게임 영상 보고 생각난거 (4) 전쟁망치 06-07 947
252 [잡담] 경상수지 -6.6억달러…'유럽위기' 이후 7년만에 적… (72) 델리알리 06-05 2297
251 [잡담] [심층분석] 과도한 경상흑자 구조 '달갑지 않은' … (10) 부두 06-05 2709
250 [잡담] 정부·지자체 '엇박' 속 철강업계 '강력 반발&#… (9) 델리알리 06-04 1378
249 [잡담] 1분기 성장률 -0.4% 10년 만에 최저, 경기둔화 확연(상보) (55) 델리알리 06-04 1702
248 [잡담] [단독]현대차, 보조금 장벽 항복? 전기차 배터리 '중… (8) 축신 06-03 2578
247 [잡담] 대한민국 2008년부터 경상수지 (40) 호갱 06-03 2524
246 [잡담] 국내외 악재에 ‘쌍둥이 적자’까지… 경제 펀더멘털도 … (53) 델리알리 06-03 1752
245 [잡담] 화웨이는 한국 부품업체와 관계 없죠 (17) 순둥이 06-01 5233
244 [잡담] 필리핀, 말레이시아 "캐나다, 쓰레기 도로 가져가라" (4) 귀요미지훈 05-31 2801
243 [잡담] 中 철강업체, 국내 첫 진출…국내 철강업계 최대 위기 (25) 축신 05-31 6806
242 [잡담] 페루 도둑 소년의 경제학 (7) 귀요미지훈 05-30 3195
241 [잡담] 역사는 반복 시, 반드시 우상향을 선택한다.(2) (6) 서비 05-27 1092
240 [잡담] 역사는 반복 시, 반드시 우상향을 선택한다. (25) 서비 05-26 3109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