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8-07 09:14
[과학/기술] "탈원전도 안되지만, 우리지역 폐기물도 안돼".. 친원전 이율배반
 글쓴이 : 가생이다
조회 : 2,348  

- 현 정부가 친원전 정책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가운데, 일부 국민의힘 의원들이 고준위 핵폐기물을 다른 지역에 저장해야 한다는 법안을 잇따라 발의

- 원전 가동의 필수조건인 고준위 핵폐기물 시설은 반대하면서 친원전 찬성하는 이율배반적 행태

- 윤석열 정부가 꺼내든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 문제가 또다시 보여주기 식으로 끝나지 않을까 우려

- 국민의힘 의원 정동만 “문재인 정부가 핵폐기물 ‘폭탄’ 떠 넘겨”, but 박근혜 정부에서 먼저 추진한 ‘발전소내 임시저장’

- "어제는 탈원전, 오늘은 친원전" 말바꾸기 하는 국민의힘 의원들

==================
자세한 내용은 기사 본문 참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가생이다 22-08-07 09:14
   
양철북 22-08-07 13:41
   
정말 ㄷㅅ 같은것들
탈원전과 핵폐기물은 세트라는 기본적인 상식조차 없는 것들
이건 마치 마트에서 물건은 샀지만 돈은 내기 싫다는 거랑 뭐가 달라.. ㅉㅉ
ijkljklmin 22-08-07 15:38
   
원자력폐기물에 대해서 원자력발전 반대론자들은 영구처분만 얘기한다.
그러나 기술적으로 아직도 연구개발하고 향상 시킬 요소들은 많다. 핵종분리, 재처리 발전에 의한 처리량 축소, 고형화, 부피축소 등등이다.
고준위 핵폐기물이 저장할 곳이 없어서 발전소내 수조 보관하다고 하는데 어차피 열을 내는 단반감기 핵종은 수조에 보관해야 하는 것이고 이 단계를 지나면 공냉식 건식보관 단계를 거쳐 영구처분하는 것이다. 물론 이렇게 하면서 후속단계가 지연되는 것은 문제이다.  핵종분리해서 단밤감기 핵종으을 낮추고 제처리하든가 고형화 하고 부피축소하는 연구를 해야 하는데 무게와 부피축소 없는 있는그대로의 영구처분만 얘기한다. 물론 핵종분리하고 재처리하고 부피축소 해도 님비에 의한 반대는 정치적인 문제로 남는다. 촤악의 경우 부피와 중량을 최소화해서 우주로 발사하는 것까지도 생각해봐야 한다. 핀란드외에는 답이 없다고 결론 내리고 포기하면 답이 없는 것이다.
원자력 발전만 없애면  문제가 해결되는 줄 아는가? SMR은 기존 원자력발전에 비해 경제성은 떨어지지만 재처리 발전의 방법으로 유용하고 폐기물이 적은 토리움 원자로 또한 발전시켜 핵융합발전이 가능할 때까지 버텨야 한다.
     
양철북 22-08-07 16:23
   
헛소리만 주구장창 읊어대는데
그래서 어디다 버릴거냐고?
     
Lv09 22-08-07 17:29
   
SMR은 아직 검증도, 완성된 기술도 아니고 2030년은 되어야 상용화 된다고하고 폐기물은 기존방식보다 더 많이 나오는데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85
5830 [기타경제] 일본이 반해 빼돌린 칡소..10마리 '얼룩빼기'로 부… (2) 스크레치 07-21 2340
5829 [전기/전자] 첨단 무장한 韓 전기차 배터리… 글로벌 시장 ‘질주’ (4) 스크레치 03-15 2339
5828 [전기/전자] 인텔 확 따돌린 세계 반도체 최강 '삼성전자' (3) 스크레치 08-22 2339
5827 [잡담] 1분기 삼성전자 '기대 이하'…LG전자·SK하이닉스 &… (3) 티유 03-31 2339
5826 [자동차] 테슬라 뺨칠 루시드 출격.. 20분 충전에 800km 훌쩍 (3) 스크레치 09-25 2339
5825 [기타경제] 한전, 상반기 영업손실 1조 육박…탈원전 탓 아닌 구조적… (20) 달구지2 08-15 2338
5824 [잡담] 위기에 선제대응하기위해 미국이 금리인하를 하면? (6) 부두 08-18 2338
5823 부동산 투자로 노예되기 (2) 김PD 02-27 2337
5822 中 '사드보복' 게임으로 확산…3월부터 韓게임 수… (2) 스쿨즈건0 03-06 2337
5821 [기타경제] 중국인 '라면 문화' 바꾼 농심, 제2도약 나선다 (7) 스크레치 07-17 2337
5820 [잡담] 이건희 별세후 쇠락의길을 걷는 삼성.mp4 (4) GWGB 03-25 2337
5819 [잡담] 아베노믹스를 부정적으로 보는 이유 중 하나 (10) 부두 06-10 2336
5818 [자동차] 중국 자동차 업계 부채 심각, 20개 기업 200조 (5) 진구와삼숙 08-14 2336
5817 [자동차] 가솔린·디젤車의 종말?..英·美·中 이르면 2030년 판매금… (17) 스크레치 11-15 2336
5816 [기타경제] JP모건 "올해 韓성장률 4.6% 전망…코스피 3500 간다" (9) 스크레치 05-23 2336
5815 [기타경제] 포스코, 리튬원료 대량 확보 호주 필바라 합작… (3) 굿잡스 04-12 2336
5814 [기타경제] WTO후쿠시마 판결에도日 정부 대변하는 한국원자력학회. (30) 스쿨즈건0 05-22 2335
5813 [자동차] 폭스바겐 CEO "애플카 무섭지 않다..수소차 비싸고 비효율… (13) 스크레치 02-15 2335
5812 [잡담] 이제야 ‘반도체 위기’ 실감했나…文 "공급망 한국이 … (19) 븅아 04-16 2335
5811 [기타경제] 국가운명이 걸린 이탈리아, 334조원 규모 경기부양 가동 (4) 스크레치 05-01 2335
5810 [과학/기술] 물세탁·다림질 여러 번 해도 멀쩡…'고효율 발열의… (3) 진구와삼숙 02-12 2334
5809 [기타경제] 中-대만 홀린 벚꽃음료…동남아가 반한 스낵…수출 (3) 스쿨즈건0 04-09 2334
5808 [재테크] 올바른 주식투자법, 금융용어정리 #돈의속성 더노드 12-29 2334
5807 [잡담] 2월 수입차 판매량 (11) 유기화학 03-05 2334
5806 [전기/전자] 삼성전자 폭풍투자에 쑥쑥 크는 세메스 (1) 스크레치 04-08 2334
 <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