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3-29 11:06
[자동차] 보쉬·닛산·다임러, 배터리 사업 철수…"한·중·일이 시장 이끌 것"
 글쓴이 : 답없는나라
조회 : 3,532  

“우리는 최고의 배터리를 가졌지만 (다른 회사의) 제품과 차이가 거의 없었고 비용도 너무 많이 들었다.”

디터 제체 다임러 최고경영자(CEO)는 다임러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자체 생산을 포기한 이유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전 세계적으로 배터리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탄탄한 고객 기반을 확보한 전문 제조사가 아닌 기업의 경우 사업에 어려움이 많다는 의미다.

LG화학(051910), 삼성SDI(006400), SK이노베이션(096770)등 한국 기업이 국내외 공장 증설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해외에선 배터리 사업 철수 소식이 이어지고 있다. 독일 다임러, 일본 닛산에 이어 한때 삼성SDI의 배터리 사업 파트너였던 독일 보쉬도 최근 사업 중단을 선언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자동차·자동차부품 회사들이 앞다퉈 배터리 사업에 뛰어들었지만 의미 있는 성과를 낸 곳은 거의 없다”면서 “한·중·일 배터리 제조사들이 향후 시장을 이끌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닛산이 NEC와 세운 배터리 합작사 ASEC의 배터리가 들어간 전기차 ‘리프’./닛산 제공

◇ 보쉬, 배터리 사업 투자해도 성과는 불확실

글로벌 자동차 부품회사 보쉬는 올 2월 자체 배터리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보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삼성SDI와 배터리 합작사 관계를 맺었다가 독자 사업을 이유로 결별했다.

유럽 정치인이나 자동차 회사들은 삼성SDI나 일본 파나소닉 같은 아시아 배터리 제조사를 견제하기 위해 보쉬가 계속 배터리 사업을 유지하길 원했다. 보쉬 역시 2030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20%를 차지한다는 청사진이 있었다.

하지만 보쉬는 “역동적인 외부 시장요인을 감안할 때 (배터리 사업) 투자가 성과를 낼지는 불확실하다”면서 “신규 진입자에게 시장(배터리) 상황은 도전 그 이상이다”라고 설명했다. 보쉬는 배터리 제조사들과 사업적인 협력은 계속하지만 더이상 자체 생산의 필요성은 느끼지 못했다.

보쉬는 연간 5억유로(6600억원)를 투자했던 배터리 기술 연구를 중단하기로 했다. 2015년에 인수한 미국 전고체 배터리(배터리 발화 가능성이 거의 없는 차세대 전지) 스타트업(신생 벤처) 시오(Seeo)도 매각할 예정이다.

강동진 현대차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배터리 단가를 낮추면서도 수익성을 유지할 수 있는 핵심은 ‘규모의 경제’”라며 “LG화학처럼 수주 물량을 확보하고 검증된 회사는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 닛산·다임러, 배터리 시장 개척 실패

닛산은 지난해 8월 NEC와 세운 배터리 합작사 ASEC를 중국 사모펀드인 GSR캐피털에 넘긴다고 발표했다. 매각 대상에는 AESC와 미국·영국의 배터리 생산 시설, 일본 내 기술·개발 부문 일부가 포함됐다. 구체적인 매각 조건은 공개되지 않았다.

닛산은 “AESC는 닛산이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데 중요한 파트너 역할을 할 것”이라고 했다. 업계에서는 AESC가 닛산 리프에 배터리를 공급했지만, 납품처가 한정적이라 더이상 사업을 이끌어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고 있다.

다임러는 2014년 말 자체 배터리 생산을 중단했다. 다임러는 2008년 배터리 제조회사인 에보닉과 합작사 리텍(Li-Tec)을 설립했다. 리텍은 독일 동부 드레스덴 인근 카멘츠에 공장을 두고 380명 정도의 직원을 고용했었다. 다임러의 스마트 포투 등에 들어가는 배터리를 생산했지만 사업 확장에 한계를 느낀 것으로 알려졌다.

