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3-30 21:47
[기타경제]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경기지표 동반하락 역대 최장
 글쓴이 : Dedododo
조회 : 1,294  



https://youtu.be/4pJJ_1fgp9A

생산·투자감소, 5년여만에 최대폭…선행·동행지수 9개월째 동반하락
통계청 2월 산업활동동향 발표…"제조업 전반적으로 감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Dedododo 19-03-30 21:49
   
다함께 잘사는 포용국가 내세웠으나 결론은 최악의 빈부격차
 일자리 목표, 당초의 절반으로 하향 조정해도 달성 힘들 듯
 소비자심리지수·산업의 생산능력지수 하락세
문삼이 19-03-30 22:01
   
씨방새가 한국 망한다고 난리 쳐도  현실은 세계 경기 동반 하락임...
그중에 한국은 견실한 성장을 유지중임....

https://news.v.daum.net/v/20190316062006552
Dedododo 19-03-30 22:11
   
文정부 경제정책 잘못" 66% "
성공한 정책 하나도 없다" 40%

10명 중 5명 "경제위기"
20대 93% "경제 힘들어"
위기 아니라는 靑과 대조

실패한 정책 1위는
소득주도성장 32% 꼽아


https://news.joins.com/article/23177598
     
문삼이 19-03-30 22:14
   
언론에서 경제망한다고 난리치니 거기 세뇌되니까 그런거쥐....
이런건 발표 안하거든요....https://news.v.daum.net/v/20190316062006552
Dedododo 19-03-30 22:25
   
일본 취업률 90%에…청년층, 아베 4연임 찬성 53% 반대 31%

아베노믹스에 일자리 늘어… 日 젊은층 ‘아베 4선’에 긍정적


https://mnews.joins.com/article/23425805#home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3281526347759
     
문삼이 19-03-30 22:28
   
          
Dedododo 19-03-30 22:33
   
여권 내부에서 쏟아진 경제정책에 대한 날 선 비판들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812191563726186
               
문삼이 19-03-30 22:36
   
현재 몇몇 언론 빼고는 모든 언론들이 한국 경제 망한다고 난리쳤지만 결론은 이것임....

https://news.v.daum.net/v/20190316062006552
세계 불황속에서도 견실한 성장 유지....
                    
Dedododo 19-03-30 22:39
   
세번째 똑같은 링크를 붙복하는군요

이것말고 다른 기사 없습니까?
                         
문삼이 19-03-30 22:43
   
내 기사는 세계가 불황인 가운데 한국은 견실한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는 경제지표인데요.....
그리고 위에 썼잖아요...
한국 경제 망한다고 노랠 부르는 매국 언론들 뿐인데요....
오히려 세계 경제지표를 보면 일본이 망하고 있는데 그런 일본 빨아주는 언론이 제정신일리가 없죠....
     
kebiclub 19-03-30 22:33
   
일본 국가부채 1경 4천조 원 이상!
아베! 대단하네!

일본 아베가 국가부채로 나라가 흔들리는데,  왜 지금 이러는 줄아냐?

지금 상황이 엄청난 국가부채에 대한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데, 하지 못하는 것은
하게 되면
일본 선진국에서 중진국으로 내려간다.

그럼 자신들 만의 정치가 망가진다.
아베는 자신이 국가라고 했다.

국가기 때문에 충분한 지지율이 필요하다.
그래서 지금 이러고 있는 거다.
          
Dedododo 19-03-30 22:37
   
일본 국가 부채 문제가 우리나라와  무슨 관계?

소득주도성장, 겸허히 궤도 수정해야

https://www.hankyung.com/article/2019022145391
               
kebiclub 19-03-30 22:41
   
일본과 상관없는 것이 아니라, 너가 지금 일본을 가지고 와서
쓴거다.
가져 오지 않았으면 여기에 글쓰지 않았을 거다.

그리고, 지금 모든 나라가 경제 장난아니다.

이탈리아는 미국 경고에도 중국돈 쓴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도 경제 엄청 안 좋다.

세계 경제가 나쁘다는 거다.
그런 상태에서 선전하고 있는 거고, 더 안좋아지는 것을 대비해야  하는 것은
당연한거다.

그런데, 정치에 맛탱이 가서 재대로 전망하는 언론사가 없다고 보면 된다.
                    
Dedododo 19-03-30 22:47
   
주진형 칼럼]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늪에 빠졌다

한국 경제가 당장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일자리와 소득주도성장이 아니다. 부동산과 가계부채가 더 시급하고 더 심각하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지나치게 높은 부동산 가격, 이를 조장한 과거 정부 정책, 이를 지탱해주는 과잉 가계부채가 더 큰 문제다. 그것 때문에 성장률이 낮아지고 소비가 침체되고 있다. 이러면 일자리가 늘기 힘들다.

원문보기: 
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860666.html#cb#csidx104c1bcebae5239b94fd0e2876b9fcd

너는 경제 전문가도 아니면서 말이 많다

너가 경제전문가도 아니면서 말도 많고 아는것도 없다

고로 말을 아예 하지 마라
                         
kebiclub 19-03-30 22:57
   
경제전문가는 아니지만 너보다는 많이 아는 거 같다.
너만 입 닫치고 있으면 된다.

