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1-28 02:53
[잡담] 제가 한국 imf 외환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데..
 글쓴이 : 공평
조회 : 2,459  

1997년도에 제가 없어서 그런데 imf 때 상황이 어땠었나요?

국가부도의날 영화보고 나니 그 당시 사람들이 얼마나 힘들었을까 생각이 많이드는데

혹시 그 당시에 계셨던 분들은 어떻게 생활하셨나요?

선조들이 금 모으기 운동하고 참 대단한 일들을 하셨던데 참 존경스럽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나미아미타 19-01-28 03:25
   
특히 별로 달라진건 없던걸로 기억나네요. 뉴스에는 초기에 회사가 많이 망하고 대량 정리해고랑 실업난왔다고 하긴했었음. 금모으기도 했었고 아마  70년대  후반 나이 되는 분들이 고생많이 했을걸요. 지금 그분들이 마흔줄임.
불만폭주 19-01-28 03:50
   
당시 어려웠던건 자영업, 대기업, 중소기업 및 관련 중산층과 서민층이었습니다.
일부 대기업관련 상류층도 조금 있었지만, 저나 제 주변 친구들 부모님들 중에서 어려웠던 분들은 안계십니다.
IMF라고 피부로 딱히 느낀적은 전혀 없었습니다.
그리고 당시 군대로 입대에서 이후 일은 저도 모릅니다만, 군대내에서도 IMF로 인한 어려운 일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당시 IMF사태를 발단으로 이후 대한민국의 중산층들이 서서히 몰락한 것은 사실입니다.
참치 19-01-28 04:24
   
한강 다리 밑에 경찰보트들이 시체건지느라 항상 떠있었고, 날마다 자ㅅ하는 사업가들 이야기만 나왔었음.

어느날 갑자기 금모으기를 시작하더니, 이웃돕기 성금하듯 전국으로 퍼졌죠. 금모으기 하는 걸 보고 저거 다 사기라고 하는 분들도 있었음... 지금 생각하면 그럴 수도 있겠다 싶음.

IMF 터지기 전에 크리스마스는 하나의 거대한 축제 같은 거였고, 길거리엔 온통 반짝이는 조명과 사람들이 정말정말 넘처났었죠. 아이들 장남감이 너무나 잘 팔리고, 성탄절영화의 추억이 있던 시절임.

IMF 터진다음엔 성탄절이 평일보다 못한 공휴일이 됐어요. 정말로 성탄절 노래는 커녕 일반 가요도 안 들림... 그냥 가게도 잘 안되서 어두침침함.  지금은 많이 좋아져서 이정도인데, 그래도 IMF 전의 그 분위기로는 절대 못 돌아가더군요.  IMF터지고 사람들 의식 속에 위기감이 항상 자리잡은 거겠죠.

일본 버블 터질때 은행장들 할복하고 난리가 아니었습니다. 하루에도 몇번씩 할복자ㅅ 뉴스가 터져서, 그걸 구경하던 한국에선 '배째'라는 말이 유행하기 시작했죠.  그러던게 한국에서 비슷한 게 터진거임. 웃긴것은 한국에선 굵직한 책임자들이 자ㅅ하고 그러지는 않았어요. 돈빌려서 사업하던 사람들이 많이 뛰어내렸죠.

정말 부자는 타격이 없었고 오히려 IMF이후로 더 부자가 됐고요. 중산층이 몰락했고, 서민층이던 사람들 상당수가 하층민으로 내려 앉았어요.  양극화가 급격히 심화되기 시작한 시점입니다.

금모으기 하나만 보더라도. 누가 돈을 챙겼는지 알 수 있죠.
zerosnl 19-01-28 05:05
   
군대에있었는데
부식배급이 사라지거나 줄어들었고
휴가 나와서 분위기가 대량해고로 암울했지요
세기말 분위기 xx자도 속출했고
군제대후 재입사했는데 분위기 냉랭해지고
보너스는 반토막 일강도는 쌔지고
그전에는 서로남들 도와주고
배려하는 여유가 있었다면
이후에는 오로지 서로 눈치보며 경쟁사회로
바뀌었다 해야하나요.
라이라이라 19-01-28 05:35
   
