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6-12 10:57
[잡담] 60세이상 단기일자리는 전혀 문제가 안됩니다
 글쓴이 : 부두
조회 : 1,636  

오히려 그게 문제라는 쪽에게 묻고싶네요

60대 이상 의 정규직 취업이 가능한지

외국도 60대 이상은 다 공공근로 시키지 기업에서 뽑질않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따뜻한녹차 19-06-12 11:59
   
60 대 이상 단기 일자리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현재 가장 경제적으로 왕성하게 활동해야할 20~40대 까지의 취업률도 안좋은 마당에
중장기 적인 대책 없이 단기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는(세금) 거 같이 보여 말이 많이 나오는게 아닌가 싶네요.
미봉책도 미봉책 나름 이라고 생각합니다.
     
앨라 19-06-13 14:36
   
그러면, 미봉책이 아닌, 정책을 제시해 주세요.
구르미그린 19-06-12 12:05
   
"저출산 고령화로 인력이 부족해져 한국 망한다" "통일하면 북한의 값싼 노동력을 활용해 대박이다"
라는 식으로, 인건비따먹기하는 자본가 입장에 치우친 프레임이 한국사회 담론을 수십년째 지배 중인데

정작 대다수 국민 입장에서 그런 관점은 유효하지 않습니다.

어느 나라나 대다수 국민은 노동자를 임금 주고 채용하는 자본가가 아니라,
임금을 받아 생활해야 하는, 임금소득이 끊기면 후달리는 노동자 신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복지국가로 놀고 먹는 것처럼 보이는 유럽선진국도
최대한 높은 비율의 국민이 최대한 늦은 나이까지 일해, 그 근로소득으로 본인 노후를 책임지게 하는 것만이
http://note100.egloos.com/5726178
저출산 고령화의 유일한 근본 대책입니다.

(일본은 만 15~64세 인구가 한국의 2배인데, 임금근로자 수는 한국의 3배입니다.
일본 자영업자 수가 한국과 비슷할 정도로, 일본이 자영업자 비율이 낮고,
일본 여성고용률, 노인고용률이 한국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일본노동자 평균임금이 한국과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일본 1인당 GDP에 비해 낮은 이유도,
일본 연간노동시간이 한국보다 꽤 적은 이유도,
저임금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일본 여성, 노인이 많기 때문입니다.)
구르미그린 19-06-12 12:06
   
따라서 60세 이상 단기일자리 자체는 문제가 아닙니다.

진짜 문제는 "한국 산업인력이 늙어가니 외국인노동자 더 많이 수입하고, 외국인 대량이민 받아야 한다"고 계속 언플하는 재벌 세력과 그에 따라 외국인 유입 확대해나가는 정책 추세입니다.

이런 정책 추세 때문에 한국 노인, 저소득층은 지금 정도의 일자리를 구하기도 갈수록 어려워집니다.

"외국인노동자는 한국인이 일하지 않는 곳에서 일하기에, 외국인노동자가 늘어도 한국인 피해 없다"는 사장들 언플에 수십년째 속는 한국인이 많습니다.
"외국인노동자 때문에 일감 잡기 어렵다, 외국인노동자 수입 중단해야 한다"는 건설노동자 인터뷰가 2000년대 초부터 언론에 나왔지만,
"그러게 기술을 배워야지.... 수십년째 단순 노가다만 하고 목수, 타일공처럼 기술을 배우려고 하지 않는 게으른 한국인들이 외국인노동자에게 밀린다"라고 반응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건설 현장 인력 대부분을 채용하는 팀장을 중국인들이 맡아, 단순 노가다는 물론 기술직이라는 목수, 타일골, 벽돌공 일까지 한국인이 중국인에게 밀려나는 추세고
재래시장 상인들이 대형마트, 백화점 입점은 막을지언정, 중국인 상인들이 밀고들어와 상권 잠식하고 중국인 거리 형성하는 것은 막지 못하고,
정부 지원으로, 인도/방글라데시 쪽 외국인이 운영하는 "할랄 푸드, 인도/네팔 음식 전문점"이 속속 생기고 있습니다.
구르미그린 19-06-12 12:06
   