다임러는 현재 LG화학과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답없는나라 18-03-29 11:06
   
답없는나라 18-03-29 11:18
   
중국은 내수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은 현재의 기술, 국제시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마 2022년까지는 시장을 잠식할거 같지만 그 이후로는 모르겠습니다.
일본은 도요타, 파나소닉을 필두로 미래배터리 기술에서 가장 앞서 있다고 생각합니다. 도레이같은 신소재업체들도 소재 개발에 뛰어들어 있다는 점도 가산요인입니다. 다만 테슬라 배터리리스크가 남아있습니다.
영국의 다이슨도 자체 기술을 가지고 있어 지켜볼만 합니다.
미국은 24m이란 혁신적인 회사를 통해서 배터리 가격을 대폭 내릴 것으로 전망합니다.
기사에선 eu회사가 포기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언급되지 않은 회사들은 미래 배터리 기술확보에 올인한 상태이고 eu에서 대규모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즉, eu 미래 배터리 연합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귀요미지훈 18-03-29 14:41
   
폭발하는 기술에선 가장 앞서 있는 일본 배터리..
폭발한 아이폰 배터리, 삼성 갤럭시 배터리, 이번 테슬라 배터리
공통점 전부 일본제 배터리...
멀리뛰기 21-01-02 13:51
   
[자동차] 보쉬·닛산·다임러, 배터리 사업 철수…"한·중·일이 시장 이끌 것"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03
   
[자동차] 보쉬·닛산·다임러, 배터리 사업 철수…"한·중·일이 시장 이끌 것" 멋진글~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899
6079 [기타경제] 대만은 지금이 경제적 전성기인듯? (4) 가세요 10-05 3526
6078 [부동산] 심상치 않은 청년층 속도 파국 치닫는 한국 (5) VㅏJㅏZㅣ 09-26 3526
6077 [자동차] 현대·기아차 1월 EU 점유율 4위로 '껑충'…6.8% (10) 스크레치 02-25 3527
6076 [기타경제] 유럽 1인당GDP 순위 (IMF) (11) 스크레치 05-02 3527
6075 [전기/전자] “타도 TSMC” 삼성전자, 혹한기 이겨낼 M&A 밑그림 나왔다 (4) 나이희 01-14 3527
6074 [재테크 타임] 종잣돈, 어떻게 모을까? (3) 블루하와이 01-14 3528
6073 [기타경제] 세계 빅3 조선기업 순위 (2018년 수주잔량 기준) (8) 스크레치 08-06 3528
6072 [기타경제] 오늘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 (9) 귀요미지훈 11-15 3528
6071 [기타경제] 中, 美 겨냥한 수출통제법 발효 임박… "우리 기업도 대… (17) 스쿨즈건0 11-07 3528
6070 [전기/전자] “한국폰 안사, 미국과 싸워도 아이폰” 못 말리는 중국… (14) 스쿨즈건0 11-16 3528
6069 [잡담] 북한의 GDP 정확한 계산 수치와 방법 (11) 하이시윤 01-01 3528
6068 2년 가까이 '0%대 저성장'...고착화 우려 (4) 블루하와이 06-02 3529
6067 [과학/기술] 中, '반도체 올림픽'서 3위 부상..'반도체 굴기… (5) 참치 11-22 3529
6066 [금융] 검찰 '김승유 비리'덮었다. 수뇌부 관여의혹 재수… (6) 정발남 01-07 3529
6065 [기타경제] 세계 선진국 GDP순위 (2020년) (PPP기준) (IMF최신) (2) 스크레치 05-16 3529
6064 [전기/전자] TSMC 5나노 칩 생산 30% 확대, 삼성 추격 따돌린다 (25) 대팔이 03-02 3529
6063 트럼프에 주는 中의 선물…美쇠고기 수입·금융 개방확… (6) 스쿨즈건0 04-10 3530
6062 [전기/전자] 삼성전자 6400만 화소 이미지센서 촬영 사진보니 “솜털… (11) 스크레치 07-28 3530
6061 AI 파동에 달걀값 폭등세...닭 소비는 위축 (8) 블루하와이 12-09 3531
6060 [기타경제] [뉴스] 아래 중국 부실시공 LNG선 관련 후속기사 (5) 하나둘넷 10-24 3531
6059 [잡담] 한국 대만 일본 1인당 gdp 비교 (16) 폭군 04-23 3531
6058 [기타경제] 中진출 기업들, 경남으로 다시 복귀.. (1) 스쿨즈건0 10-28 3531
6057 [잡담] 미츠비씨 중공업 대형 선박 건조 사업에서 사실상 퇴각 (9) 순헌철고순 03-30 3531
6056 [김광수 경제 연구소]빚 없이는 성장할 수 없는 한국경제 (4) 나이thㅡ 01-02 3532
6055 삼성전자 대규모 반도체 투자, 장기적으로 역풍 맞을 수… (3) 가시는가 05-18 3532
 <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