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29 00:29
[잡담] 국내 초대형 IB들, 아시아 시장서 몸집불리기 경쟁
 글쓴이 : 4457205
조회 : 3,430  

0004034401_001_20181028181712326.jpg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초대형 투자은행(IB)들이 홍콩과 동남아시아 등에서 앞다퉈 몸집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성장성 높은 아시아에서 활로를 찾기 시작한 것이다.

미래에셋대우는 싱가포르에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맵스 로케이션’에 6300만달러(약 720억원)를 출자한다고 지난 24일 공시했다. 맵스 로케이션의 자본금을 7000만달러로 늘려 자기자본 투자(PI) 수익을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배당수익이나 매각 차익을 올릴 만한 투자 건을 물색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투자증권은 19일 홍콩법인 유상증자에 4억달러(약 4500억원)를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홍콩법인의 자기자본을 1000만달러에서 4억1000만달러로 대폭 늘린 것이다. 홍콩에 해외 트레이딩센터를 구축해 주식과 채권, 파생상품 투자를 시작하고, 대체투자 등으로 업무 영역을 넓혀 아시아 금융거점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한국투자증권은 올초엔 베트남 현지법인인 ’KIS 베트남’에 380억원을 증자했다. 현재 KIS베트남의 자본금은 약 900억원으로 베트남 증권업계 7위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4일 KIS베트남에 운영 자금으로 2000만달러(약 227억원)를 대여하기로 결정했다.

NH투자증권도 지난달 홍콩법인 증자에 1억2500만달러(약 1400억원)를 들였다. KB증권은 지난 5월 홍콩법인에 8000만달러(약 900억원)를 추가로 넣었다. KB증권은 베트남 자회사 ‘KBSV’가 조만간 실시할 유상증자에도 700억원가량을 투입할 방침이다.

국내 증권사들이 아시아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는 이유는 해외 사업이 새 수익원이 될 가능성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15개 증권사가 해외부문에서 거둔 영업이익은 6607만달러(약 750억원)로, 지난해 실적(5857만달러)을 이미 넘어섰다.

이 가운데 미래에셋대우의 영업이익이 4970만달러로 전체의 75%에 달한다. 미래에셋대우의 해외 진출은 박현주 글로벌경영전략고문(GISO)이 홍콩법인 회장을 겸하면서 진두지휘하고 있다. 미래에셋대우 홍콩법인의 자기자본은 약 13억달러(약 1조4850억원)로, 국내 증권사 중 가장 많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단일 부동산 거래로 역대 최대인 홍콩 ‘더센터’ 빌딩(51억달러) 인수에 참여하는 등 글로벌 IB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각종 위험(리스크)을 고려하면 해외에서 수익을 내는 게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미래에셋대우는 24일 ‘멀티에셋전문투자형사모부동산투자신탁제1호 펀드’에 7366만달러(약 796억원)를 투자하기로 한 결정을 철회한다고 공시했다. 펀드 투자 대상인 베트남 호찌민 인근 ‘뚜띠엠’ 신도시 개발사업이 인허가 지연으로 표류하는 데 따른 것이다.

-----------------------------------------------

금융업은 전통적으로 백인들만의 산업이었습니다. 아시아는 금융 불모지였습니다.

그러나 아시아가 금융 불모지라는 관념은 대한민국으로 인해 깨질 것입니다.

최근 국내 대형 증권사(또는 투자은행)들의 엄청난 성장 속도와 해외 진출 성과를 보면 매우 놀라울 정도입니다.

특별히 미래에셋은 압도적인 규모, 압도적인 영업이익, 게다가 압도적인 성장 속도를 자랑하며, 마치 금융의 삼성전자를 보는 듯 합니다.

21세기 대한민국은 아시아 최초의 금융 강국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자원은 없지만, 자원보다 훨씬 값진 뛰어난 감각을 갖춘 기업인들이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어려움이 닥칠 때마다 유연하게 신사업을 개척해 나갔습니다.

이제는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한번도 가지 않았던, 남들은 한번도 가지 않았던 길을 개척해 가고 있습니다.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4457205 18-10-29 00:30
   
귀요미지훈 18-10-29 00:45
   
증권사 외 은행들도 동남아에서 요즘 짭짤하게 재미를 보고 있더군요.
     
4457205 18-10-29 00:55
   
우리가 아는 대표적인 빅3 상업은행인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은 사실상 한국의 은행이라 볼 수 없습니다.

