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6-09-10 12:58
그린스펀과 로스차일드는 "향후 매우 비관적인 전망"에 일치
 글쓴이 : Shark
조회 : 4,219  

グリーンスパン元FRB議長とロスチャイルド
「極めて悲観的な見通し」で一致
2016年8月25日




    그린스펀과 로스차일드는 "매우 비관적인 전망"에 일치


                      2016年8月25日 いつも感謝している高年の独り言     번역  오마니나


  Rob Crandall / Shutterstock.com

그린스펀 전 FRB의장이 "미국의 금리는 향후 급속히 상승할 것"이라고 보고있다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그의 결론은 두 가지, "현재의 저금리는 오래 가지않는다"그리고 "유로존은 분열한다"는 것입니다. ( いつも感謝している高年の独り言)


※ Greenspan Sees U.S. Interest Rates Rising Soon, Perhaps Rapidly - Bloomberg

※ 본 기사는 "항상 감사하는 고령의 혼잣말 "2016년 8월 25일호에서 발췌한 것입니다.




 그린스펀 전 FRB 의장 "미국의 금리는 향후 급격히 상승한다"


보도의 포인트


그린스펀 전 FRB 의장은, 블룸버그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Arthur Levitt 전 위원장에 대해 "금리를 더 이상 계속 억제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리는 상승할 것이며, 일단 움직이기 시작하면, 놀랄만큼 급속도로 상승할 것"이라고 한다.


현재, 만기 10년짜리 미국국채의 금리는 1.55%로 연초 2.27%에서 크게 하락해 있지만, 동 전 의장은, 미국경제가 경기침체 하의 인플레이션, 스태그플레이션이 될 것이라는 우려를 나타내고, "현재는, 스태그플레이션의 매우 초기상태에 있는 것은 틀림없다"고 했다.


또한, 유로존이 현재의 모습으로 앞으로도 존속할 수 있는 가에 대해 매우 비관적으로, 동 전 의장은 "EU는 분열할 것이다. 이미 여러 지역에서 그 징후가 보이고 있지 않는가"라고 말했다.


그가, 19개국의 통화를 정리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우선 각국의 문화가 다르다는 것. 다음으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인식이, 유럽의 남쪽과 북쪽의 나라들과는 다르다는 것이 이유다.


독일이나 오스트리아 등, 인플레이션을 싫어하는 여러나라에서 독자 공통통화를 창설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렇게되면, 그들 국가들은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없게된다고 동 의장은 말했다.


노벨상 수상자인 스티글리츠 교수는, 또 다른 블룸버그 TV와의 인터뷰에서, EU는 어떠한 개혁을 추진하지 않으면 분열할 것이라고 하면서, "함께 할 수없다면, 우호적인 협의 이혼이 되어 아마 2개나 3개의 통화블록으로 나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상입니다.


유한한 지구 표면에, 헬기에서 무한정으로 돈을 살포하면, 어느 날 갑자기 물가가 상승하고, 동시에 금리가 상승할 것이라는 "예언"은, 전 의장뿐만 아니라, 많은 논자들이 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바이마르 시대의 독일, 현재의 짐바브웨 등에서 실제로 일어난 역사적인 사실이기도 합니다.


국가가 신인(信認)을 잃었을 때가, 그 출발점이 됩니다. 아니면, 일본은행 총재가 전세계에 말하신대로, "피터팬처럼 계속 날수 있다고 믿으면 계속 날 수 있을까"요?


로스 차일드 투자펀드 최고톱인 Jacob Rothschild 백작이, 그 2016년 상반기의 실적 보고서에서, 경제의 전망에 대해 매우 비관적인 견해(영문)를 말했습니다.


보고서의 포인트


2016년 상반기의 총수익은, 현재의 나쁜 환경 속에서도 3.6%이고, 순자산은 87.9M 파운드 증가해, 순자산은 과거 최고인 2.5B 파운드에 달했다.


투자펀드를 이끄는 총수인 Jacob Rothschild 백작은, 실적보고서에서 "올해 반 년 간을 생각해보면, 현재, 전세계의 중앙은행은 글로벌 금융정책 사상 최대의 실험을 하고있다. 그런 탓에 앞으로 어떻게 될지 예측할 수가 없다. 초저금리 정책, 마이너스 금리가 된 전 세계의 정부국채, 거액의 양적완화정책의 영향에 의해,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따라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자산보호이며, 로스 차일드 씨는 "주식에 대한 자산 배분을 55%에서 44%로 줄였다. 또한 스털링 기준의 자산도 34%에서 25% 정도 줄이고, 그 대신 골드나 귀금속 자산을 8%로 증가했다. 또한 "Absolute return and credit"(확실히 반환가능한 것이나 신용할만한 자산)도 늘려, 이것이 올 반 년간의 수익으로 돌아왔다"고 말했다.


보고의 포인트는 여기까지입니다만, 좀 더 파고들어, 2016년 상반기의 실적보고서의 내용을 봅시다


그가 말하는, 총 수익에 기여했다는 "Absolute return and credit"란 무엇인가? 동 자산펀드의 실적 보고서를 살펴보면 ...



