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1-17 00:03
[기타경제] 일본 이어 독일도 마이너스 성장
 글쓴이 : 문제적남자
조회 : 4,084  

네이버 댓글만 보면 세계는 대 호황이고 한국만 대통령 때문에 불황이라던데..
일본과 독일도 마이너스...  성장하고 있네요
이런거는 우리나라 수구 언론에서 절대 발표하지도 않죠...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영ㄱㄴㄷ 18-11-17 01:24
   
대통령때메 불황이면 그 전에 미친여자 시절에는 뭐하다 지금 주둥이 터는건지ㅋ
랍스타 18-11-17 04:03
   
예전에 고 노무현 전대통령 시절에 니들이 했던거 기억난다.. 한국 망한다고 노래 부르고 국민들이 혹하게 해서  경제 때문에 2mb 사기꾼 대통령  만들고... 하여튼 본성을 못버려 기래기들...
빨갱척결 18-11-17 08:30
   
수구언론 탓하면서 자기자신의 븅쉰적인 마인드는
탓하지 않네.

즉 대갈빡 깊은곳에 문슬람 인식이 박혀 있으니
모든게 엿같이 보이고 편향되게 보이는거지.

기사 올려놓고 봐라 일본은 자연재해영향
독일은 폭스바겐사태등

무엇보다 우리보다 gdp가 월등히 높은 나라라는거.
그리 따지면 미국은?

여기에 무슨 수구언론이니. 그럼 와 다들
안좋은데 우린 좋다 라고 언론에서 광고질
해주면 좋은 언론이지 니들기준에서?

그짓하는게 북한하고 일본 종특이다.
갑오징어 18-11-17 09:18
   
수구언론 뿐만 아니라 경제지등 전부다 이야기안하고 망했다는 식으로 몰아갑니다  분명 한국이 미리 fta 빨리 체결하고 로비하면서 선방한건데  절대 이야기안하죠
문세 18-11-17 10:58
   
있는 그대로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라는 뜻인지..
자기 입맛에 따라서 가공하지 말라는 것이예요..
김쌍큼 18-11-17 11:04
   
팩트만 이야기하면 한국은 주요국 중 매우 선방한 국가다~
kira2881 18-11-17 11:42
   
지금 내수 폭망 직전인데 ㅋㅋㅋㅋㅋㅋ
한대범 18-11-17 16:27
   
선진국은 2%만 성장 하여도 잘한겁니다..
적도 18-11-17 20:21
   
좌파늠들특징 선전선동을 잘하며 잘되면 네탓 안되면 남탓.ㅋㅋㅋ
솔직히 친북좌파정권 경제 이념부터 글러먹었어 나라경제 이모양 이꼴아니냐.
역전의용사 18-11-18 00:41
   
도대체 벌레 색희들은 보수 9년동안 경제 작살 내는건 아무소리도 안내지...
그 기간 동안 oecd 평균보다 휘씬 낮게 성장했는데 ㅋ
일본 취업자 수 많다고 일본 빨던 벌레들....그게 아베노믹스가 잘해서 그런건가? 사람없어서 그런거지. 실질 성장률은 마이너스에 불과한데. 그리고 내수 폭망은 이명박근혜 거치면서 완전히 자리 잡았잖아. 재벌,부자 감세해주고, 낙수 효과로 경제 성장한다고 해놓고,,,서민 중산층 아작 낸게 이명박근혜 아닌가??  현재 경제 어렵다고 하지만...다른 선진국에 비해 양호하고, 경제 방향성만큼은 옳다는거 부정 못할텐데. 이명박근혜 10년을 참은 분들이 왜 1년 넘었다고 망한다고 지랄인지 ㅋㅋㅋㅋ그 참을성을 현정부에게도 발휘 해 보세요. 10년정도는 참아 줘야 하는거 아닌가
Sulpen 18-11-19 08:30
   
여기있는 댓글만 보더라도 경제를 정치에 엮으려는 사람이 수두룩하네요 ㅡ.ㅡ;;

기본적으로 경제가 정책에 영향을 크게 받긴 하지만 그걸 무작정 정치에게만 귀책을 묻긴 힘들고 다양한 여건을 같이 고려해 봐야지요.

경제정책은 단기성 정책이 아닌 이상 대부분 몇년에 걸쳐 영향을 줍니다. 대표적인게 부동산 정책이지요. 요즘 경남지역이 부동산 침체가 극심한데 그 이유중에 하나가 부동산 공급량이 과다하게 이루어진 상황에서 18년 4분기에 추가적으로 공급될 분량이 상당한 부분때문입니다. 이는 몇년에 걸쳐 공급량을 낙관적으로 잡아놓은거 때문이고, 부동산 공급조절 실패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몇년간에 걸친 결과상으로 정책을 비판하는것과 단순히 정책을 정권이 마음에 안든다고 비판하는것과는 다른 문제이지요. 참고로 이전 도지사는 그분이지요...