한국 자영업자 위기를 주제로 언론, 인터넷에서 얘기하는 걸 보면
"애초에 한국 자영업자 수가 너무 많아, 상당수가 망하는 구조조정이 정상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지만
정작 가뜩이나 남아도는 한국 자영업자를 더욱 후달리게 하는
외국인 자영업자 증가를 유도하는 한국 정부 정책을 지적하는 사람은 보기 힘듭니다.

외국인 대량유입 + 기업해외이전을 촉진하는 정책들(신남방정책, 신북방정책 등)을 방치하는 한,
정부가 저출산 고령화 대처, 일자리 예산으로 매년 수십조를 쓰는 것이 밑 빠진 독에 물붓기입니다.
     
따뜻한녹차 19-06-12 12:13
   
단순히 한두가지 이유로 체감상 느끼는 취업이나 경제상황의 악화가 아니라곤 생각했지만 구르미그린님 글을 읽으니 다시 한번 새로운 관점에서 볼 수 있네요.
특히나 최근 많은 외국인 숙련공들이 공사 현장에서 일하는 모습을 티비를 통해 봤는데 저 또한 한국사람들이 하지 않는 일이라 생각했습니다. 
특히나 현 정부가(역대정부 포함)  여러가지 실타래 처럼 얽혀 있는 이문제를 단순히 몇가지 정책으로 타계할려는 모습이 좀 안탑깝습니다. 물론 입법부 또한 문제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순 없겠지만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방법이 나왔으면 하네요
     
부르르르 19-06-12 22:28
   
공감합니다.
세계화라는 프레임의 속살을 잘 살펴보면...
자본가들의 이익 극대화 첨병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게 보일겁니다.
ijkljklmin 19-06-12 12:09
   
5월 고용률이 역대 최고라고 하기에 그 고용율 증가가 문재인 정부가 세금으로 단기 일자리를 만들어 조작한 것이라고 한 것일세.
고용률: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취업자: 15세 이상 인구중  해당월 15일이 속한 주에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모두

나는 노인일자리 만드는 것에 반대하지 않지만 그 의도가 30,40대의 일자리 감소를 감추기 위한 술수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한 것일세.
     
부르르르 19-06-12 22:31
   
중사야....
조작은 니가 여기저기 싸지르고 다니는 게 조작이고...
똥물은 튀기던 정게에서나 튀겨. 사방팔방 냄새 풍기지 말고.
새콤한농약 19-06-12 13:34
   
지방중소기업에서는 원하는 사람을 못구해서 난리인데 과연 우리나라 실업율이란게 중소기업을 피하는 취업자들의 자율적인 의지는 반영하고나 있는지..
하긴 나같아도 복지혜택 전무하고 월급도 쥐꼬리인 중소기업 안가겠지만서두..
토미 19-06-12 22:19
   
왜 븅쉰같은 정책이라고 말하는건.
실제 가정의 핵심인 3,40대 일자린 급감하고
대부분 없어도 될 아니 안해도 될 60대 일자리를 세금으로
만들어서 보여주기식으로 증가했다고 눈가리고 아웅해서이지요.
즉 자기들의 지지율을 위해 자기잘못을 덮기위해
공적세금을 투입하고 실제 필요한 일자리는 급감하고
있다는겁니다.
과연 언제까지 버틸까요? 세금으로?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안하니 뭐가 문제인지 조차
들으려 보려하지 않는게 더 큰문제이지요
전정권탓 남탓 외부탓만 하고 있으니.

충분히 일자리 늘릴 수 있고 성장할 수 있는 정책이
있지만 현정권의 진보좌파 성향에 반대가 되니
안하는거지요. 게다가 집권유지를 위해서....