그리고, 주진형이 말하는 것은 국내경제만 놓고 보면 전문가니까 나보다 옳고
많이 안다고 생각하지만,
전 세계적인 거시경제를 놓고 보면 지금 잘하고 있다는 나라는 없다고 보는 것이 맞다.

문재인의 경제성과에 대해서는 칭찬하고 싶지는 않지만, 그래도 선전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정치도 모르면서 경제 논하지 마라. 까기만 한다고 정치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죽어가고 있는 일본 빨지말고.

하나더 일본 얘기를 하면 정치, 경제 다 떠나
일본은 후쿠시마 워자력 발전소 폭발에 대한 처리문제로 엄청난 자금이
계속들어가고 있고, 지진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그것을 더 걱정해야 하는 것이 우선일 수 있다.


여기다 글을 쓰려면 정치게시판에 쓰던 방식대로 쓰지마라.
정치와 경제를 분리해서 글 쓰라는 거고, 쓰고 싶으면 정치게시판으로 가지고
와서 글써라.
가민수 19-03-30 22:50
   
경제관련 언론기사를 보면 노무현 대통령 집권시기가 떠오름.
그때 매일같이 모든 기사들이 경제가 나쁘다고 노무현을 공격하고 무능하다고 기사를 써댔지만
지나고나서 보니 그시기가 민주화된 이후로 가장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음.
OECD국가중에서도 상위권의 성장률이었음.
그당시 1인당 GDP가 1만달러대에서 2만달러대로 진입하였고 '웰빙'이라는 단어가 유행이었음.

노무현을 경제로 비판하던 세력들이 이명박근혜를 집권하게 만들었지만 성과는 좋지 못했음.
지금 언론들이 그짓을 또하고 있는 것임.
문재인 정권은 이미 1인당 GDP 3만달러대에 진입함.
     
Dedododo 19-03-30 22:58
   
알겠음니다
그럼 질문 하나 하지요
지금 민생경제가 2년전 박근혜 때보다 낫다고 생각하세요?
지금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경제상황이 2년전 보다 나아 졌다고
생각하시나고요?  실업자가 더 늘어나고 소비가 더더욱 줄고 중산층은
더 옅어졌으며 소득의 양극화는 더 심해졌는데 또한 가계부채 증가율은
더 늘어가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심?
          
문삼이 19-03-30 23:03
   
이명박그네 경제는 한마디로 빚으로 나랄 운영하는 거였습니다...
국채 증가율을 보시면 알겠지만 이명박때 노무현시기의 두배...
박근혜때 4년은 이명박 5년보다 더많은 국채 증가율을 보입니다...

물론 한국 국채는 세계적으로 비교해보면 위험한 수준은 아니지만 이명박그네처럼 운영하면 나라 망하는건 순간입니다....

박그네가 최악인게 국채는 국채대로 부동산투기로 국내경기 살릴려고 가계 대출을 쉽게해줘서 가계 빚도 위험한 수준으로 만듭니다...

한마디로 다음 세대는 생각하지 않고 지금당장 국정운영만을 위해서 나라빚,가계빚으로 경제를 운영한겁니다...

사람들이야 돈이 돌면 좋죠...근데 그게 바로 자신들의 미래에 댓가를 지불해야하는 빚이었던 거죠...빚으로 돈을 풀면 지금당장은 그런대로 유지가 되는것 처럼 보이지만 그러면 나라 망합니다....
          
가민수 19-03-30 23:51
   
가게부채 증가율은 15년 10.9% 16년 11.6% 17년 8.1% 였고
18년 상반기때 8%였다가 정부대책이 나온이후로 18년 4분기 5.8%로 떨어집니다.
실업자가 늘어났다고 얘기하지만 전체 고용률은 큰 차이 없어요.
고용률은 2015년 65.9% 16년 66.1% 17년 66.6% 18년 66.6%

가장 문제가 되는것은 양극화 문제인데 양극화 지수를 나타내는 5분위 배율의 수치가 증가하였습니다. 원인은 소득 하위20% 집단(1분위)에서 노인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사회가 급속히 고령화되면서, 전체 인구구조에서 1분위에 고령층이 늘어남에 따라 5분위 배율이 안좋게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려면 노인층에 대한 기본소득, 보조금이나 지원금 등 복지정책이 필요하죠.
양극화의 또하나 원인중 하나는 제조업 문제인데 이건 기업들의 구조적인 문제라 정부가 역활을 할 수있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기업이 혁신해서 신사업을 육성하거나 남북관계가 좋아져서 인프라건설하지 않는이상 제조업이 단기간에 좋아질 수 있는 상태가 아닙니다.
그래서 조중동 언론들이 오로지 최저임금 인상한것 때문에 양극화가 됐다고 주장하는건 망상입니다.
Dedododo 19-03-30 23:04
   
[경향의 눈문재인 정부 1년6개월의 경제 성적표]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1811072046025

정부가 출범한 뒤 경제정책은 좀 더 구체화된다. ‘함께 잘살기’ 위한 성장전략으로 소득주도성장, 혁신성장, 공정경제를 제시했다. 소득주도성장은 시민들의 소득을 올려주면, 소비가 늘고 투자가 증가하면서 다시 소득 확대가 일어나는 선순환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신기술 분야의 혁신을 통해 경제를 견인하는 혁신성장이 보완하면서, 두 개의 축이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고 했다. 일자리도 장담했다. 성별·연령별 맞춤형 대책으로 국민 모두의 일자리 걱정을 덜어드릴 것이라고 했다.

