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4-04-05 15:59
[기타경제] 중국에는 아무데서나 늘어져 있는 짤이 유행한다
 글쓴이 : 이진설
조회 : 1,227  
   http://newsimpact.co.kr/View.aspx?No=3185510 [33]

[뉴스임팩트=한성규 라오스 통신원]중국의 실업률은 2024년 1월 기준으로 5.2%다. 하지만 청년 실업률을 들여다보면 상황이 심각해진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청년 실업률은 21.3%나 된다. 오랜 기간 공부를 마치고 막 사회로 나온 다섯 명중 한명이 일을 하고 싶어도 일자리가 없어서 못한다는 뜻이다. 중국은 매년 졸업하는 대학생만 1,158만 명에 달한다. 화장실도, 샤워실도 없이 8명에서 10명이 한방에서 생활해야 하는 대학기숙사에서 4년이나 공부를 해 졸업해봤자 5명중 1명은 일할 데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하얼빈에 있는 흑룡강 대학교 학생들과 청년 실업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눠보았다. 중국에서도 공무원의 열기가 뜨겁다고 한다. 경기가 워낙에 안 좋아 사기업에 취업을 하는 것은 포기하고 몇 년째 공무원 시험에 매달리고 있는 대학생들이 많았다. 공무원의 인기가 워낙에 높아 북경 같은 인기지역의 공무원 시험이나 인기가 높은 관세청 같은 공무원 시험은 일생에 1번으로 응시횟수 제한까지 두고 있다고 한다.

공대 학생들도 취업이 어렵기는 마찬가지라고 했다. 경기가 좋을 때는 제조업체들이 공대 졸업생을 서로 모셔가려고 했지만 지금은 컴퓨터 전공 졸업생들도 취업이 어렵다고 한다.

인문학을 전공한 학생들은 사기업은 일찌감치 포기하고 교사 임용고시를 준비하는데 기본이 3년에서 5년의 수험생활을 거쳐야 자리를 얻는다고 한다. 그것도 시골에 있는 학교에나 자리가 나서 기본 1시간 정도 운전을 해서 출근을 한다고 한다.

한국 상황은 어떻냐는 질문에 한국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아 초등학생들도 의사가 되려고 학원에 다닌다고 했더니 재미있는 대답이 돌아왔다. 중국에서는 의사가 전혀 인기가 없다고 했다. 의사가 되려면 대학을 마치고도 계속 공부를 해야 하고 업무조건도 좋지 않지만 월급은 별로 많지 않다고 했다.

이유를 물어보니 의약업종의 비용이나 임금을 정부에서 확실하게 컨트롤 하고 있고 의사들을 포함한 국민들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아무도 불만을 제기하지 않는다고 했다. 중국에 있는 병원을 가보면 확실히 우리나라에 비해 의료수준은 떨어지지만 의료 서비스 진입 문턱이나 비용은 훨씬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청년 실업률 문제는 한 해 두 해의 문제가 아니다. 이미 만성이 되었다. 중국 최고의 대학인 베이징 대학에서 석사까지 마쳐도 취업을 하지 못했다는 소식도 들린다.

정부를 대놓고 비판하지 못하는 중국 청년들 사이에서는 탕핑이라는 말과 행동이 유행이다. 탕핑(躺平) 이라는 단어의 글자 그대로의 의미는, 납작하게(平) 눕는다(躺) 라는 뜻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약간 다른 의미의 인터넷 용어로 쓰이고 있다. 탕핑은 젊은이들이 사회에서 결혼, 취직 등을 포기한 채 무기력해진 상태를 의미한다. 실제로 각자의 무기력한 모습을 쇼셜미디어에 올리고 공유한다.

2016년에 연예인 팬들이 ‘탕평임조(躺平任嘲; ‘아무렇게나 누워 비웃다’)’라는 말을 쓴 것이 시작이었다. 탕핑이란 말이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때는 2021년 즈음이다.

중국의 대표 포털사이트인 바이두 커뮤니티(百度贴吧)에 ‘반혼바(反婚吧)’라는 게시판에 탕핑이라는 말이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한국식으로 말하면 “노오력”를 환멸하다 못해 이제 웃게 되었다는 뜻으로 쓰인다. 중국에서 노오력에 해당하는 말은 분투(奋斗)란 말이며 2013년 시진핑 국가주석이 등장한 이후 중국 미디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분투에 대항에 탕핑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은 음식배송 플랫폼 노동자나 폭스콘 노동자, IT기업 노동자들의 돌연사 등 문제가 발생한 즈음이다.

힘들게 노력해도 예전 세대에 비해 결과가 시원치 않자 개인의 발전을 통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을 포기하는 젊은이들의 태도가 탕핑으로 표현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무언가를 먹거나 춤을 추는 짤을 올리는 것이 유행이라면 중국 MZ들은 납작하게 드러누운 사진이나 집에서 아무렇게나 늘어져 있는 모습의 짤을 소셜미디어에 올린다. 자포자기의 심정을 적극적으로 드러내 보이는 것이다.