외국인 지분이 70퍼센트가 넘어갈 정도로 지나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번 돈을 외국인들 주머니로 유출시키는 골칫덩어리에 불과합니다. 대한민국 국부를 유출시키는 주범입니다.

유럽의 유명한 은행들은 대부분 상업+투자은행 업무를 같이 하는 회사들입니다.

미국의 유명한 투자은행인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은행도 모두 상업은행+투자은행 업무를 겸비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바라는 시나리오는 국내 투자은행들이 외국인들에게 넘어간 상업은행들을 모조리 인수해버리는 것입니다.

순수 한국인들의 자본으로 이루어진 대규모 증권사들이 앞으로 세계구급 초대형 투자은행으로 성장을 하여 유럽과 미국처럼, 현재 빅3 상업은행들의 자리를 대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그것이 바로 우리 자본시장이 건강하게 발전할 수 있는 길입니다.
멀리뛰기 21-01-02 14:55
   
[잡담] 국내 초대형 IB들, 아시아 시장서 몸집불리기 경쟁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4:45
   
[잡담] 국내 초대형 IB들, 아시아 시장서 몸집불리기 경쟁 좋은글~
 
 
Total 16,53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690
3883 [기타경제] 美,중국 정보기관 요원 등 10명 기소…항공 엔진기술 탈… (3) 굿잡스 10-31 2060
3882 [전기/전자] 미국의 '하이테크 봉쇄작전'… 중국 D램 양산 싹 … (7) 굿잡스 10-31 3230
3881 [과학/기술] `태양광`으로 달리는 쏘나타…현대·기아차, 솔라시스템 … (6) 진구와삼숙 10-31 1865
3880 [기타경제] 이베리아 반도 양대 선진국 [스페인 - 포르투갈] 경제 (2) 스크레치 10-30 2962
3879 [전기/전자] ‘전자산업의 쌀’ MLCC 호황에 증설 경쟁 (15) 스크레치 10-30 3595
3878 [과학/기술] 천연가스에 풍부한 메탄 자원화…촉매기술 구현 (4) 진구와삼숙 10-30 2239
3877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 (8) 진구와삼숙 10-30 2747
3876 [금융] [단독] 4대 은행 글로벌 순익 1조 돌파한다..사상최초 (4) 설설설설설 10-30 2174
3875 [기타경제] 美, 중국 국유 반도체회사와 거래 금지령 (16) 굿잡스 10-30 3313
3874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라인 국산장비 비중 확대 (12) 스크레치 10-30 2602
3873 [전기/전자] 삼성전자 파운드리 올해 세계 2위 유력..'메모리 다음… (13) 번개머리 10-30 3199
3872 [기타경제] 대한민국에 국민소득을 역전당한 나라들 (연도순) (5) 스크레치 10-29 5053
3871 [잡담] 국내 초대형 IB들, 아시아 시장서 몸집불리기 경쟁 (5) 4457205 10-29 3431
3870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나라들 (30) 스크레치 10-28 4914
3869 [전기/전자] 반도체 업계, 미국 월가의 '반도체 고점론' 반박 (5) 귀요미지훈 10-28 3288
3868 [전기/전자] 대만, 2019년 세계 반도체 업황 긍정적 전망 (3) 귀요미지훈 10-28 2781
3867 [전기/전자] TV 및 디스플레이 세계시장 현황 (8) 귀요미지훈 10-28 2695
3866 [전기/전자] 중국 꿇어! TV에선 삼성·LG가 지존 (22) 스크레치 10-28 3720
3865 [기타경제] 반도체 고점론 '무색'…3분기 반도체 판매 역대 … (9) 굿잡스 10-28 3058
3864 [기타경제] 선진국 라이벌 대한민국 vs 이탈리아 1인당 국민소득 변… (14) 스크레치 10-26 6254
3863 [전기/전자] LG화학은 전기차배터리 관련해서 자신감이 넘치나보네요 (13) 설설설설설 10-26 3723
3862 [기타경제] 선진국 3만불 돌파까지 걸린 시간 (2만불 -> 3만불까지) (13) 스크레치 10-26 2699
3861 [기타경제] 한국, 국가브랜드 가치 2조 달러…세계 10위 (9) 스크레치 10-25 4503
3860 [과학/기술]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용량 2배 이상 늘어난다 (10) 귀요미지훈 10-25 3385
3859 [기타경제] 中, 무역전쟁 확산 막으려 트럼프 아이폰 도청 (12) 귀요미지훈 10-25 3530
 <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