그러고 1년 반이 지났다. 경제성장은 2017년 3.1%에서 올해 2.7%로 하락이 예상된다. 올 상반기보다 하반기가 더욱 부진하다. 성장의 한 축인 설비투자는 올해 2분기부터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분기 마이너스 5.9%, 3분기 마이너스 13.7%로 가파른 감소세다. 설비투자가 급감하면서 성장률마저 끌어내리고 있다. 투자가 줄면 일자리도 감소한다. 미래 성장동력이 되는 4차산업의 선제적 대응도 지지부진하다.

특히 일자리는 문재인 정부가 출범 초기부터 강조한 분야다. 업무지시 1호로 일자리위원회를 설치했다. 그런데 일자리 증가는 30만명 수준에서 곤두박질쳤다. 이젠 증가는커녕 감소를 우려할 정도다. 올해 실업률은 3.9%로 예상된다. 2001년(4.0%) 이후 최고다. 고용률도 감소하고 있다. 그나마 늘어나는 취업자는 정부가 돈을 댔기 때문이다. 일자리의 질도 좋아지지 않았다.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비정규직 비율은 33%로 최근 6년 만에 가장 높다.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 임금격차는 더 벌어졌다. ‘일자리가 복지’라며 강조했던 게 무색할 정도다.
     
문삼이 19-03-30 23:08
   
제 기사를 자세히 읽어보시면 이런글을 못쓸겁니다...한국이 0.4로 떨어지는 동안 세계는 1%이상 떨어진 나라가 수두룩 합니다.....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인데 세계가 불황이면 당연히 우리도 영향을 받죠....
Dedododo 19-03-30 23:09
   
경제에 문외하고 무식한 저의 입장에서 언론들의 경제분석을

믿어야 할지 아니면 자칭 경제전문가를 믿어야 할지  헷갈리네요

일부 언론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 언론들이 정부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는

논조를 보이는데 어찌해서 문재인 정부와 지지자들만 다르게 생각하고

있는지  진짜 의아스럽고 희안하네요  각자 스스로 검증해서 수용합시다
     
문삼이 19-03-30 23:14
   
국내 언론이 경제와 관련되어 언제 제대로된 분석을 했던적이 있던가요?
IMF때도 괜찮다고 했죠...2008년 미국발 불황일때도 괜찮다고 했죠.......
그런데 결과는 아니잖아요...

국내 언론을 믿지 마시고 세계에서 발표되는 지표를 보세요...
과연 다른나라는 어떻고 한국은 어떤지....

우리처럼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세계 불황이면 잘될리가 없잖아요....눈을 세계로 향하시는게 맞지 않나요?
          
Dedododo 19-03-30 23:21
   
IMF "한국, 경제성장 중단기적 역풍…상당규모 추경 필요"(종합)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9&no=148790


타르한 페이지오글루 IMF 연례협의 한국 미션단장은 "한국은 중단기적으로 역풍에 직면하고 있고 리스크는 하방으로 향하고 있다"며 "성장은 투자 및 세계교역 감소로 둔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플레이션 압력은 낮고 고용창출은 부진하며 가계부채비율은 높고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잠재성장률 하락, 인구 구조 변화, 생산성 향상 둔화가 향후 경제 전망에서 악재로 부상한 상황도 거론했다.

페이지오글루 미션단장은 양극화와 불평등이 우려스러운 수준이며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그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상당한 생산성 격차가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문삼이 19-03-30 23:31
   
당연히 무역으로 먹고사는 나라가 세계불황이 찾아오면 우리도 힘들어지는건 사실입니다...
제가 말한 세계로 눈을 향하라고 하는건...
국내 언론이 자신들 입맛에 맞게 취사선택해서 고른 기사를 선택하라는게 아니라...

제가 올린 기사처럼 전체적으로 세계가 이렇고 우리도 이렇다는 현실을 파악하시라는 거죠....

매일경제...신물이 나네요....재벌들 뒷딲아주는 찌라사 수준이죠...
IMF때도 그렇고...2008년 미국에서 불어오는 불황때도 그렇고....맹바기 4대강 찬양하고....박그네 초이노믹스도 칭찬하던 그 경제지...

한국 언론들중에 위 범주에서 벗어나는 신문이 있을려나요? 한겨레도 4대강 광고싣고 자원외교 칭찬하던 언론인데요...

국내언론 믿지말라고 하는게 님 신상에도 좋아요.....하다못해 그렇게 많은 경제지및 다른 언론들 가상화폐 광풍일때 어쨌는지 기억하시나요? 모두 사라고 난리쳤죠....그런데 결론은 어떻습니까? 언론 말대로 했으면 지금 한강물에 투신했으려나요?

