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4-29 09:53
[부동산] [취재파일] '부동산 앞에 서면 기자인가 기레기인가?' 2탄
 글쓴이 : 부두
조회 : 1,577  

아파트값이 9억원을 넘으면 사실상 중도금 대출을 받을 수 없습니다. 가계빚이 과도해지고 부동산에 많은 자금이 쏠려 집값이 오르는 걸 막으려는 의도입니다.

그런데도 '집 없는 서민들이 대출 규제 때문에 아파트를 못 사고 현금 부자들만 집을 산다'는 내용의 기사가 많습니다. ‘부자세금’으로 불리는 종합부동산세까지 내야 하는 9억원 아파트를, 서민들이 수억원씩 대출을 받아서라도 살까요? 물론, 자고나면 집값이 천정부지로 오르던 시절에는 가능한 시나리오겠죠. 하지만 서민은 못사고 부자들만 집을 살 수 있는 배경을 '규제'로 몰고 가는 것은 논리가 맞지 않습니다.

지난해 5월부터 올해 3월까지 서울 지역 청약 당첨자 96.4%가 무주택자였습니다. 유주택자는 3.6%에 불과했고 특히 면적 85㎡ 이하 아파트의 경우에는 0.8%에 불과했습니다. 100명 중 1명도 안되는 겁니다. 일단 “수많은 현금부자들이 너도나도 줍줍한다”는 건 사실이 아닙니다. 따라서 '그들만의 세상'은 일부 분양단지에서 미계약이 발생한 경우에 국한된, 과장된 시각입니다.

한마디 덧붙이자면, 돈있는 사람이 합법적인 방법으로 집을 두 채든 세 채든 구입하는 건 자유입니다. 그만큼 세금을 더 내면 되는거죠. 

핵심은 무주택 서민이 저렴한 가격에 내 집을 마련해야 하는데 집값이 너무 올라 불가능하다는 겁니다. 저렴하지도 않은 아파트를 빚을 내서라도 살 수 있게 해달라는 건 가계부채 폭등과 부동산 시장 불안으로 이어지는 최악의 방법입니다.

그럼에도 왜 많은 언론들이 이런 기사를 쓰는 걸까요? '대출 규제’의 정확한 의도를 모르는 것 걸까요? 아니면 아파트 시장에 많은 돈이 몰리면 큰 이익을 보는 사람과 기업이 있을 텐데 그들만을 위한 기사를 쓰는 건 아닐까요?

참고로 유주택 현금부자가, 미계약 분양 아파트를 쇼핑하듯 사는 걸 막겠다면, 보통 80%인 예비당첨자 비율을 2배, 3배로 늘리면 됩니다. 그러면 무주택자의 당첨 확률이 더 올라갑니다.

[멈춰선 주택시장]‘집값 잡겠다’던 정책에 건설경기 ‘침체’

건설사의 이익 감소가 중요한지 서민들의 내집 마련이 중요한지 무게중심을 잡지 못한 기사입니다.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건설경기가 침체를 겪는 건 문제입니다. 그렇다고 “빚내 집 사게 하자“가 해결책이 될 수는 없습니다. 건설사가 아파트 이외 사업분야를 다각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설사 스스로의 노력 없이, 부동산 시장에 몰리는 돈만 바라보고 비싸게 집을 팔려고 하면 안되는 겁니다.

(이 기사는 어떤 이유 때문인지 출고 5시간 후 제목이 "수요만 누르는 정책…시장 병든다"로 바뀌었습니다)

"서울 집값 잡으려다…” 거래 안 돼 피 말리는 지방 부동산 시장

서울은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여러 규제에 묶여 있는데 반해 지방은 일부 지역만 조정대상지역일 뿐 서울과 같은 규제가 전혀 없습니다. 결국 지방 집값 하락은 규제 탓이 아닙니다. 경기침체 영향 때문입니다. 부동산 투기꾼들 입장에선 애가 타겠지만 그 지역에서 집을 구하려는 무주택 서민입장에선 좋은 일입니다.

이 기사는 “미분양으로 건설사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취득세를 깎아줘야 한다”는 취재원 멘트도 달았습니다. 고개가 끄덕여지는 말인지는 여러분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올해 집값 내려가도 내년 공시가 오른다

“올해 집값이 떨어져도 정부가 공시가격를 시세와 비슷하게 계속 올릴 수 있다. 그러면 재산세도 오른다”는 기사입니다. 집값이 떨어졌는데 세금이 더 오른다니 화가 나지요?

그런데 올해 말 집값 하락율과 내년 공시가격 상승률을 살펴봐야 세금이 진짜 늘어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이건 빨라야 내년 초에 알 수 있습니다. 그러면 현재 입장에선 “오를 수도 있다”로 써야 합니다. 기사엔 그렇게 썼지만 제목은 “오른다”고 단정적인 표현을 썼습니다. 기사 댓글은 “세금을 더 걷는 정부에 화가 난다”로 가득합니다.

용산 등 8개구 콕 집어…국토부 “개별주택 공시가 올려라”

콕 집은 게 아닙니다. 표준주택과 개별주택 간 공시가 상승률이 3%포인트 이상 벌어진 서울 8개구가 조사 대상이었습니다. 특히 용산의 격차는 7.65%에 달해 25개 구 중 최고였습니다. 이유가 있으니 조사를 했다는 말입니다. 기사 댓글에는 “정부가 왜 마음대로 행정을 하냐?”는 원망이 가득했습니다.

