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7-27 13:31
[전기/전자] 이제 반도체 공정의 이름 체계을 바꾸어야 함.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1,084  

과거에는 예를 들어 65  nm 라고 하면 
이건 최소 선 폭이나 minimum feature size 라는 
물리적 크기를 기준으로 XX nm 라는 
명칭을 사용해서 뻥카를 사용하기가 어려웠고 
대체로 그 선폭으로 어느정도 집적밀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회사에 상관없이 
기술력 우열을 가리는 비교 지표로 사용할 수 있었음.

그런데 요즘 들어 미세화가 고도화되고 TR 구조가 다양화되며 
TSMC 나 삼성 같은 회사들이 물리적 실체가 없는 요상한 마케팅용 숫자를 
들고나와 소비자를 혼란시키는 사기를 치고 있음.
지금 TSMC 가 7 나노나 5 나노 니 하는 칩들은 
옛날 식 기준으로 하면 다 10 나노가 넘는 칩들임. 

그런데도 마치 상대방 회사보다 더 기술력이 우수하다고 착각하게 
소비자들을 오도하는  마케팅을  위해 7 나노 5나노 공정이라고 
거짓말 하는 이런 비전문가들을 고의로 혼란시키는 지랄 들을 하고 있음.

물론 반도체 설계 전문가들은 절대로 속지 않겠지만 
경제지 기자들나 투자자들, 일반인들은 삼성 5 나노 가 
TSMC 5 나노와 같은 수준의 공정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고 
네이버 경제기사 댓글이나 이 게시판에도 많이 보임. 
이거 마치 통신사들이 그 몇분의 1의 속도도 안나오는 ISP 인터넷 서비스 을
무슨 기가 인터넷이나 10 G 넷이니 하며 이름을 붙여서 팔아 먹는 거나 같음. 

그러니 앞으로 그런 장난치지 못하도록 반도체 공정을 이름 붙일때 
제곱미터당 트랜지스터 수나 SRAM 셀 숫자로 표기하도록 해야함.
보통 새로운 미세공정을 개발할 때 제일 먼저 만들어 보는게 
링오실레이터 아니면 SRAM 셀을 만들며 공정을 개발하니  
이건 공정개발이 끝나면 바로 SRAM 셀 의 면적이 나오고 
바로 밀도를 계산할 수 있음. 

이것도 물론 조작이나 과장의 위험이 없는 건 아니지만 
최소한 물리적 실체는 있는 것이니 지금 몇 나노 운운 하는 
뻘카 들 보다는 나음.  SRAM 셀 수는 CPU 침에서 제일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캐시 사이즈 등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니 
훨씬 실제적으로 비교가능한 집적도를 반영할 수 있음.
또 셀수 * 6 하면 트랜지스터 밀도로 환산도 어느정도 가능함.
또 보조지표로 논리회로의 대표인 full-adder 의 면적도 사용할 수 있음. 

그리고 지금 3 나노 2 나노 아래로 내려가면 앞으로는 1.4 나노 1 나노 0.7 나노
나 소숫점 수자를 써야 하는 문제가 있고 옹그스트름을 쓴다고해도
몇세대 후에는 다시 0.7 옹그스트름 이런 식으로 소숫점을 피할 수 없음.
나중에는 0.07 공정 이런 식으로는 계속할 수는 없는 것임.  
제곱 mm 당 SRAM 셀 숫자로 하면 제곱미터 당 몇 십만개  
( 예를 들어 230k) 로 나타낼 수 있고
더 진보된 공정일 수록 숫자가 커지니 비교하기도 좋음.

다만 이렇게 하면 그 공정의 진짜 집적도나 공정 실력이 그대로 숫자로 
드러나기 때문에 1위 업체는 좋지만 2, 3 위 업체에게는 
자기들 공정이 다른 업체보다 열등하다는 게 바로 드러나니 
그런 파라미터 공개나 사용을 꺼려한다는게 문제임.
1위 업체도 2,3 위 업체가 차기공정 개발목표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게 됨.
그래서 고객사에게만 NDA 비밀서약을 하고 알려줌.