국내언론이 특히 경제지들이 하는 개소리는 전혀 고려하지 마세요...오히려 반대로 하면 이득이죠.....이회사 유망하다 이주식 괜찮다 하면 갖고있던 주식 팔아야 한다는거요...
          
Dedododo 19-03-30 23:26
   
문삼이님의 말을 믿고 싶고 지금 한국 경제가 올바른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네요 그럼 세계의 유수한  경제학자들이 지금 한국정부의 경제정책이

잘되고 있고 문재인 정부에게 힘을 실어주는 기사가 있으면 링크 좀 걸어주

세요  참고 할게요.
               
kebiclub 19-03-30 23:33
   
잘하고 싶어도 세계 경제 나쁘면 끝이고,
세계 경제가 좋아도 산업에 대한 경쟁국과의 관계때문에 양보할 것은 해야 한다.

그렇다고 대한민국이 땅이 넓은 것도 아니고 또한 산업자체가  제4차 혁명과 5G등으로
노동력에 대한 인력감소가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그리고, 기업들은 인력에 대한 인건비가 싼 쪽으로 공장을 짓고 이동하고 있다.
현재 상황이 이와같다.

그렇다고 정부가 기업에 사업 타당성도 없는 것을 가지고 강제로 공장세우라고
할 수도 없다.

대한민국은 무역으로 먹고 사는 나라다.

그러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은 어느 누가 정권을 잡고 어떤 정책을 내놓아도
내가 좋니 니가 좋니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 생존의 문제가 될거다.

기업인이 경제라고 보면 된다.

IMF 를 거치면서 기업들도 경험한 것이 있기 때문에
100% 맞을 수는 없지만, 하고 있는 일이 일괄성이 있으면 국제 경제의 흐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IMF 의 조언에 대한 것과 국제경제 지표를 보면서
우리 스스로도 최소한 경제가 어떻게 굴러가고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국내언론으로 경제를 알면 언론사들의 입맛에 따라갈 수 밖에 없다.
               
문삼이 19-03-30 23:37
   
세계의 유수한 경제학자들은 미국과 중국에 신경쓰지 조그마한 한국에 신경 안써요....우리 존재는 그냥 미국,중국에 딸린 부속품 정도입니다....

그리고 현재 한국이 어떤 경제정책을 펼쳐도 미국과 중국의 경제정책에 따라 그냥 막 휘둘립니다...그러니 우리 대통령이 미국 가면 손 비비기에 전념이죠...

참....이런 기사는 봤네요....한국과 어떤 유럽국가 하나인데 ...세계 불황기에 소득주도 성장이라는 실험을 하고 있다 결과는 두고봐야겠다 정도입니다....

제가 한국 경제 잘된다 최고다라고 주장하는게 아닙니다...
우리 경제는 무역으로 먹고사는 구조라서 세계가 불황이면 그런 영향에 절대적으로 영향받는다....
그런데 지금 유럽국가들도 성장률1%씩 떨어지는  국가도 여럿되고 개발도상국도 어려운국가 투성인데 그래도 그나마 선방중이다란 결론이죠...

제가 처음에 펌한 기사를 다시한번 정독해 주십시요...
Dedododo 19-03-30 23:45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

최저 임금 향상을  통한 소득주도 성장 정책 

4차 산업혁신을 통한 경제발전 정책

결과  일자리는 줄어들고 실업자는 늘어났으며

국내기업들은 높은 임금과 낮은 노동 생산성

강성노조에 의한 노동유연성의 저하로 생산기지 해외로 이전

즉 탈한국이 늘어났고, 다국적 기업들이 한국에 투자를 기피하는

제일 큰 이유가 강성노조 때문, 즉 노동 유연성 확보가 어렵다

그런데 정부는 최저임금을 올리고  소주성으로 기업들이 고용을 하기도 어렵

게 만들었고  기업의 법인세도 올려서 국내에서 기업활동이 활발해 지기도

어렵게 했어요, 우리나라의 노동유연성은 세계 하위권이고  일인당 노동생산

성도 OECD 30여국중 최하위 권임을 님은 알고있나?
     
문삼이 19-03-30 23:52
   
1. 전체 일자리는 줄었지만 안정적인 일자리는 늘었죠...결국은 힘들더라도 이뱡향으로 가야됩니다.

2. 생산기지 해외이전은 강성노조 때문이라기보다는 싸니까 가는겁니다..
독일처럼 강성노조가 없는곳도 생산기지를 해외로 많이 이전합니다....그래서 그해결책으로 광주형 일자리가 중요하죠..서로간의 타협으로 일자리 창출하기요

3. 올린 법인세도 세계적으로 비교하면 싼편이예요....대기업 같은 경우엔 할인비율도 높아요...

4. 노동 생산성이 낮을수밖에 없죠....노동 시간이 너무 길거든요...우선 생산성을 높이려면 노동시간을 줄이고 강도를 조정할수밖에 없어요.....안그러면 개선될 여지가 없죠...(1주 52시간으로 줄이자는 것도 잘 안되고 있죠....유럽을 보면 1주 40시간하자는곳도 있습니다...)
          