정작 국민과 나라의 미래를 위해서 현재 욕처먹겠다는
정치인이 없다는거.
갈수록 집권을 위해 표플리즘 남발과 허왕된 공약
그리고 공적세금 남발이 더 심해지다
언젠가 또 한번 옆구리 터지겠지요.
     
부르르르 19-06-12 22:31
   
중사야...가는 길에 토요토미도 데리고 가라.
멀리뛰기 21-01-02 16:15
   
[잡담] 60세이상 단기일자리는 전혀 문제가 안됩니다 잘 읽었어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31
6084 [전기/전자] 中 “안방시장 내줄라” 한국 전기차 배터리 경계론 (16) 스크레치 06-16 5459
6083 [기타경제] 반백살 앞둔 죠리퐁의 역주행 (6) 스크레치 06-16 3007
6082 [기타경제] "국산 캔맥주 가격 싸져도 수입산 마실 겁니다" (9) 스쿨즈건0 06-16 2430
6081 [기타경제] 트럼프 "시진핑 G20 오든 말든 대중협상 타결 자신" (3) 스쿨즈건0 06-16 2016
6080 [기타경제] 한국의 2019년 1분기 경제성장률이 -0.4가 의미하는 것은 (12) kass 06-16 2359
6079 [전기/전자] 세계 전기자전거용 배터리 점유율 순위 (7) 스크레치 06-15 4140
6078 [잡담] 정부부처 내년 예산 요구 500조 육박…올해보다 6.2% 증가 (35) 델리알리 06-15 2194
6077 [기타경제] 세계 평균수명 순위 (UN) (25) 스크레치 06-15 4693
6076 [잡담] 생산성 안 높이면 2.5% 성장도 어려워… 핵심 노동정책 손… (39) 델리알리 06-15 2414
6075 [전기/전자] "中반도체, 10년내 삼성·SK 추월 못해…반도체굴기는 과… (8) 진구와삼숙 06-15 4921
6074 [기타경제] 외신 "韓은 이미 선진국…한국인들만 못 느껴" (14) 스크레치 06-15 6599
6073 [전기/전자] 中 화웨이 “폴더블 출시 연기…접는 화면 품질 개선 위… (7) 스크레치 06-15 3151
6072 [기타경제] '탈한국'…국내투자 급감 속 해외투자는 역대 최… (9) 스쿨즈건0 06-15 3017
6071 [기타경제] 무역전쟁 여파에 中산업생산 악화. (3) 스쿨즈건0 06-15 2115
6070 [전기/전자] ARM을 위기로 몰수 있는 RISC-V 스타트업에 IT 공룡들이 투… (25) 스포메니아 06-14 5512
6069 [전기/전자] 삼성 7나노 EUV 반도체 갤럭시노트10에 최초로 탑재할 수… (10) 스크레치 06-14 3890
6068 [기타경제] "U20 결승진출 고맙다" 편의점 '맥주매출 최고치' … (3) 스크레치 06-14 2390
6067 [전기/전자] 웨스턴디지털 中 화웨이와 전략적 제휴 중단 (7) 스크레치 06-14 3430
6066 [자동차] 캐나다 자동차시장 주요 업체별 판매량 순위 (2018년) (5) 스크레치 06-14 2378
6065 [전기/전자] 허페이창신, 올 하반기 17나노 8gb 메모리 양산 임박 (21) 바람노래방 06-14 4980
6064 [전기/전자] 삼성전자 '5G 통합칩'도 '세계 최초' (11) 스크레치 06-14 4278
6063 [기타경제] 러시아에서 '연간 3억개' 팔리는 국민 라면은? (13) 스크레치 06-14 5206
6062 [기타경제] EU 통계국, 한국과의 상품교역 20억 유로 적자 (5) 귀요미지훈 06-14 4000
6061 [기타경제] 농심 신라면 모델에 손흥민...'먹방' 광고 찍는다 (10) 스크레치 06-14 1813
6060 [자동차] 현기차, 미국 자율주행 기술 회사에 투자 (3) 귀요미지훈 06-14 1640
 <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