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10-14 23:56
[기타경제] 메이드인 차이나=싸구려 인식이 바뀌고 있다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6,108  

https://news.v.daum.net/v/20201014121004235






글쎄요 금시초문이네요 


오히려 "메이드인 차이나 = 쓰레기" 라는 인식은 점점 더 많아지고 있긴 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0-10-14 23:56
   
당나귀 20-10-15 00:29
   
바뀌는것 맞아요.


싸구려에서 쓰레기로...
     
drizzt0531 20-10-15 02:03
   
마스크, PPE, 등의 의료용품에서 메이드인 차이나의 인식을 확실히 심어줬죠. 안그래도 차이나 바이러스라는 인식이 있는데 병주고 약주는게 아니라 병주고 병을 더 주는 격이니 ㅋㅋㅋ
          
유기화학 21-04-05 08:31
   
222
     
유기화학 21-04-05 08:31
   
22.
유랑선비 20-10-15 00:53
   
싸구려에서 정보탈취하는 쓰레기로 바뀌고 있긴하죠.
     
유기화학 21-04-05 08:31
   
22
할게없음 20-10-15 06:59
   
최소한 우리나라에선 이런 헛소리 같은 기사가 나와선 안됨.. 브랜드 가치를 끌어올린다는 게 얼마나 힘들고 오랜 시간이 필요한 것인지 그 누구보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가장 잘 알기 때문.. 한국산도 여전히 가성비 브랜드 수준의 인식이 많은데 어딜 싸구려 중국산이 인식이 바뀌니 뭐니..
     
carlitos36 20-10-16 10:45
   
돈주면 더한 것도 합니다 ㅋㅋㅋㅋ
          
유기화학 21-04-05 08:31
   
22
     
유기화학 21-04-05 08:31
   
222
카날레스 20-10-15 08:19
   
한국도 국가 브랜드 가치 긍정적으로 바꾸는데만 30년이 넘게 걸렸는데 그게 하루아침에 바뀌겠냐.
기사보니깐 중국인들 사이에서 그런 인식이 바뀌고 있다는 취지 같은데 외국에선 여전히 싸구려로 통한다.
"중국" 이라는 나라 자체 이미지가 ㅈ망인데 그 나라에서 만든 제품이 하이엔드화 될리 없지.
     
스크레치 20-10-15 10:52
   
님 말씀대로 중국은 개발도상국에 후진국이기 때문에

제품 인지도는 더 바뀌기 어렵지요


게다가 현재 중국 정부가 세계 곳곳에서 저지르는 만행을 보면서

이미지는 더 쓰레기로 변하는중이구요
          
유기화학 21-04-05 08:31
   
33
     
유기화학 21-04-05 08:31
   
222
wolfpaw 20-10-15 08:25
   
브랜드 인식이란게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진 않지만......  신경은 쓰이네요.
     
유기화학 21-04-05 08:31
   
22
엄청난녀석 20-10-15 09:08
   
샤오미 같은 경우는 좀 다르죠.
가성비 괜찮다고 봅니다.
     
베지트키 20-10-15 10:43
   
샤오미는 그냥 유통 아니던가요.
          
유기화학 21-04-05 08:32
   
22.
     
스크레치 20-10-15 10:50
   
샤오미도 다를거 없는데요

샤오미가 처음 나왔을때 표방한건 무작정 대놓고 베끼기였습니다.


처음 업체가 크지 않을때는 중국에서만 팔 요량으로 대놓고 베끼기 하다가

서서히 커지면서 세계에 판매하려고 하자


기존에 특허니 뭐니 대놓고 무시하던게

전세계에서 특허 전쟁 들어와서

대다수 판매 중지되고 중지되고 하니까


그 이후부터 슬쩍 기조바꿔서

다른나라로부터 공식적으로 부품 구입하고 특허료 지불하면서

지금 있는것뿐



샤오미가 처음 나왔을때

얼마나 쓰레기 기업이었는지 알게된다면

가성비니 뭐니 얘기는 하기 어려울겁니다.



