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9-25 23:12
[전기/전자] 퀄컴도 엔비디아도 TSMC…삼성 파운드리 해법은?
 글쓴이 : 나이희
조회 : 2,288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138/0002133249?sid=105 [57]

- 삼성전자, 연이은 대형 고객 이탈
3nm 선점·설계지원 등으로 반전 노려야


[디지털데일리 김도현 기자] 대만 TSMC가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왕좌를 공고히 하고 있다. 현시점에서 유일한 대항마인 삼성전자는 기존 고객을 연이어 경쟁사에 내주면서 기세가 가라앉았다. 삼성전자는 뼈아픈 결과를 받아들이고 첨단 공정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승부 볼 방침이다.

◆‘눈 뜨고 코 베인’ 삼성전자=지난 20일(현지시각) 엔비디아는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RTX40’ 시리즈를 소개했다. 새로운 아키텍처 ‘에이다 러브레이스’를 적용해 전작 대비 성능을 약 4배 높였다.

주목할 만한 부분은 공정 개선이다. ‘RTX30’ 시리즈는 8나노미터(nm) 기반이었다면 신작은 4nm 기술이 도입됐다. 또 다른 변화는 생산 업체가 삼성전자에서 TSMC로 바뀐 점이다.

GPU 시장은 20조원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중 엔비디아는 80% 이상을 차지한다. 엔비디아 신제품 수주를 따냈다는 건 조단위 수익을 확보했다는 의미다. 앞서 TSMC는 슈퍼컴퓨터 등에 쓰이는 엔비디아 ‘H100’ 제조도 담당하게 됐다. 양사 간 협력이 강화되는 추세다.

삼성전자가 고배를 마신 이유로 선단 공정 신뢰성을 꼽힌다. 반도체 설계부터 생산, 완제품 등 전자산업 전반을 다루는 삼성전자는 태생적으로 파운드리 시장에서 불리하나 엔비디아의 경우 품목이 직접적으로 겹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협업이 수월했다.

다만 코로나19 국면 들면서 GPU 공급난이 촉발한 가운데 대만 언론 등에서는 삼성전자 파운드리 수율(완성품 중 양품 비율)에 대해 문제 제기한 바 있다. 이를 계기로 다음 제품에서 거래 조건이 더 좋은 삼성전자 대신 TSMC를 선택했다는 후문이다.

최근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 경계현 사장은 해당 내용을 일부 인정하기도 했다. 그는 “5nm 및 4nm 공정은 TSMC보다 개발 일정과 성능에서 뒤처졌다”고 언급했다.

비슷한 이유로 퀄컴도 파운드리 협력사를 변경했다. 지난해 말 출시한 ‘스냅드래곤8 1세대’를 삼성전자 4nm 공정에서 양산했으나 지난 5월 선보인 ‘스냅드래곤8+ 1세대’는 TSMC 4nm 라인을 활용했다.

업계에서는 오는 11월 공개될 ‘스냅드래곤8 2세대’도 TSMC가 담당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실화하면 삼성전자는 대형 고객 2곳을 고스란히 넘기게 되는 것이다.

TSMC는 최대 고객사인 애플과의 관계가 탄탄하고 AMD 등 글로벌 기업과도 최신 공정 관련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이대로면 삼성전자와 격차가 더욱 벌어질 가능성이 크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이름없는자 22-09-25 23:21
   
제일 문제가 삼성전자는 그동안 너무 거짓말을 많이 했음.
보통 양산발표를 하려면 80% 이상 수율에 자신이 있어야 하고 그 이하는 위험생산으로 알려서
고객사가 주력제품은 그런 공정에는 의존하지 않았어야 하는데
삼성은 수율 30% 의 개발중인 위험공정을 양산공정이라고 거짓말로 고객사를 속여서 수주받음.
하지마 실제 수율이 너무 낮아서 고객사들이 큰 고통을 받음. 즉 고객들을 베타테스터로 삼음.

그러니 삼성에 생산을 맡긴 퀄컴도 낮은 수율로 제품공급에 고통을 받아 영업에 지장을 받고
결국에는 TSMC 에 다시 맡겨서 플러스 모델이 나와야 성능과 전력 수율등이 제대로 나옴.
그러니 그런 시행착오를 없애기 위해서는 처음부터 TSMC 에 맞기는게 퀄컴으로선 정답임.

