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29 14:00
[재테크] 공시가 18억원 주택 종부세 ‘81만원’ vs ‘2159만원’…26배差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3,689  


정부가 시가 26억원(공시가 18억원) 상당의 아파트를 보유한 1세대 1주택자가 올해 종합부동산세로 70만원 안팎을 낸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부동산 시장에서는 일반화된 사례로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실제로는 이런 주택을 가진 사람이 400만원이 넘는 종부세를 내기도 한다. 합산 가격이 18억원인 2주택자라면 2000만원을 넘길 수도 있다. 이처럼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은 종부세율 인상 폭과 기준선 조정 유무 때문이다.

29일 부동산 세금계산서비스 '셀리몬(Selleymon)'의 종부세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올해 시가 26억원(공시가 18억원) 상당의 주택을 보유한 1세대 1주택자의 종부세는 최저 81만2000원이다. 이는 1세대 1주택 단독명의자에게만 적용해주는 연령·장기보유 공제를 최대치인 80%까지 적용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수치다.

현행 종부세법은 한 사람이 보유한 전국 주택의 공시가격 합계에 기본공제를 빼 세액을 산출한 후 연령과 보유기간을 계산해 세액을 공제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1세대 1주택 단독명의자에게만 적용하는 연령 공제의 경우 60~65세에 20%를, 65~70세에 30%를, 70세 이상에 40%를 적용한다. 장기보유공제는 5~10년에 20%를, 10~15년에 40%를, 15년 이상에 50%를 해준다. 두 가지 공제를 합산한 한도는 최대 80%다.

즉 65~70세이면서 15년 이상을 보유했거나 70세 이상이면서 10년 이상을 보유해야 공제 최대치인 80%를 적용받을 수 있다. 기재부는 종부세 관련 해명자료에서 사례 중 하나로 공시가 18억원 주택의 올해 종부세를 70만원으로 적시했다. 23년을 보유한 68세란 가정에서다.

해당 주택의 공시가 현실화율, 연령과 보유기간 등 개인이 처한 상황에 따라 종부세 금액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공시가 18억원 주택을 가진 1세대 1주택자 중 올해 종부세를 70만∼80만원 정도 내는 사람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일례로 연령·보유공제를 하나도 받지 못하는 계층은 상황이 달라진다. 공시가 18억원 상당의 집을 보유한 60세 미만이면서 5년 미만 보유자는 종부세 부담액이 406만1000원으로 올라간다. 연령·보유 공제를 최대한으로 받은 사람보다 5배 많은 금액이다.

재산세까지 합치면 보유세는 1000만원 안팎이 된다. 공제를 20% 받는 사람은 올해 종부세로 324만9000원, 40%는 243만6000원, 60%는 162만4000원을 낸다. 공시가 18억원 주택을 부부공동(지분 50대50) 명의로 보유한 1주택자가 부담하는 종부세는 올해 186만7000원(부부합산)이다.

고가주택일수록 부부 공동명의가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당수가 단독명의로 연령·보유 공제 최대치를 적용받은 81만2000원의 2.3배인 이 정도 금액을 부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부부 공동명의자들은 연령·보유 공제가 유리하다고 판단할 경우 올해부터 단독 명의로 변경 신청을 할 수 있다.

인별 합산 공시지가가 같은 18억원이라도 서울에 1채(공시지가 14억원), 조정대상 지역인 지방에 1채(공시지가 4억)를 가진 2주택자라면 부담해야 할 종부세가 올해 2159만1000원으로 불어난다. 공제를 최대한도로 적용했을 때(81만2000원)의 26배를 내야 한다.

정부는 1주택자에 대한 종부세율을 올해 0.5∼2.7%에서 0.6∼3.0%로 0.1∼0.3%포인트씩 상향 조정했다. 이에 비해 조정대상지역 2주택이나 3주택 이상 다주택자의 종부세율은 0.6∼3.2%에서 1.2∼6.0%로 0.6∼2.8%포인트씩 두 배 가까이 끌어 올렸다.

정부는 다주택자를 사실상 투기혐의자로 보고 징벌적인 과세 원칙을 적용했다.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종부세 과세 기준선을 기존 9억원에서 11억원으로 올렸지만, 다주택자에게 적용되는 일반 과세 기준선은 6억원을 그대로 뒀다.

셀리몬 운영사 아티웰스의 이선구 대표는 "주택 공시가격이 같아도 단독명의냐 공동명의냐, 보유자의 연령과 보유기간 등에 따라 종부세 부담이 크게 달라진다"면서 "사전에 모의 계산을 통해 납세자에게 유리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29 14:00
   
대기행렬 21-11-29 14:13
   
컨트롤 씨 후 컨트롤 브이면 애국자

컨트롤 씨 + 컨트롤 브이 = 애국자, 평론가, 계몽자, 나은 사람

뭐 이렇게 생각하나보다?

