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4-01 18:07
국민소득3만불달성 2010년에나 가능? 뭔소리죠?
 글쓴이 : 고질라
조회 : 3,417  

올해명목GDP1700조원정도로가정하고평균환율1100원으로가정했을시 1조6천억달러넘어가지않나요? 그리고1인당GNI도 올해원화기준으로3300만원정도잡고평균환율1100원으로환산하면딱3만불이되는데...빠르면올해늦어도내년정도에는3만불달성이유력하지않나요?도대체언론기사는어디까지믿어야되는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7-04-01 18:13
   
언론이 모든 정답인건 아니니까요

대한민국 3만불은 현재 다른것보다 환율영향이 가장 큽니다. 작년에 약 28000불 가까운 국민소득이었던것도

평균환율이 1168원이었기 때문입니다. (현재 환율 1110~1120원이니) 환율영향으로 금방 넘어갈수도 있고

아닐수도 있게 되는구조죠..

IMF나 국내경제관련 연구소등은 2018년 2019년을 가장 유력하게 보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여기서 가장 큰 변수는 환율입니다. 환율이 1200원대로 내려가게 되면 그만큼 달러환산 국민소득은 내려가

니까요... 반면 지금 현재 1110~1120원 구조면 올해나 내년에 충분히 넘어가죠...)
마카로니 17-04-02 05:00
   
뭐 옛날처럼  환율 1달러  900원대라면. 연봉 2700만원 ( 세전 )  되도  . 3만달라겠죠
-
솔찍히  1인당  GDP가 선진국 진입을 의미하지도 않고.  지금 한국 물가를 볼때.  소득에비해
-
먹거리 가격이 심각하게 높습니다.  엥겔지수가 이렇게 높은데.... 3만 달라가 된다고 해도 나아질것도 없습니다
-
일시적으로 3만 달라에 근접하거나 더나올 수도 있지만. 결국 원달러환율에서 원화가 강세면
-
결국 대기업 수출 후달릴꺼고. 대기업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결국 대기업->하청 중소기업 -> 자영업자
-
이순으로 수익 또 줄어들겠죠 수출에서 막히니까.....당연히 개인 소득도 줄고
-
일시적인 3만달러도 필요없고. 제일중요한건 .소득대비 물가입니다. 이건 정부가 시장원리를 최소한만지키면서
-
대기업 컨트롤해줘야됩니다. 한국 대기업 마인드를 떠올려본다면. 한국은  정부가 컨트롤해야됩니다
-
아직까지는. "물론 정부관려 대통령이 청렴하다는" 전제가 깔려있어야겠지만
-
아무튼 3만달러 아무 의미 없는 수치입니다
     
kira2881 17-04-02 17:32
   
3만 달러 아무 의미 없는것에는 동의합니다만, 원화가 강세면 수출기업은 이익이 다소 줄어들어도 서민들의 체험물가는 좋아집니다. 수입물가가 하락하기 때문이죠.

한국은 쌀을 제외한 그 어떤 식량도 자급율이 과반 넘기가 힘들어요... 대부분의 식량을 수입해야 하는 처지이기 때문에 환율에 따라 먹거리 가격도 달라집니다.
 
그리고 예전에 원/달러 환율 1000원 이하일때도 수출 잘만 했습니다. 그리고 지금 한국이 수출하는 주요수출품목은 대부분 가격보다는 기술력에 더 영향을 받는 제품들... 실제로 한국은 OECD에서 정의하는 하이테크 산업 기준으로도 가장 많은 수출액/무역흑자를 보고 있습니다.

게다가 주요 수출국이 북미/유럽 이기 때문에...(중국은 왜 빼냐고 하시는 분들은 공부 더하고 오시길...) 예전 일본의 프라자 합의처럼 환율이 한순간에 훅가면 모를까, 1100원대인 환율이 1000원대가 된다고 해서 갑자기 수출에 큰 타격이 있진 않습니다. 반대로 환율이 1200원대가 된다고 해서 갑자기 수출이 확 늘어나는것도 아니구요.

이건 이미 우리의 지난 과거나, 아베노믹스 시행후의 일본만 봐도 증명되었죠. 양적완화로 엔화가치 떨어뜨렸을때나, 브렉시트로 인해 엔화가치 올라갔을때도 일본의 수출액은 큰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건 일본 역시도 주요 수출품목이 하이테크 산업군이기 때문이죠.
          