           

            


(가) 실적보고서의 첫 부분에서 "양적완화로 주가를 올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이것은 영원히 계속될 수는 없는 것이다. 지정학적으로 매우 불안정 요인이 되고있는 것 등, 많은 역풍이 시장을 덮칠 것"이라고 보고있음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안전자산으로 방향을 전환해, 골드​​, 귀금속 자산 배분을 8%로 늘렸다고 합니다.


(나) 실적 보고서의 자산배분 내역 데이터의 일부입니다. "Absolute return and credit"(확실히 신뢰할 수있는 안전자산)의 란에는 부동산이 2개, 그리고 블랙 록 금광 주식 펀드, 금선물, 실버선물 롱이라고 명기되어있습니다.


(다) 다만, 이 두개의 부동산 자산은 보통의 것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중요한 귀족의 저택인 거성이거나, 역사적인 주택 자산입니다. 그 하나인 Spencer House의 사진이 (라) 여기 있습니다.


가장 안전한 것이 가장 수익이 높다는 것은, 백년 간의 역사에서 증명되고 있습니다.




                                                http://www.mag2.com/p/money/20997/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재간둥이o 16-09-10 22:08
   
한국정부가 굳이 환율에 손대지 않아도 알아서 원저가 된다는 말?
달렸다 16-09-13 02:22
   
ㅋㅋㅋ 1400조는 그래도 부담된다......
멀리뛰기 21-01-01 20:55
   
그린스펀과 로스차일드는 "향후 매우 비관적인 전망"에 일치 좋은글~
     
유기화학 21-03-28 13:01
   
222
멀리뛰기 21-01-08 10:50
   
그린스펀과 로스차일드는 "향후 매우 비관적인 전망"에 일치 잘 봤습니다.
     
유기화학 21-03-28 13:01
   
2222
 
 
Total 16,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933
4054 韓 반도체 꿈의 숫자 '8'·'10'··'30'… (4) 스크레치 05-01 4202
4053 [금융] 중국은 왜 금융·자본시장 개방에 속도를 내나? (21) 귀요미지훈 11-24 4202
4052 반도체 맹주, 26년 만에 미국서 한국으로 (3) 스크레치 06-08 4204
4051 [기타경제] 韓日 수출입 비교 (18) 높은꿈 07-06 4204
4050 [기타경제] 후성, 삼성전자·SK하이닉스 국산 불화수소 첫 공정 투입 … (16) 굿잡스 07-15 4204
4049 [기타경제] GDP 1조달러대 국가 현황 (2023년) (14) 스크레치 08-24 4205
4048 [기타경제] 말 바꾼 일본..."수출규제, 한국 아닌 일본내 관리 미흡 … (7) 스쿨즈건0 07-13 4205
4047 [잡담] 주식 개폭등 ㄷㄷㄷ (17) 강남토박이 11-06 4205
4046 LG디스플레이, UHD TV 패널 시장 1위 (9) 스크레치 02-20 4207
4045 '제2 전진기지' 베트남 투자 갈수록 확대하는 삼… (8) 스크레치 06-26 4207
4044 테슬라 신차 근황[외계인고문수준] (7) 케인즈 11-18 4207
4043 [전기/전자] [中 ZTE 영업중단 선언] "美 제재때문에 회사 못하겠다" (11) 스크레치 05-11 4207
4042 [기타경제] 트럼프. 시진핑/중국 조지는 방법은 시진핑의 아이디어 (14) 스포메니아 05-24 4207
4041 [기타경제] 올해 일본 무역적자 16년만에 최저 전망 (16) 귀요미지훈 11-18 4207
4040 [잡담] 싱가포르,인니가.. (16) 그대만큼만 11-25 4208
4039 [기타경제] 또 유니클로···'혐한' 작가 "티셔츠" 팔다 걸… (10) 스쿨즈건0 08-23 4209
4038 [전기/전자] 인텔 10nm 공정실패 인정... ”7·5nm 전환 가속화할 것” (7) 스크레치 03-08 4209
4037 [기타경제] 2018 gdp 갱신되었네요.. (19) 붸르트리제 05-10 4210
4036 [기타경제] 한국이 강대국이 될 수 밖에 없는 이유 (18) 모로윈더 05-06 4210
4035 [전기/전자] 日 기업들 반도체·소재 韓 '우회 수출' 추진 (12) 너를나를 08-10 4210
4034 [과학/기술] 중국 OLED 공장에 한국인 엔지니어가 1500명? (19) 귀요미지훈 12-21 4211
4033 [잡담] 2023년 4월 GDP 경제력 순위 IMF 최신 버전 간단 요약 (8) 한국국대대 04-12 4212
4032 [전기/전자] 뒤집은TV…한국 세계1위 탈환, 중국 ‘석달천하’ (14) 스쿨즈건0 08-22 4214
4031 [기타경제] 불매 대상 日데상트, 中 으로 간다.. (12) 스쿨즈건0 08-29 4214
4030 한국병원들도 로봇 도입? (4) 뉴타입 05-23 4215
 <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