Dedododo 19-03-31 00:03
   
올해 한국 법인세율 25%, OECD 회원국 중 7번째로 높아"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해-한국-법인세율-25-oecd-회원국-중-7번째로-높아/ar-BBOwDin


생산성위기]세계 꼴찌 노동생산성, 韓경제 흔든다

http://www.asiae.co.kr/news/view.htm?idxno=2018040511211538721

노동생산성이 둔화되는 원인은 서비스업과 중소기업의 생산성이 지나치게 낮기 때문이다. 2015년 기준으로 국내 서비스업의 노동생산성은 시간당 약 24달러로 OECD 중 꼴찌고 제조업 노동생산성의 51% 밖에 되지 않았다. 똑같은 시간 일을 해도 서비스업의 생산물 가치는 제조업의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일자리質 낮춘 일자리정부…비정규직 비중 6년來 최고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8/10/678252/






국내 기업 줄줄이 해외 이전…규제피해 일자리 `엑소더스`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17/05/298971/
               
문삼이 19-03-31 00:12
   
www.newsis.com/view/?id=NISX20171206_0000168739
내가 법인세 할인율이 높다고 말했잖아요...

그리고 노동생산성이 낮은 이유는 노동기간이 너무 길기 때문이라고요...

https://blog.naver.com/gostma0/221303454550
중간정도에 보면 OECD에서 노동시간을 줄이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될것이란 뉘앙스로 말했네요...

그리고 매일경제지든 한국의 경제지 기사는 그만좀 퍼오라니까요...

내가 경제지 믿고 주식투자 하다가 손해본게 얼마인데 열받게 그만하고요...

대기업을 위해서 존재하는 한국 경제지 언론말만 믿다간 님 돈도 금방 털릴겁니다...
                    
Dedododo 19-03-31 00:22
   
법인세가 낮은 편이다  ㅡ 아니다 OECD 회원국중 7번째로 높다

노동생산성이 낮은건 노동시간이 높아서다

그래서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했는데  오히려 역풍과 반발이 심하잖아?

님이 경제지 믿고 주식투자 한건 개인적인 사정이고 주식투자 고수님이

경제학 박사인가? 아님 경제 연구소 연구원?
                         
문삼이 19-03-31 00:32
   
또또 내가 펌해온 기사는 제대로 안읽고 이상한말만 하시네...

법인세는 실효세율을 따지라는 거죠...무슨말이냐면 주어진 법인세에서 많이 할인을 받는다는 겁니다...그런 실효세율을 따져보니 한국 법인세가 OECD내에서 낮다는 설명인거죠..
한번 법인세 실효세율로 검색해보세요...

노동생산성이 낮은건 노동시간이 길기 때문인건 당연한 상식입니다..
제가 퍼온 블로그 글 중간 아래에 보시면 OECD에서 주 52시간 도입으로 일가정 균형을 맞
추는데 도움이 될거란 말이 있죠............

상식을 모르면 공부를 하세요....경제지 읽고 어설프게 반발하지 마시고요...
그리고 주식 얘기하는건 개인적 경험을 얘기한건 맞는데요...
그렇다면 과연 한국 경제지 언론들이 국민들을 위해서 제대로 보도를 하나요?
IMF때, 외환위기때 당시에도 좋다좋다 말만 했죠...

자원외교나 4대강 비판한 언론들이 있던가요? 몇개 없죠?
그런데 결론은 자원외교에 벌써 수십조 손해보고 광물자원공사는 부도 위기라네요?
4대강은 보해체하네 마네로 난리고요.....
4대강 비난하는 해외언론들은 너무 많으니 직접 찾아보시고요...

저도 님처럼 국내 언론의 노예가 되고싶지만 어쩝니까? 걔네들이 너무 속인게 많은데요....
왜요 님도 국내 언론들이 그렇게 빨아주던 가상화폐나 투자해 보시죠...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는데요?
               
가민수 19-03-31 00:12
   
비정규직 비율은 별차이 없네요.
14년 32.2% 15년 32.4% 16년 32.8% 17년 32.9% 18년 33.0%
전체 인구가 고령화되어 가는걸 고려하면 문재인 정부때 나빠졌다고 하기도 뭐하죠.
고령층의 비정규직 비율은 67%가 넘어서 평균을 깎아먹거든요. 과거(11년)에는 70%대였음.
               
문삼이 19-03-31 00:17
   
내글에 답변은 안달고 자꾸 기사만 퍼오는지 모르겠네요?
한국 언론이 그렇게 신뢰성이 높아서 IMF 때 잘 보도하고 이명박그네 기간동안 4대강 자원외교 초이노믹스 개쓰레기 같은 정책들에 조용했나요?

최근 가상화폐 논란때도 웬만한 언론들은 죄다 가상화폐 투기 부채질에 열을 냈죠....

그거 믿고 투자하다 손해 본사람들 투성일 텐데요...