그리고 중국산은 샤오미만 있는게 아닙니다.


중국산이 쓰레기란 인식이 스마트폰 분야에만 한정된 얘기도 아니구요

중국 제조업 전반이 쓰레기란 얘기니까요



중화학공업의 대표적인 조선업의 선박도

제대로 건조도 못해서 도크에 잠자고 있는게 중국의 현실입니다.
          
유기화학 21-04-05 08:32
   
22
     
예왕지인 20-10-16 00:27
   
짱깨산 왜삼? ㅋㅋㅋ
          
유기화학 21-04-05 08:32
   
222
     
다른생각 20-10-16 04:56
   
샤오미는 사실상 유통회사죠..
샤오미의 성장사를 좀더 공부하시면.. 샤오미는 다를것이다라는 선입견이 와장창 깨질겁니다.
벌처 펀드가 주로 써먹는 약탈적 투자로 몸집을 불려온 대표적인 선수..
          
유기화학 21-04-05 08:32
   
22
     
carlitos36 20-10-16 10:46
   
샤오미가요 ?
          
유기화학 21-04-05 08:33
   
ㄷㄷ
     
유기화학 21-04-05 08:31
   
222
리즌9 20-10-15 10:38
   
중국에서 생산했다고 모두 나쁜건 아니죠.. 예전에 김치 수입할 때도, 싼마이는 싼마이 맛이... 물건은 가격만큼 나오는거죠.
 각종첨단기기나 명품이 중국에서 생산된지 수십년이 지났으니까요...
중국메이커 제품 = 싼마이  이 공식도 무력화? 된게 좀 오래되었습니다. 스펙이나 성능만큼의 가격이 책정된지도 좀 되었거든요...

 현재와 미래의 핵심산업이자, 고기술 고가치 분야인 드론은 이미 중국업체가 압도적인 스펙과 신뢰성으로 시장을 꽉 잡은지도...
     
스크레치 20-10-15 10:46
   
현재와 미래의 핵심산업, 고기술 고가치 분야가 드론이라는 얘기도 금시초문인데요


누가 들으면 드론 만드는게 반도체 제조나 자동차 제조만큼 어려운줄 알겠습니다 ㅋ

중국 장점 한가지 있잖아요 싸구려 대량생산

그러다보니 점유율은 높은것이겠죠

별다른거 없습니다.



이번 코로나 시국에 마스크 하나도 제대로 못만드는 쓰레기 나라라는거 전세계에 알렸는데요 뭔 ㅋ


무력화 된거 없습니다.

중국산이 중국 내에서 점유율을 확대하는 가장 큰 이유도

저 싸구려 제품때문이구요


화웨이의 5G 장비가

개도국에 많이 뿌려진 이유도 경쟁사 대비 무려 30%나 싼 가격때문입니다.
          
유기화학 21-04-05 08:33
   
222
     
유안 20-10-15 15:57
   
드론기술은 이미20년전에 대한항공에 이전되서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만 당시에는 시장도 작았고 마땅히 활용방안이 없어서 그냥 묵히고 있었습니다.
지금은 중국이 커졌고 우리는 안티 드론쪽으로 기술을 발전 시켰습니다.
          
유기화학 21-04-05 08:33
   
22
     
Collector 20-10-16 09:32
   
중국인??????
가격 대비해서 쓸만한 중국제가 가끔 있긴 하지만,
그 정도 가지고 중국제가 쓰레기라는 인식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건 중국인 밖에 없지요.
          
유기화학 21-04-05 08:33
   
222
     
유기화학 21-04-05 08:33
   
22
승이 20-10-15 11:45
   
은근 가성비 괜찮은 품목이 있긴한데; 그것도 몇개 한정이라...메이드인차이나에 대한 이미지가 바뀔일은 없을거같은;
     
유기화학 21-04-05 08:33
   
22
비알레띠 20-10-15 14:52
   
아직은 그닥...ㅋ
     
유기화학 21-04-05 08:33
   
222
샤발 20-10-15 15:27
   
진짜 기사쓰기 쉽다. 기사자료로 언급한게 중국연구소에서 나온 보고서 달랑하나.  구굴링해서 중국외에서 관련자료를 찾는것조차 귀찮았다는건가? 참...
     