한 목소리로 정부 비판, 왜?

지금 정부가 "잘하고 있다"는 말을 하려는 게 아닙니다. 이번 정부는 서울 집값을 잡는데 실패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취임 초 6억 원대 초반이던 서울 아파트 중위값은 작년 11월에 8억4천만원까지 올랐습니다. 2억원이나 껑충 뛰었네요. 지금은 조금 떨어졌습니다. 국토부는 이걸 놓고 “부동산이 안정화됐다”고 자화자찬 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껑충 뛴 집값 문제를 비판하는 기사는 왜 찾아보길 어려울까요?

얼마 전 한 공기업의 새 홍보실장으로 오신 분이 건배사로 “언론은 사회의 등불”이란 말을 했습니다. 낯 간지럽기도 하면서 '언론이 등불 역할을 잘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출 규제 때문에 서민이 집을 못 산다”, “세금이 더 오른다”, “국토부가 용산을 콕 집었다” 많은 부동산 기사가 어떤 의도가 있는 것처럼 정부를 욕하면서 규제를 풀라고 합니다. 언론이 진정한 '등불' 역할을 하고 있는지 스스로 따져봐야할 것 같습니다.


https://realestate.daum.net/news/detail/main/20190426143601089


매우 좋은 기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kira2881 19-04-29 15:37
   
2017년 8.2 대책때 폭등할거라고 여기에 글 썼다가 극딜당했는데, 결과는 뭐...

당연한거 아닐런지. 노무현때랑 똑같은 사람 데려다 똑같은 정책 썼는데 결과가 다를거라 생각하는게 쪼다죠.

그때 댓글단놈들 어디 입이 있으면 씨부려보시지 ㅋㅋㅋㅋㅋㅋ. 아니, 손가락이 있으면 또 댓글로 헛소리 해보시지.
멀리뛰기 21-01-02 15:59
   
[부동산] [취재파일] '부동산 앞에 서면 기자인가 기레기인가?' 2탄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5:54
   
[부동산] [취재파일] '부동산 앞에 서면 기자인가 기레기인가?' 2탄 좋은글~
 
 
Total 16,53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762
5583 [잡담] '박항서 고향' 산청군 농식품, 베트남 수출상담회… (3) 축신 04-29 1216
5582 [잡담] 물가 인상에대한 발제글을 보고 생각한 점 (2) 환9191 04-29 564
5581 [전기/전자] 250조 투입 '한반도 반도체벨트', 더 강해진다 (29) 스크레치 04-29 4151
5580 [기타경제] [단독] 국내 최장 해저터널…관통까지 130m 남았다 (4) 스크레치 04-29 3486
5579 [자동차] 기아차 '텔루라이드' 美 판매량 1만대 돌파 (8) 스크레치 04-29 2605
5578 [부동산] [취재파일] '부동산 앞에 서면 기자인가 기레기인가?&… (3) 부두 04-29 1578
5577 [기타경제] 한국 조선소, 도크가 부족하다 (20) 귀요미지훈 04-29 5073
5576 [전기/전자] 中가전, 삼성·LG는 아직 ‘넘사벽’ ··· (11) 스쿨즈건0 04-29 4584
5575 [자동차] BMW "신뢰 회복" 한국에 1조 지원.. (6) 스쿨즈건0 04-29 3772
5574 [기타경제] 韓 조선 1분기 발주 LNG선 16척 중 10척 수주…올해도 '… (3) 스크레치 04-28 2214
5573 [전기/전자] 무모했던 1983년 '삼성 반도체 진출'…2030년 '… (5) 스크레치 04-28 2488
5572 [잡담] 삼성vs tsmc 결국 삼성이 발라버리겠죠 (9) 돌아온장고 04-28 3388
5571 [전기/전자] 삼성 통신 칩, ‘스카이’에 탑재..퀄컴과 5G 모뎀칩 2강 … (6) 스크레치 04-28 3043
5570 [기타경제] 인텔 반도체 1위 왕좌 탈환 (4) 공평 04-28 2218
5569 [전기/전자] 인텔 "삼성·SK하이닉스가 경쟁사"…차세대 메모리로 서… (6) 스크레치 04-28 2928
5568 [전기/전자] "세계 첫 상용국 韓서 배울래요"···'5G 유학' 오… (3) 스크레치 04-28 3117
5567 [기타경제] 현대ENG, 1조 러시아 플랜트 수주 `청신호` (3) 스크레치 04-28 1933
5566 [기타경제] 토 달다 (3) 유일구화 04-28 1058
5565 [잡담] 현 정부들어 음식값, 소주값이 올랐다고 하시는분들이 … (14) dkffkdl 04-28 2507
5564 [잡담] 2017년 OECD 주요국 경상 수지 비율 (4) Irene 04-28 1350
5563 [잡담] 2017년 OECD 주요국 재정 수지 비율 (4) Irene 04-28 1161
5562 [잡담] 2018년 OECD 주요국 물가상승률 (5) Irene 04-28 1211
5561 [잡담] 2018년 OECD 주요국 경제성장률 (2) Irene 04-28 1073
5560 [기타경제] 2018년 OECD 주요국 실업률 (4) Irene 04-28 1064
5559 [주식] 부산 금련산(황령산) 80조 구리 광산 개발 - 뉴스와 팩트 (5) 영대오 04-28 1736
 <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