전 과거 경제지 믿고 주식투자하다 손해좀 보고 경제지및 언론이 권유하는거는 절대 안하죠....덕분에 가상화폐때도 조용히 지나갔죠....
     
가민수 19-03-30 23:59
   
실업자가 늘어났다고 얘기하지만 전체 고용률은 큰 차이 없어요.
고용률은 2015년 65.9% 16년 66.1% 17년 66.6% 18년 66.6%
          
Dedododo 19-03-31 00:17
   
韓 청년고용률 42%…OECD중 `최악`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8/10/678252/

100만 실업자 시대'…9월 102만명 19년만에 최대(종합)

https://www.msn.com/ko-kr/news/other/100-실업자-시대…9월-102만명-19년만에-최대-종합/ar-BBOg6NH

60세 이상의 공공근로 취업자가 30만명 이상 늘어났다

이게 전체 고용율엔 차이가 없는 이유 즉 한달에 20만원 받고

쓰레기 줍는 노인일자리 증가도 일자리 증가이네요
               
문삼이 19-03-31 00:24
   
청년 고용률은 분명 신경써야할것은 맞죠...그건 문제인건 맞아요...
그런데 전체 고용율은 OECD내에서도 상당히 건전한 수준입니다....
그건 제가 처음에 펌한 기사내에 표를 보면 금방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60세 이상 취업자가 증가하는건 그만큼 복지가 약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고 잘한거라고 할수 있습니다...

복지가 잘되있는 서구 국가를 흉내 낼수 없는게 그러려면 지금보다 훨씬 많은 세금을 내야하기 때문에 잘 안되죠...

차라리 독일처럼 노인들도 일하게 할수밖에 없는 상황인거죠....
                    
Dedododo 19-03-31 00:31
   
복지가 세계에서 제일 잘되어 있는 북유럽의 사민주의 정부에서도

지금은 복지를 줄이고 법인세도 줄이고 일자리를 만들수 있는 플랫폼인

기업들에게 보조금을 주면서 까지 친기업 정책을 편지는 2~3년이 되었죠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 잘못됐다란 국민들이 대부분 이에요

안 믿기시면 거리에 나가서 설문조사 1시간만 해보세요
                         
kebiclub 19-03-31 00:36
   
대한민국 기업이 전부 청년 복지가 좋지 않으면 남녀를 떠나 실업률은
죽어다 깨어나도 줄지 않을 듯.

이것은 어느 누가 정권을 잡아도 마찬가지.
그대신 60세 이상은 취업률은 계속 높아질듯.

인구라는 분모를 생각하길.
                         
문삼이 19-03-31 00:38
   
지금 우리 경제상황이 좋은게 아닌건 누구나 알아요?
당연히 세계가 불황인데 무역으로 먹고사는 우리가 좋을리가 없죠...
그걸 부정한게 아니라고 몇번을 얘기해야 하나요?

그런데 그 원인을 우리 언론들은 정부의 경제정책이 잘못됐다고 특히 최저임금인상등으로 몰아 부치죠...전 그게 잘못됐다고 말한겁니다...

왜냐면 세계에서 발표한 지표로는 한국 경제가 세계 불황속에서도 아직은 건실하거든요.....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는건 어쩔수 없죠.....나처럼 세계 지표를 안보고 언론들이 말하는것만 받아들이면 그렇게 되는거고.....또 이명박그네 2를 찍어야죠........

그리고 유럽도 복지를 줄일수밖에 없어요 법인세로 줄이고요....불황속에서는 그렇게라도 해야 나라살림이 유지가 되니까요 그런데 그렇게 법인세 줄여도 우리보다는 많아요...(실효세율) 복지도 우리보다 월등하고요...
               
가민수 19-03-31 00:28
   
기사나 제대로 읽고 링크나 제대로 달지 그래요?
참고로 우리나라 20대 30대 고용률은 큰 변동이 없습니다.
20대(20~29)는 14년 57.4% 15년 57.9% 16년 58.2% 17년 57.6% 18년 57.9%
30대(30~39)는 14년 74.1% 15년 74.4% 16년 74.7% 17년 75.3% 18년 75.7%
저 기사의 청년 통계는 교묘하게 10대를 포함시켜서 그런겁니다.
우리나라 10대는 거의 일을 안하니까요. 평균 깍아먹을려고 악의적으로 기사에 10대를 포함시켰네요.
                    
Dedododo 19-03-31 00:32
   
님의 자료에 출처를 링크해 주세여
                         
가민수 19-03-31 00:35
   
정부자료입니다.
                    
Dedododo 19-03-31 00:54
   
30일 통계청이 낸 '2018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 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임금 근로자 2005만명 가운데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3.0%로 2012년 8월 조사에서 33.2%를 기록한 후 6년 만에 가장 높았다. 지난 1년간 공공부문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대거 이뤄졌음에도 불구하고 수치가 더 악화됐다. 비정규직 비중이 커진 것은 최근 1년 사이 정규직 근로자는 거의 늘지 않았지만 비정규직 증가 폭은 상대적으로 컸기 때문이다.