이사람한테 뭐하러 힘들게 댓글 달아주세요~
역번역용으로 이러는거 아닌가 의심스럽네요
용박사 19-01-28 11:33
   
대량 실업
중소기업 및 부실대기업 부도

지금은 편하게 이야기 하지만 ,
인생 꼬인 사람들 많았습니다.
떠나자 19-01-28 11:50
   
취업안되도 욕하는 사람 없었어요
오히려 위로받음 죽는사람도 천지인데 힘내라 좋은시절 오겠지...
긴양말 19-01-28 12:32
   
지난글 보기는 과학
봉재 19-01-28 12:37
   
원화가치하락으로 외국기업들만 신낫죠
그시절 제아는 지인이 러시아에서 자동차수입해서 팔았는데
쌍용 무소가 절반도 안되는 가격으로 사서 재미좀 봣습니다
무영각 19-01-28 12:45
   
일본인 공평씨..  여기저기 낚시 많이 던져 놓으시네
스크레치 19-01-28 13:38
   
-----------------------------------------------------

어그로
멀리뛰기 21-01-02 15:18
   
[잡담] 제가 한국 imf 외환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데..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5:07
   
[잡담] 제가 한국 imf 외환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데.. 감사^^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74
6359 [전기/전자] 일본도 SSD하면 "삼성" 하는 이유..성능·가격 다 잡았다 (2) 스크레치 03-11 2467
6358 "일본車 전성시대 다시 오나"..하이브리드 등에 업고 '… (3) 스쿨즈건0 06-24 2466
6357 [자동차] 현대車·LG 전기차 `의기투합`…10년만에 결실 (3) 스크레치 06-08 2466
6356 [기타경제] 수출물가 4개월만에 반등 (8) 귀요미지훈 01-15 2466
6355 [과학/기술] 속보]정부 "삼바, 모더나 백신 수억도스 기술이전·생산 … (14) FOREVERLU.. 05-23 2466
6354 [기타경제] 원·달러 환율 장중 1,340원 돌파..13년 4개월만 (7) NIMI 08-22 2466
6353 [기타경제] 델타항공 아시아거점 Jap에서 한국으로…인천공항 동북… (3) 굿잡스 08-15 2465
6352 [기타경제] 32,032,000,000,000,000원…중국에 날아든 코로나 배상금 청구… (12) 땡말벌11 04-23 2465
6351 [기타경제] 日업체 이탈한 스페인 韓기업 러브콜 (3) 스크레치 06-22 2465
6350 [전기/전자] "58.5% vs 15.8%"…TSMC, 삼성과 파운드리 격차 더 벌렸다 (1) 나이희 03-13 2465
6349 [기타경제] LG, 신성장 축으로 ‘베트남’ 낙점 (8) 스크레치 03-25 2464
6348 [전기/전자] 삼성전자 최대 분기실적..세계 1위 반도체의 힘 (4) 스크레치 04-26 2464
6347 [과학/기술] 삼성전자, 세계 최초 '6세대(1xx) V낸드 SSD' 양산 (14) 너를나를 08-06 2464
6346 [금융] 하나은행 3천620억원 투자한 중국민생투자 부실에 빠져 (6) samanto.. 03-15 2463
6345 [기타경제] 해외로 눈돌린 韓정유, 우물안 일본 넘었다. (4) 스쿨즈건0 07-16 2463
6344 [기타경제] 알짜 싱가포르 노선 '항공자유화' 되나… 아시아… (3) 너를나를 11-23 2463
6343 [기타경제] 한,러시아 물류(선박,철도) 연결 사업이 중요한 시점인… (5) 조지아나 03-25 2463
6342 [기타경제] 러시아 gdp추월에 대해서 (3) kj02020 06-09 2463
6341 [부동산] 수사권있는 부동산감독원 신설 (8) 사랑하며 11-01 2463
6340 [전기/전자] 삼성전자, 유럽 전체 TV 점유율 33%로 1위…프리미엄 TV 62% … (3) 스크레치 11-21 2462
6339 [주식] "한국은 실망, 미국으로 다 넘어간다"...MZ들의 과감한 결… (6) darkbryan 03-20 2462
6338 [과학/기술] CCTV·블랙박스 '사각지대' 사라질까…신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6-18 2461
6337 [전기/전자] "연휴는 남일" 韓반도체·디스플레이 공장은 '풀가동 … (12) 스크레치 02-12 2461
6336 [기타경제] “예상 뛰어넘은 한국경제 회복세, 회의론자들 또 틀렸… (2) FOREVERLU.. 05-11 2461
6335 [잡담] 제가 한국 imf 외환위기에 대해서 잘 모르는데.. (13) 공평 01-28 2460
 <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