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6-04 02:38
[과학/기술] SMR 은 경제적으로 의미 없고 다른 방향에서 봐야함.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2,311  

SMR 이 경제성이 높다는 주장은 수백 기 이상 대량생산 건설 을 하기 때문에 
불과 몇 기 건설하고 마는 대형 원전에 비해 규모의 경제로 가격이 낮출 수 있다는 주장인데
실질적으로 그런 경제성이 이루어지는 것은 요원함.

원자로의 가성비를 나타내는 지표인 KW 당 건설비에서도 2030년 기준 대부분의
SMR 의  kW 당 예상 건설비는 1 만달러 가량이라 일반 경수로 5천 달러 보다 2배 높음. 

한국형 경수로 APR-1400의 (1400  MW) 건설비는 1.5 조원 (13억 4천만 달러) 인데
한국형 SMR 이라는 SMART 도 100 MW 짜리인데 1호기 예상 건설비 1조원임.
한마디로 경제적으로 전혀 타당하지 않음.

하지만 일부 SMR 중에는 소각로(waste burner) 라는 타입이 있는데 
경수로에서 사용하고 남은 사용후 연료 핵폐기물을 고속 중성자를 이용하는 
fast reactor에서  연료 (의 일부로) 사용해 소모하고 소각해 태워버리는 원자로. 
방식 자체가 용융염 증식로라 SMR 규모도 만들기에도 적합한 방식임.

이건 핵폐기물 감축이 목표이므로 핵폐기물 처리에 따른 소각비용을 오히려 
받을 수 있으므로 노의 건설비가 비싸서 경제성이 낮아도 그런 폐기물 처리 소각 수입을 
포함한 kWh 당 전력 원가는 최종 경제성은 상업로 보다 훨씬 높음.

한국의 SMR 연구는 기존의 대형 경수로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보다는 
염화물 용융염 고속로 (molten chloride salt fast reactor) 등 
핵폐기물 소각에 중점을 두어야 함.

물론 세계어디에서도 이방식의 완성되어 가동중인 원자로는 없고 
아직 실용화와는 거리가 멀고 많은 연구와 투자와 시간이 필요하다 게 약점임.
노형 자체는 1960-70년대 실험로 실험은 많이 해서 원리 자체는 검증되어 있음.
일부 미국이나 덴마크등의 Oklo 니 테라파워 등 원자력 기업들이 실용화를 위해 연구중.

중국도 용융염 원자로 연구를 위해 이미 건설에 착수했음.
https://www.joongang.co.kr/article/24109292
지금 이분야에 제일 먼저 실용화 시키는 것은 중국일 가능성이 높음.

이건 핵폐기물 영구 처리장 문제도 해결하고 원전 반대론자들도 
찬성/환영할 부분이 있어서 훨씬 여론의 반대도 적을 것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범내려온다 22-06-04 08:21
   
밀게에서 병따개 찐따새끼로 취급받으며 두들겨 맞으니까 경제게로 도망쳐 온거냐?
     
이름없는자 22-06-04 12:27
   
혹시 제가 아는 분이신가요?
아니면 또 어디서 굴러먹다온 개뼈다귀냐?
범내려온다 22-06-04 12:34
   
찐따놈이 도망쳐 온게 경제게야? 경제게는 뭔 죄가 있다고?
     
이름없는자 22-06-04 13:03
   
푸하하 누군가 싶어 더듬어보니 저번에 나한테 개망신 당하고 앙심을 품은 넘이구나. 맞지? 난 그거 다잊어 버리고 기억도 안나는데... 아이구.. 그게 그렇게 억울하고 한이 맺히고 마음에 걸렸어요? 쯔쯔... 아이고 불쌍해라... 그래 내가 잘못했다..
범내려온다 22-06-04 16:34
   
밀게의 유명한 븅신 찐따가 정신승리질 한다. ㅋ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664
5708 [기타경제] 삼성SDI, 볼보 차세대 전기트럭 개발 제휴 '잭팟'..… (5) 진구와삼숙 07-18 2311
5707 [기타경제] OECD 평균수명 TOP10 국가 현황 (2019년) (4) 스크레치 07-22 2311
5706 [기타경제] 코로나 중간 보고서 (8) 오대영 03-01 2311
5705 [전기/전자] SK하이닉스, EUV 시대 개막..10나노급 4세대 D램 양산 (5) Architect 07-12 2311
5704 [기타경제] 역대 부자나라 TOP30 (2010년 기준) (3) 스크레치 11-15 2310
5703 [기타경제] 수젠텍, 스페인·러시아 등 300억 규모 신속진단키트 공급 (2) MR100 04-21 2310
5702 [과학/기술] 주문하면 18개월,이재용이 살피던 그 장비는 (6) 없습니다 11-07 2310
5701 [전기/전자] 삼성전자, 폴더블폰 '갤럭시X' OLED 패널 올 여름 … (3) 스크레치 07-02 2309
5700 [전기/전자] 구글, "미국, 대만 반도체 의존으로 AI 리더십 상실 위기" (3) 대팔이 03-02 2309
5699 [자동차] 미국 자동차 시장 기아차 차종별 4월 판매 (3) 별하늘 05-04 2309
5698 [전기/전자] 세계 TV시장 점유율순위 (2021년 상반기) (3) 스크레치 08-20 2309
5697 [자동차] 2019년 브랜드별 글로벌 전기차 시장 점유율 (5) 귀요미지훈 01-29 2308
5696 [주식] 골드만삭스 "삼성SDI 꼭 사라" (1) 스크레치 04-12 2308
5695 [전기/전자] 삼성, 美 투자 앞두고 반도체 팹 설계 인력 뽑는다 (1) 스크레치 06-11 2308
5694 [기타경제] 미국언론 '한일 갈등 해결 미국 나서라, 한미일 의원… (7) darkbryan 07-17 2307
5693 [기타경제] [남미대륙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10) 스크레치 05-26 2306
5692 [기타경제] 넥슨, 中매각 반대 '차이나 포비아' 수면 위로 (3) 스쿨즈건0 01-10 2306
5691 [주식] 외국인, 삼성전자 12일 연속 20조 매수…日악재가 ‘보약… (7) 그루트 07-11 2306
5690 [잡담] 한국어, 태국 대학입시 채택 첫해부터 인기…5천500명 응… (5) 스크레치 02-04 2305
5689 [기타경제] 독일 경제의 위엄 (3) 코삐 07-14 2305
5688 [기타경제] 트럼프, 멕시코에 관세폭탄 예고 (11) 귀요미지훈 05-31 2305
5687 [자동차] 삼성SDI, BMW와 3조8000억 배터리셀 공급계약 체결 (4) 귀요미지훈 11-21 2305
5686 [전기/전자] 삼성 D램 초격차…이번엔 AI 슈퍼컴 정조준 (3) 스크레치 02-06 2305
5685 [자동차] 현대모비스, 세계 최초 계기판·HUD 통합한 ‘클러스터리… (3) 스크레치 06-26 2305
5684 [기타경제] 요소수 200만리터 국내 생산 돌입 (1) 키륵키륵 11-11 2305
 <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