어떤 기사에 10대를 포함시켜서 악의적으로 조작했단 말인가?
지금누구도 비정규직이 늘어나고 정규직이 줄어 들었다는 통계에
부정을 안히는데 이상하게 이분만 딴소리를 하고있네요
                         
가민수 19-03-31 00:59
   
청년 고용률에 대한 댓글이고 님이 기사를 잘못링크하셨네요.
비정규직 비율은 다른 댓글에 달아뒀습니다.
미쳤미쳤어 19-03-30 23:45
   
쥐뿔도 모르는게 대댓글다느라 애쓰네!!

아무리 지랄해도 쥐닭과는 비교 불가니까 애쓰지 마라!!

아니 애써야 알바비로 밥이라도 먹으려나...
fymm 19-03-31 00:15
   
태영건설 sbs 기사냐 또?
Banff 19-03-31 00:17
   
원래 누가 정권을 잡던 경제안좋다 살기힘들다 하는 부류는 늘 생기는 법.  박근혜때에 비하면 훨씬 낫다라는 사람 없을줄 아나.  그리따지면 이명박때 벤쳐기업 다죽이고 대기업만프랜들리 만들었다가, 4차산업 s/w산업은 중국에도 밀리고 개판되었다가 그나마 요즘 벤처활성화로 다시 기지개 피고있음.

미국도 오바마가 2008경제위기 해결하고 주가 2배띄웠지만 공화당 지지자들은 그때 힘들었다고 얘기하고 민주당지지자들은 지금이 오바마때보다 안좋다고 얘기들하는데, 이런건 경제얘기가 아니라 정치얘기하는 것임.
Dedododo 19-03-31 01:06
   
대댓글이 제한되어 여기 쓸게요
문삼이님 여태까지 한국경제의 펀다멘털이 양호한것이
문재인 정부가 잘했기 때문인가?  참 어이가 없다
현정부 출범후 2년 동안 경제가 나빠진건 전부다 세계경제가
나빠졌기 때문이다 결국 현정부의 경제정책은 상관없다 이말이군요

해괴한 소릴 하시네
그럼 문재인 정부의 소주성, 최저임금상승,법인세 상승, 기업의 규제 강화
부동산 규제등등 이후에 국내 민생경제가 좋아졌나?
정부에 의한 과도한 경제에 대한 개입이 경제를 망가 뜨린것 이라고는
한번도 생각을 안해봤는지?  왜 외국기업의 국내 투자가 격감했는지?
님의 견해는 어떻습니까?
     
문삼이 19-03-31 01:35
   
자러 갔다가 휴대폰 보니 님이 마지막으로 쓰는것 같아서 저도 마지막으로 글 쓰고 자러갑니다....

이번편은 제글의 결론이라고 볼수 있겠지만.....좀 제글을 잘좀 읽어보세요...이미 님이 물어보는거 대부분 답을 한건데 또하라고 하니 참........

뭐 알바나 이런건 아니죠? 아니 대답을 했는데 그 당시엔 댓글을 안달고 다시 또 물어보니 이건 다시 시작하는것 같네요...

그런데 님글 처음 부분을 이해할수가 없어요...
한국 경제가 괜찮다는 말인가요? 아니면 안좋다는 말인가요?
펀다멘탈이 양호하다고 말해놓고 나빠졌다고 말하는 이유는 뭔가요?
소득주도 성장은 바로 결과가 나오는 정책이 아니죠...그런데 소득주도 성장을 시작한 2018년도에 경제지를 중심으로 소득주도 성장때문에 경제가 안좋아진다고 말하더군요....ㅋㅋㅋㅋㅋ
(제대로 시작도 안했는데요)

이제 구체적으로 1년을 실행해보니 미세하나마 약간의 결과가 나온겁니다....원래는 저소득층의 소득이 오르면서 그들 가계 수입을 올려줘야 하는데 의외로 이게 저속득층간의 대결양상으로 바꾸어 버려서 효과가 예상과는 달랐다는 거죠......이게 대기업 중간소득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무 의미가 없어요......전체적으로 경제에 영향을 끼친것도 미비하고요....단지 저속득층간의 대결만 심화되었기에 정책을 수정한것으로 보이네요....

그리고 다시 말하지만 법인세 상승은 그래도 여전히 낮다는 겁니다....이게 기업체의 해외이전과는 상관이 없어요......싸니까 나가는거고 이거는 다시한번 말하지만 광주형 일자리등으로 해결해야 됩니다...

그리고 기업의 규제강화는 도대체 어떤게 있나요?

현정부 부동산 규제의 핵심은 다주택자 보유를 막는데 있어요.....이게 왜 무슨 잘못이죠?
박그네때처럼 대출 쉽게 해줘서 부동산 사도록 권유해서 가계빚 늘려볼가요?

해외기관에서 경고합니다...위험 수준이라고요......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우리도 따라 올려야 되요....왜냐면 국내 금리를 안올리면 돈이 미국으로 흘러나가니까요...그런데 그렇게 되면 안그래도 가계빚이 위험수준인데 그 이자도 올라서 경제에 악영향을 끼치는 겁니다....그래서 가계빚이 위험한겁니다.......