초이노믹스만 해도 박근혜 정부시절에도 유동성 과잉에 대한 우려가 많았지만 정부차원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대응을 하지 않았고 그 과실이 드러난만큼 비판할 수 있는거지요. 분명 그 당시에는 우려가 있었지만 유동성 공급으로 인해 경제가 선방한것도 사실이고, 반대급부로 이후 정권에 막대한 부담을 떠 넘긴것도 사실이지요.
     
다크사이드 18-11-19 21:24
   
헛소리 맙시다. 초이노믹스로 경제가 개선된게 사실인데~~  유동성과잉 운운은 헛소리임. 오히려 박근혜 정부는 내핍 경제를 지향하다 인기를 상실했습니다. 초이노믹스의 과실은 문재앙이 집권초기에 따먹다가 잘못된 근자감만 쌓여서 뻘짓으로 경제 폭망시킴.
          
Sulpen 18-11-19 22:06
   
유동성을 푸는 정책이 유동성 과잉을 걱정하는게 당연한데

이걸 헛소리라고 말하는건 정말 참신하네요 ㅡ.ㅡ;;

가계부채 천조가 그냥 하늘에서 떨어진줄 아시나보네요.
다크사이드 18-11-19 21:27
   
독일의 마이너스 분기 성장은 3년만으로,자주 있는 일이지만, 문재앙은 금융위기 이후 10년만에 처음으로 분기 마이너스 성장을 찬란히 기록한 바 있습니다.
멀리뛰기 21-01-02 14:59
   
[기타경제] 일본 이어 독일도 마이너스 성장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50
   
[기타경제] 일본 이어 독일도 마이너스 성장 감사^^
 
 
Total 16,5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290
3998 [전기/전자] 삼성 TV, 13년 연속 `세계 1위`·`점유율 30%` 눈앞…`QD OLED` … (6) 스크레치 11-22 2007
3997 [전기/전자] 코오롱-SKC '폴더블폰 필름전쟁' (7) 스크레치 11-22 2544
3996 [전기/전자] 삼성전자 D램 3분기 점유율 45% 회복…낸드 35.6% (3) 스크레치 11-22 1777
3995 [과학/기술] KAIST, 초소형X-선 튜브·근접 암치료장비 개발 (4) 진구와삼숙 11-22 1907
3994 [전기/전자] 중국의 삼성 OLED 기술 탈취에 美도 화났다 (5) samanto.. 11-22 4358
3993 [과학/기술] 中, '반도체 올림픽'서 3위 부상..'반도체 굴기… (5) 참치 11-22 3527
3992 [기타경제] (중국조선 실체)“오일·가스 한국 못 따라가” 절망 깊… (16) 스크레치 11-21 6760
3991 [전기/전자] 삼성전자, 유럽 전체 TV 점유율 33%로 1위…프리미엄 TV 62% … (3) 스크레치 11-21 2463
3990 [자동차] 현대차 수소전기버스, 서울시 시범 투입…내년부터 6개 … (3) 스크레치 11-21 1463
3989 [전기/전자] 외신 "삼성, 5G 갤럭시S10에 스냅드래곤 대신 엑시노스 사… (4) 스크레치 11-21 3199
3988 [과학/기술] "中 '반도체 굴기' 답보상태..D램은 불가능, 낸드… (9) 월하정인 11-21 4342
3987 [전기/전자] 3D증강현실까지..삼성 폴더블폰 '홀로그램' 품었… (6) 진구와삼숙 11-21 2233
3986 [과학/기술] 근육 만드는 3D 프린터...상처 재생에 효과 (6) 진구와삼숙 11-21 1580
3985 [기타경제] 국민소득 1만불 이상 중위권 이상 개발도상국 현황 (2018… (2) 스크레치 11-21 2006
3984 [자동차] 베트남 최초 국산차 가격 공개 (23) 귀요미지훈 11-20 5102
3983 [기타경제] 달러채권 발행 中기업 '지급불능' 급증..中경제 &#… (9) 한대범 11-20 4403
3982 [과학/기술] 곤충 눈 구조 띤 초박형 카메라 개발 (6) 진구와삼숙 11-20 2507
3981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폰, 일본도 만들 수 있을까? 소니·샤프 계획 … (9) 스크레치 11-19 5730
3980 [전기/전자] LG전자, '제네시스 G90'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공… (4) 스크레치 11-19 2686
3979 [전기/전자] 삼성의 10년 기술 집약체 '갤럭시S10', 이렇게 나온… (7) 스크레치 11-19 3920
3978 [자동차] 제네시스 생산 2배로...내년 30만대 시대 연다 (4) 스크레치 11-19 1936
3977 [기타경제] 운임 상승에 LNG선 발주도 증가…조선 '빅3' 최대 … (3) 스크레치 11-19 2101
3976 [과학/기술] 中 낸드플래시 6세대 직행..D램도 韓 타도 노골화 (39) 참치 11-19 5562
3975 [기타경제] 향후 4만불대 선진국 예상 현황 (4) 스크레치 11-19 3077
3974 [잡담] 삼성그룹이 (8) 공평 11-18 4327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