유기화학 21-04-05 08:33
   
22
carlitos36 20-10-16 10:49
   
가성비가 그나마 좋아졌다고 해야지
아직도 여전히 싸구려 브랜드임
     
유기화학 21-04-05 08:33
   
222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02
15354 [전기/전자] 日 OLED TV 급성장에 웃는 LG디스플레이 (10) 스크레치 02-16 6111
15353 [기타경제] 메이드인 차이나=싸구려 인식이 바뀌고 있다 (45) 스크레치 10-14 6109
15352 [기타경제] 삼성물산, 3조3600억 방글라데시 공항터미널 수주 (15) 귀요미지훈 11-09 6106
15351 [기타경제] '노재팬'에 日 실물경제 직격탄…韓 손님 '제… (5) 스쿨즈건0 09-20 6105
15350 현대차, "한 번 충전으로 320km 가는 전기차 만든다" (7) 스크레치 04-26 6104
15349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과 5G 모뎀칩 생산계약” (29) draw 02-18 6104
15348 [전기/전자] 서서히 드러나는 갤폴드2…퀄컴 스냅드래곤865 장착 관심 (17) 스크레치 03-25 6104
15347 [전기/전자] 韓日 무역전쟁 1년..업계 "플루오린폴리이미드, 타격 미… (25) 스크레치 07-10 6103
15346 [잡담] 인구 천만명이 넘는 아시아국가 1인당 gdp 순위 (6) 폭군 11-09 6103
15345 [기타경제] 베트남 언론, 한국의 베트남 투자 집중 조명 (19) 스크레치 03-10 6102
15344 [전기/전자] (대만기사) 화웨이에 대한 TSMC의 반도체 공급, 미국에 의… (11) 귀요미지훈 12-29 6101
15343 [잡담] 삼성vs인텔vsTSMC 보유 현금 (30) 강남토박이 08-02 6101
15342 [과학/기술] 머리카락보다 100배 얇은 렌즈 구현 (21) 진구와삼숙 05-14 6100
15341 주요10개 선진국 내년 국민소득 및 성장률 (11) 스크레치 12-29 6098
15340 [전기/전자] 4K만도 못해 삼성 TV 분해한 LG 임원, 불붙은 8K 전쟁 (29) darkbryan 09-17 6097
15339 북미 전기차 배터리, 韓 반등 시작됐다 (4) 스크레치 08-16 6096
15338 [전기/전자] '땡큐 테슬라' LG화학, 中배터리 시장 투톱 올라서 (7) 스크레치 06-12 6096
15337 [기타경제] 美日서도 라면에 김치, 올해 수출액 5억달러 돌파 (12) 스크레치 09-04 6093
15336 [기타경제] 베트남 기업우대에… 삼성전자, GDP 28% 기여 (45) 스크레치 03-19 6091
15335 [기타경제] (태국기사) 태국업체, 한국 치킨프랜차이즈 운영권 인수 (15) 귀요미지훈 12-29 6091
15334 [전기/전자] "LG 없어도 中샤오미 안사"..헐값에도 중국폰 외면 (15) 스크레치 07-12 6091
15333 [잡담] 한국 동남아에 퍼다주는데 글로벌 호구되겠네요. (49) 니하 09-03 6090
15332 [전기/전자] 美 "화웨이 쓰지말라 韓 "민간서 결정할 일".. (54) 스쿨즈건0 10-17 6089
15331 대만 상륙한 이삭토스트, 8월 오픈 전 뜨거운 인기 (6) 스크레치 07-23 6087
15330 [전기/전자] 韓·中에 끼인 日 전고체전지 개발에 사활 걸었다. (30) 스크레치 11-03 6087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