내가 몇번이나 말했나요 이명박그네때 정책은 국채,가계빚 늘려서 국내 경기를 부양시키는 거였다고요.....그런데 그 휴유증으로 국채는 아직 여유가 있다고 하더라도 가계빚을 1500조로 위험수위에 도달했어요......그래서 이번 부동산 대책에서도 대출규제에 들어간 겁니다...

그리고 외국기업이 국내투자가 격감한 이유는 당연히 돈이 미국으로 다시 흘러가니까요...
이건 세계적인 현상입니다.....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당연히 미국으로 돈이 흘러갑니다...그래야 이자를 더 받을수 있으니까요......

지금 오바마때 달러 풀어서 경기부양한후 그 돈을 회수하는 단계입니다.......


---------------------------------------------------

더 할말이 있는데...여기서 끊어야 겠네요......옆에서 칭얼거리는 녀석이 있어서요...죄송...
          
Dedododo 19-03-31 01:58
   
일단 문삼이 님의 의견도 일리가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님의 의견과 다른 일개 경제지나 일간지의 경제기자들의
기사가 아닌 국내 유수의 경제학자들 게다가 친여권 성향의 경제
학자들도 현정부의 경제정책을 비판하고 있음을 알고계시겠죠
늦은 시간인데 대댓글은 않다셔도 됩니다
그냥 링크 하나 걸게요 낼이라도 시간나면 읽어보세요

https://www.mk.co.kr/news/economy/view/2018/09/564213/
멀리뛰기 21-01-02 15:46
   
[기타경제]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경기지표 동반하락 역대 최장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5:37
   
[기타경제]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경기지표 동반하락 역대 최장 잘 봤습니다.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024
5209 [기타경제] [뉴스] 3년 만에 활력 찾은 거제 조선소, 협력업체는 '… (8) darkbryan 04-01 3353
5208 [자동차] 스페인 자동차시장 판매량 순위 (2018년) (10) 스크레치 04-01 3668
5207 [자동차] 스웨덴 자동차시장 판매량 순위 (2018년) (7) 스크레치 04-01 2926
5206 [기타경제] 신세계푸드 '대박라면', 말레이시아서 대박났다 (5) 스크레치 04-01 2673
5205 [기타경제] 후쿠시마 수산물, 韓식탁에 올라오나?.. (7) 스쿨즈건0 04-01 2405
5204 [기타경제] 日 세계 최대 채무국인데..."빚 더 내라" 여론 고조. (9) 스쿨즈건0 04-01 3540
5203 [자동차] 중국, 美 자동차·부품에 추가관세 중단. (5) 스쿨즈건0 04-01 1629
5202 [기타경제] "이젠 국민소득 4만불 목표", '3% 성장' 불가능하지… (4) 스크레치 03-31 4184
5201 [기타경제] LNG선 호황 올라탄 韓 조선, '상하이 수주戰' (4) 스크레치 03-31 4075
5200 [기타경제] 北 비축 식량·석유, 1년치도 안 남았다 (11) 스크레치 03-31 2639
5199 [자동차] 현대모비스, 자율주행 ‘폭풍질주’ 예고…“양산 전 제… (7) 스크레치 03-31 2150
5198 [자동차] CATL 가동률 90→76%로 뚝…심상찮은 中배터리 (6) 진구와삼숙 03-31 3784
5197 [과학/기술] 중국반도체굴기가 폭망한 진짜 이유 (10) darkbryan 03-31 5932
5196 [자동차] 이탈리아 자동차시장 판매량 순위 (2018년) (10) 스크레치 03-31 4121
5195 [전기/전자] "동무, 북한 좀 놀러오시라우" 베트남에 러브콜 (17) 스크레치 03-31 3138
5194 [기타경제] [단독] 최태원의 야심작…SK바이오팜 상장 추진 (8) 스크레치 03-31 2359
5193 [기타경제] 쌀 5만t해외 원조 … 국격 높이고 수급 안정 ‘일거양득… (8) 스크레치 03-31 2583
5192 [기타경제] 美 무역위 "한국산 대형 세탁기에 반덤핑·상계관세 연장… (10) 스쿨즈건0 03-31 3826
5191 [과학/기술] 아시아 여성 성적 대상화 "독일 기업 광고 논란" (6) 스쿨즈건0 03-31 2150
5190 [자동차] 日 도요타자동차 "고객 정보 최대 310만건 유출 가능성" (4) 스쿨즈건0 03-31 1342
5189 [부동산] 정부의 부동산 정책과 세금 (6) 트랙터 03-31 1102
5188 [기타경제] 국책연구기관 KDI 주관 소득주도경제 세미나 (17) Dedododo 03-31 1101
5187 [전기/전자] 갤럭시 S10시리즈, 라틴아메리카 사전판매 신기록 (4) 스크레치 03-31 2304
5186 [기타경제] “LNG선 발주 터진다”…조선 ‘빅3’ 수주 선두 전쟁 스… (3) 스크레치 03-31 2096
5185 [전기/전자] 전선업계 새 먹거리는 '전기차 부품' (3) 스크레치 03-31 1419
 <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