앞으로도 내가 반도체 업체라도 삼성은 일단 다른 큰 회사가 먼저 양산에 들어가서
양산에 성공했다는 소식을 확인한 후에야 삼성에게 주문을 할 수 밖에 없음.

지금은 삼성의 4 나노공정이 TSMC 보다 훨씬 못하다는게 드러난 이상
3나도 공정도 TSMC 3나노 공정 보다 낫다고 볼 이유가 없음.
정원사 22-09-26 07:55
   
재드래곤이 마이너스의 손이라고 다 알고 있는데 기업 운영에 그놈의 혈통이 뭔지 e삼성 망하고 재드래곤이 손대는건 다 성과가 안남.
행복찾기 22-09-26 08:18
   
이재용이 물러나고
이건희같은 인물이 삼성을 이끌어야 삼성이 살아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이재용.. 너무 무능해요.
     
초빈지 22-09-26 09:26
   
정의선보다 무능한게 이재용이네요.
 
 
Total 16,51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320
15412 [전기/전자] 삼성 파운드리, 내년 MPW 횟수 20% 늘린다 (1) 나이희 10-10 2725
15411 [전기/전자] "한국은 후진국" 탄식…삼성 말고 키워야 할 곳 따로 있… (1) 나이희 10-10 4406
15410 [전기/전자] TSMC 3분기 매출 yoy 48% 증가 (5) 미켈란젤리 10-10 2845
15409 [잡담] 차세대 그래픽카드가 두꺼운 이유는 '삼성 때문' (44) 토트넘팬 10-09 5385
15408 [잡담] [YTN] 갑질하는 부산 Bㅇㅇ 회장 사업주.. (4) 조지아나 10-08 4067
15407 [전기/전자] 美·中 고래싸움에 반도체는 새우등? “삼성에 오히려 순… (11) 나이희 10-07 5135
15406 [잡담] 무역수지부터 제대로 알고 떠들자 (8) 마르티넬리 10-06 3456
15405 [잡담] IMF 행에 대한 우려 (9) 혜성나라 10-06 3242
15404 [전기/전자] 삼성 "2027년 1.4나노 양산" 선언... TSMC와 정면승부 (8) FOREVERLU.. 10-04 5859
15403 [잡담] IMF는 안오다는 분. 노벨상 드리고 싶다 (13) 할수없다 10-03 5215
15402 [기타경제] 한국 외교, 기로에 서다 [풀영상] | 시사기획 창 (2) 나이희 10-02 3096
15401 [전기/전자] "TSMC·삼성, 역전"…인텔, 연내 1.8나노 반도체 설계 완료 (14) 나이희 10-02 8626
15400 [전기/전자] TSMC가격인상 요구에'최대 고객사' 애플 "거절" (5) 나이희 10-02 4506
15399 [과학/기술] DNA 분석 대중화 시대 이름없는자 10-02 1621
15398 [잡담] 애플 이탈리아 Seria A 나폴리팀과 파트너쉽 가능성 대화(… 조지아나 09-30 3075
15397 [기타경제] IMF 하루전 (8) 엠케이스 09-30 5314
15396 [기타경제] [속보] 10월 1일부터 가스요금 16% 인상…月 5400원 추가 부… (2) NIMI 09-30 4017
15395 [잡담] 멍청하면 쓰지를 마라 (20) 마르티넬리 09-30 3621
15394 [자동차] 폭스콘 미국 전기차 생산 시작 (9) 디저 09-30 4162
15393 [금융] 일개 존문가가 날뛰네.., (13) 프레이재멍 09-29 3895
15392 [전기/전자] 진격하는 삼성 파운드리, 대만 TSMC와 점유율 격차 좁혔다 (9) FOREVERLU.. 09-28 6370
15391 [잡담] IMF는 안 감 (32) 마르티넬리 09-28 4487
15390 [기타경제] 코스닥, 겹악재에 3%대 '폭락'…연저점 깨고 670도 … (5) NIMI 09-28 2303
15389 [기타경제] 원달러 환율 1440원 돌파..13년6개월래 최고(종합) (2) NIMI 09-28 1648
15388 [잡담] 환율 2천원까지 폭등할듯 (22) Verzehren 09-28 4045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