삼성   3 나노 = 1.7 M Tr/mm2 (2022년 양산 예정)
TSMC  5 나노  = 1.73 M Tr/mm2 (2020년 양산)
인텔   인텔 4 (구 명칭 7 나노) = 1.8 M Tr/mm2 (2023 양산 예정)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71
15534 [잡담] TSMC,대만 가뭄으로 물탱크동원 (4) 유기화학 02-26 1077
15533 [전기/전자] 삼성전자, 한파 피해 텍사스에 100만달러 기부 (2) 스크레치 03-05 1077
15532 [잡담] 21년 1분기 낸드플래시 점유율 (1) 강남토박이 05-26 1077
15531 [기타경제] 한국인 최초 명예의 전당..정몽구, 세계 車산업 '레전… (1) FOREVERLU.. 07-23 1077
15530 [기타경제] "과일값 보고 고깃값인 줄 알았다" (2) VㅏJㅏZㅣ 02-12 1077
15529 [전기/전자] 세계 스마트폰시장 점유율 순위 (2020년) (1) 스크레치 01-29 1078
15528 [전기/전자] '애플 여의도' 오늘 오픈..韓시장 공략 본격화 … (5) 스크레치 02-26 1078
15527 [자동차] 日 도요타 제친 현대차 '베트남 1위' 굳힌다 (1) 스크레치 05-24 1078
15526 [전기/전자] [단독]SK하이닉스 인텔 낸드 사업 인수 자회사 美 설립 (1) 스크레치 05-26 1078
15525 [기타경제] "글로벌 콘텐츠 전쟁 시작"..빅테크가 웹툰·웹소설 기업 … (2) 굿잡스 05-15 1080
15524 [과학/기술] 포스코, 전남 광양에 7600억원 규모 리튬공장 착공 (4) Architect 05-26 1080
15523 [기타경제] "캔커피 하나 사니 2개가 공짜?" .. 편의점 '덤 마케팅&… (1) 스크레치 07-02 1080
15522 [전기/전자] LG전자 스마트폰, 올 여름 프랑스 시장 컴백 (3) 스크레치 04-23 1081
15521 [기타경제] 편의점 수제맥주 '맹렬한 싸움'..2차전 막 올랐다 (3) 스크레치 08-01 1081
15520 [과학/기술] 전기硏, 핵심 전자소자 및 전자제품 인쇄가능한 3D프린… (5) 귀요미지훈 02-25 1082
15519 [자동차] 제네시스 쾌속질주…'K-럭셔리카' 통했다 (2) 스크레치 05-16 1082
15518 [자동차] 기아 'K8' 사전계약 첫날 1만8015대..기아 세단 역대… (1) 스크레치 03-27 1083
15517 [기타경제] 빠르게 식는 中 제조업 경기..또 부양책 꺼내나 (2) 스크레치 08-04 1084
15516 [자동차] 1억짜리를 150만원에 '뚝딱'…"중국이 해냈다" 업… (1) 가비 05-05 1084
15515 [전기/전자] 삼성,일본NTT도코모와 5G장비계약 (1) 유기화학 03-23 1085
15514 [전기/전자] LG엔솔-빈패스트 협력 강화…전기 바이크 신모델에 배터… (2) 스크레치 06-23 1085
15513 [전기/전자] 이제 반도체 공정의 이름 체계을 바꾸어야 함. 이름없는자 07-27 1085
15512 [전기/전자] "1조클럽' 삼성전기, 지난해보다 올해 더 좋다" (3) 스크레치 02-03 1086
15511 [기타경제] 국회 5조8269억원 추경안 처리…日대응 2732억 포함 (4) 스크레치 08-03 1086
15510 [기타경제] 정부 日·인도산 스테인리스 스틸바 반덤핑관세 3년 연장 (1) 스크레치 01-15 1086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