스테판커리 17-04-02 20:26
   
얼마전에 기사보니까 국민소득을 명목으로 보지말고 구매력으로 보자는 사람도 있더군요

아무튼 환율이 갑자기 연말에 900원대 후반 가면 올해도 3만달러 되는거고

환율놀음이긴하죠.. 개인적으로 환율은 1000원대가 적정하다고 생각 합니다.

1200원대면 미국(트럼프)이 조작국 시비 걸고 900원대~800원대면 너무 원화강세고

1000원대가 적절하다고 생각 합니다.
               
kira2881 17-04-03 18:18
   
외국에서는 구매력으로 보는 경향이 좀더 강합니다.

왜 그런지는 저도 모르겠지만 ㅡㅡㅋ
                    
스테판커리 17-04-03 21:50
   
그게 보니까 경제규모는 노미널로 보고

1인당은 구매력이 더 맞다고 그렇게 주장 하더군요

해외에서는 그렇게 보더군요 ㅋㅋㅋ
멀리뛰기 21-01-02 08:16
   
국민소득3만불달성 2010년에나 가능? 뭔소리죠? 감사^^
멀리뛰기 21-01-08 11:16
   
국민소득3만불달성 2010년에나 가능? 뭔소리죠? 잘 읽었어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28
6459 CDS 프리미엄 조회 (2) 옐로우황 04-26 3412
6458 [기타경제] 삼성전자, DDR4 D램 ‘최종진화형’ 3200Mbps 양산 돌입 (7) 축신 05-22 3412
6457 [기타경제] 독한 바이든 中때리기 韓 역할론 대두 (6) 스크레치 06-11 3412
6456 [기타경제] 베트남 정부 “한국 자동차·화장품 제조유통 환영” (11) 스쿨즈건0 04-26 3414
6455 [기타경제] 韓, WTO 제소에…日 "양자협의 응할 것" (7) 스쿨즈건0 09-20 3414
6454 [기타경제] '일본산 꼬리표'.. 짐싸거나 존버하거나 (3) 스크레치 07-01 3414
6453 [전기/전자] 삼성전자, 5G 초격차 ‘속도’…초고속 통신 핵심 반도체… (5) 스크레치 04-06 3415
6452 [금융] 인도네시아, 은행법 개정해 한국 금융투자 유인 (7) 귀요미지훈 12-23 3415
6451 [전기/전자] 밑에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칩 수주관련 기사... (10) 3월의토끼 09-02 3415
6450 [과학/기술] 日 50년 독점 로봇용 감속기..국산화로 가격 30% 낮춰 (8) 스크레치 04-19 3415
6449 [기타경제] 한산한 일본행, 북적이는 중국행. (21) 스쿨즈건0 07-22 3416
6448 [기타경제] 외국인 韓여행 인지도·선호도 6년 연속 상승 (5) 스크레치 04-19 3416
6447 [자동차] 현대차가 삼성과 손잡은 이유는?..전기차 배터리 숨은 이… (6) 스크레치 11-03 3416
6446 [전기/전자] 갤럭시워치4, 美 인증…삼성SDI 배터리 탑재 확인 (2) 스크레치 06-17 3416
6445 [기타경제] 부동산 규제 풀고 감세 늘려 경기 띄운다 (12) 대팔이 01-05 3416
6444 중국발 '직격탄'맞은 현대차…1분기 당기순이익 … (6) 스쿨즈건0 04-27 3417
6443 사우디, 미 ‘트럼프 표밭’에 2백조원 투자한다 (3) 서울뺀질이 05-20 3417
6442 [잡담] 왠지 내년 갤럭시 시리즈가 태풍을 일으킬 것 같군요. (6) 참치 10-19 3417
6441 [자동차] 현대·기아차 일본이 태클 걸어도 잘 달린다 (9) 스크레치 07-14 3417
6440 [과학/기술] 삼성 28GHz ‘5G통합기지국’ 업계 최초 개발 (7) 귀요미지훈 10-25 3417
6439 [과학/기술] "미국이 나서기 시작…한국 메모리, 세계 1위 힘들지도" (30) Architect 03-14 3417
6438 [잡담] 반도체 수출 떡상각 ㄷㄷㄷ (1) 축신 05-21 3417
6437 앨런 그린스펀(Alan Greenspan), 영국보다 미국이 위험하다고… (4) Shark 10-06 3418
6436 삼성전자, 3분기 美 생활가전 시장점유율 1위 달성 (4) 스크레치 11-10 3418
6435 작년 전기차 판매 1위는 `아이오닉EV`, 2위는? (3) 스크레치 01-27 3418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