사랑하며?? ㅋㅋㅋㅋ 사랑이 뭔지도 모를 거고

지가 뭐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지

불쌍한 인생이니 쪽팔리지도 않겠지
     
사랑하며 21-11-29 14:37
   
컨트롤 v 씨, 바로 누구? 거울을 보세요.
ijkljklmin 21-11-29 16:23
   
보유세 전체를 따져봐야지 가장 적은 케이스의 종부세만 제시하면 되겠는가? 재산세+종부세가 얼마만큼의 부담인가를 봐야 한다. 2주택 이상의 보유자는 전세든 월세든 임대할 것인데 보유세가 임대료 인상에 어떤 영향을 줄지도 봐야 한다.
     
왕덕배 21-12-01 19:41
   
너같은 것들이 그렇게 주장해서
지금까지 온거야
전가 시킨다고??? 올리면 세가 나가냐?
방구석에 쳐박혀 있지말고
직접 부동산가서 집을 내놔봐
(집이나 있긴 하냐?)
          
레이지 21-12-10 09:41
   
세금이 임대료에 전가되는 건 맞음. 실제 미국이 그렇고요. 물론 거긴 종부세는 없고 대신 원천징수가 쎔. 그런데 그 원천징수로 재산세 감면함.
OOOOOO 21-11-29 22:35
   
병먹금
어이가없어 21-12-01 09:49
   
공시지가 18억이면..실거래가 대략 25억쯤일테고..5년 미만 거래에 적은 나이라면..
400만원이 부담?.....
장난하냐?
왕덕배 21-12-01 19:43
   
공시가 5억짜리 집도 없는 것들이
이런거 퍼날느드만
공시가 18억짜리 집 살고 있는 사람들 걱정은
니가 안해줘도 잘먹고 잘살어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58
5509 中 지방정부, GDP 470조원 부풀려 발표 (5) 스크레치 02-17 3687
5508 [자동차] 현대차, 베트남 시장 1위 등극 (19) 귀요미지훈 01-14 3687
5507 [잡담] 망한 소니 근황 (37) 김너겟 02-05 3687
5506 대출 급증 속 금리 부담 가중...가계 빚 부실 우려 (6) 블루하와이 12-18 3688
5505 [기타경제] "500억 잡아라"…국제관광도시 선정 놓고 '부산 vs 인… (3) 너를나를 01-21 3688
5504 [전기/전자] LTE 속도 넘은 와이파이 "5G 따라 잡는다" (5) 너를나를 02-18 3688
5503 [기타경제] 韓 '글로벌 No.1' 품목 7개…일본과 공… (7) 스쿨즈건0 08-15 3688
5502 [자동차] 전기차 가격 낮출 '핵심 기술'..한국인이 최초 개… (5) 스크레치 08-18 3688
5501 [전기/전자] 탈일본에 화들짝 日기업 1000억들여 한국에 공장 건설 (3) 스크레치 09-01 3688
5500 [기타경제] 포스코 세계 최대 두께 철강 반제품 연속 생산 성공 (17) 스크레치 06-15 3689
5499 [기타경제] 日“보복 아니다” 국제 여론전 방침…걸림돌은 아베. (8) 스쿨즈건0 08-07 3689
5498 [금융] 치솟는 원화 가치.. 1000원대 가능성은 (36) 스크레치 11-10 3689
5497 [전기/전자] 삼성 마이크로 LED TV 출시. (14) 없습니다 12-11 3689
5496 [전기/전자] 삼성 EUV공정에 국산 PR 추진..SK는 불화수소 내재화 '… (6) 스크레치 08-26 3689
5495 [전기/전자] "韓 OLED 경력자에 연봉 2배"…中 패널업체, 기술 탈취 '… (2) 나이희 09-08 3689
5494 배춧값 70% 올랐는데 공식물가는 1%..."실상 반영 못 해" (3) 블루하와이 01-11 3690
5493 한국, 먹고 살기 힘들다…식료품ㆍ집값 세계 최고수준 (3) 블루하와이 01-15 3690
5492 [잡담] 중국 현지 평균임금 수준이 얼마정도 하죠? (10) 로빈손 06-25 3690
5491 [자동차] "290톤 초대형 트럭은 수소 밖에 답 없어" 보폭 넓히는 수… (4) 스크레치 06-06 3690
5490 [주식] 종합주가지수 주봉 (15) 지팡이천사 08-19 3690
5489 [자동차] 반도체 재고 쌓였다던 日도요타 마저..日공장 셧다운 (6) 스크레치 05-19 3690
5488 [재테크] 공시가 18억원 주택 종부세 ‘81만원’ vs ‘2159만원’…26… (9) 사랑하며 11-29 3690
5487 개인도 100만원으로 빌딩 투자 가능...수익률 5~7% (5) 블루하와이 11-19 3691
5486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1위 굳힌다.. 세계로 뻗어가는 '갤럭시Z폴… (6) 스크레치 09-25 3691
5485 한국 ,미국,일본 ,중국 산업기술격차[기술수준평가보고… (9) 케인즈 11-16 3692
 <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