중국 젊은이들은 취업난과 경제적인 어려움, 끝을 모르고 오르는 집값 등으로 인해 여러 가지 압박을 받고 있다. 학교나 회사에서의 사회적 압박, 불확실성의 증가가 무기력을 낳았다. 최근에는 최대한 대충 생활하기 사진 올리기가 유행하고 있다. 사무실이나 학교에서 잠옷을 입거나 핑크색 곰돌이 무늬의 옷을 입고 늘어져 있는 사진들도 등장했다. 힘든 경쟁에 참여하는 것을 아예 포기함으로써 내면의 평화와 만족감을 찾으려 하는 심리가 담겨 있다

관광을 활성화하는 등 내수 진작책을 시행하고 있는 중국의 소매판매는 작년상반 기준 22조7천 588위안(한화로는 4천 17조원)으로 재작년 대비 8.2% 성장했다. 하지만 그동안 중국의 성장을 이끌어온 수출입 규모는 2조1천16억 위엔(한화 3천547조원)으로 2.1%성장에 그쳤다. 앞으로의 성장을 보여주는 고정자산투자도 24조 3천113억 위엔(한화 4천290조원)으로 3.8%만 성장했다.

2023년 6월 청년실업률이 21.3%를 찍은 후에 중국 정부는 더 이상 청년실업률을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 중국의 대학생들은 한국과는 달리 7에서 8월에 대거 졸업한다. 몇 개월 후면 쏟아질 1200만 명의 청년들은 또다시 시련을 겪어야 할 형편이다.

이미 안정된 일자리를 가진 중장년층은 육체노동일자리는 얼마든지 있다, 농촌으로 가면 일자리가 없어서 못 구한다. 라고 한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들이다. 심지어 중국의 국가주석은 대학생들에게 自找吃苦, 즉 고생을 사서하는 정신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이 말을 듣고 한국의 열정페이가 먼저 생각났다. 이런 식으로 청년 실업 문제에 대처하다가는 온 나라에 청년들이 다 드러누워 버릴 것 같다. 청년 실업률 문제의 진정한 원인과 대책을 고민하지 않고 그냥 우리가 해 온 것처럼 왜 안하냐는 식의 접근 방법으로는 답이 없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87
15448 [기타경제] 출산률 관련 (5) 압스 12-02 1126
15447 [기타경제] 韓 조선, 기대 접었던 해양플랜트도 발주 쏟아진다 (4) 스크레치 06-09 1128
15446 [기타경제] 韓 소비자 80% "일본제품 불매운동 찬성" (5) 스크레치 08-31 1129
15445 [기타경제] 중국, 코로나에도 시총 10조 달러 돌파 (6) 아빠가흐 07-20 1129
15444 [과학/기술] 보복은커녕 역풍 맞은 日..불화수소 대일 의존도 확 줄었… (4) 스크레치 07-02 1129
15443 [기타경제] 지난해 세계 LNG선 90% '조선 빅3'가 수주 (4) 스크레치 01-31 1130
15442 [자동차] 올해 팔린 국산車 2대 중 1대 현대차…'팰리세이드… (3) 스크레치 07-02 1130
15441 [기타경제] 토종 신발 편집매장 '폴더', Jap ABC마트 맹추격 (6) 굿잡스 07-30 1130
15440 [부동산] 전셋집 없어서…임대주택 들어가려 '밤샘 줄서기' (4) 영어탈피 11-15 1130
15439 [주식] 기간투자자의 계좌수익률 그리고 지팡이천사 11-27 1130
15438 [자동차] "레벨4+ 자율주행 상용화 기반마련한다"...한화시스템, 나… (1) 스크레치 05-01 1130
15437 [재테크] 경제 겔이라 문의함.. (4) Madbull 03-09 1131
15436 [자동차] 미 자동차 융자 급증..차 산업 회복 청신호 (1) 스크레치 02-13 1131
15435 [기타경제] 셀트리온,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 의료… (1) 스크레치 02-17 1131
15434 [전기/전자] 전세계로 옮겨붙는 "가전은 LG"..매출 中 59%·유럽 43%↑ (1) 스크레치 05-20 1131
15433 [자동차] 현대차 아이오닉5, 英 '올해의 차' 선정…6관왕 (7) 스크레치 07-08 1131
15432 [전기/전자] 반도체 수급난에...SMIC, 미국서 일부 장비 수입 허가 받아 (5) 빅터리 03-03 1132
15431 [잡담] 스냅드래곤 895는 삼성파운드리 생산이 거의 유력합니다. (2) 포케불프 06-08 1132
15430 [잡담] 주식 환율 다 난리네.. (4) 미친파리 03-19 1133
15429 [과학/기술] LG화학, 글로벌 車배터리 점유율 1위…삼성SDI·SK이노도 &#… (2) 진구와삼숙 06-16 1133
15428 [기타경제] 편의점 점령한 수제맥주..손내미는 치킨·기존 주류업체 (2) 스크레치 02-06 1133
15427 [기타경제] 스페인 6월부터 '관광객 환영'..백신 접종이나 음… (2) 스크레치 05-08 1133
15426 [기타경제] "자동차·선박 130%↑" 부산·경남 4월 수출 33.5% 증가 (1) 스크레치 05-20 1133
15425 [자동차] 日 미쓰비시 자동차 유럽시장 철수 계획 번복하나 (1) 스크레치 02-24 1134
15424 [기타경제] OECD, 韓 경제성장률 3.3%로 상향 조정.."코로나 충격 최소… (4) 스크레치 03-10 1134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