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9-07 20:23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폰, 안쪽으로 접고 펴는 다이어리 형태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346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0&aid=0002738979







오는 11월 세계 최초로 폴더블 스마트폰 공개가 예상되는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업계 중 유일하게 수년전부터 폴더블 스마트폰 기술력을 축적해온 업체가

삼성전자인 만큼 


이제 완성도에서 만족할 정도로 올라온 모양이네요 




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이 되는 스마트폰 디자인과 규격을 삼성전자가 확정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기술규격과 양산계획>



1. 7.3인치 폴더블 OLED (삼성 디스플레이가 제조 맡아)

2. 터치기능이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터치 일체형 OLED

3. 디스플레이 곡률 1.5R (반지름 1.5mm 원을 감쌀 정도로 디스플레이가 접힌다는 뜻) 


4. 폴더블 디스플레이 생산량 (월 10만 ~ 12만대 예상)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9-07 20:24
   
귀요미지훈 18-09-07 20:47
   
잘 나와서 최상위 프리미엄폰, 혁신의 상징이 되는 스마트폰이 되길...
     
스크레치 18-09-07 20:58
   
워낙 비쌀거 같아서

(지금 나오는 얘기는 스마트폰 가격이 200만원대 ㅡㅡ;;;)


(기왕에도 스마트폰 부품중에 OLED 디스플레이가 가장 고가의 부품이었는데

무려 폴더블 OLED 디스플레이니 뭐 가격이 상상이상)


삼성전자도 대량양산은 조심스러운듯 합니다 ㅋ



삼성전자가 폴더블 스마트폰을 계속 뜸들이면서 안낸 가장 큰 이유가 저것으로 봅니다.

이미 폴더블 스마트폰은 꽤 오래전에 만들어 놓았을테고


세계 최초 타이틀에 목숨걸었으면

어지간한 공개장소에서 슬쩍 공개를 했을겁니다.


그러나 워낙 가격도 비싸고

수요가 있을지도 모르는 상황에 덥석 출시해버리면

오히려 수익성만 악화될 가능성이 있어서 그동안 조심스러웠던듯
          
귀요미지훈 18-09-07 21:04
   
그러게요. 월 10~12만장이라고 하니 본격 양산은 아닌거 같고

품질만 잘 나온다면 가격이 얼마든 상관은 없을거 같고

당장은 최첨단, 혁신의 아이콘 역할만 해줘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네요.
               
스크레치 18-09-07 21:07
   
예 지훈님 말한정도의 의미 부여만 하면 될듯합니다.


어차피 폴더블 스마트폰과 OLED 기술력은 삼성을 따라올 업체가

아직까지 이 지구상에는 없으니까요
클로바 18-09-07 22:11
   
전자책을 좋아해서 이걸로 바꿔볼까하고 기다렸는데. 기대한만큼 나와줬으면..
frogdog 18-09-08 12:26
   
아마도 폴더블폰은 초 프리미엄을 강조하기 위해서 갤럭시브랜드가 아닌 다른 브랜드로

마케팅을 할걸로 생각이 되어지네요

갤럭시 브랜드가 프리미엄폰도 있지니만 저가제품에도 있기때문에 차별화 하지 않으면 안될걸로 보여지네요
멀리뛰기 21-01-02 14:46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폰, 안쪽으로 접고 펴는 다이어리 형태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4:35
   
[전기/전자] 삼성 폴더블폰, 안쪽으로 접고 펴는 다이어리 형태 감사합니다.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15
3758 삼성, 매출-영업익 애플 압도 '세계 최고' (6) 스크레치 08-03 4332
3757 [전기/전자] 절대강자 소니도 '삼성 이미지센서' 쓴다 (11) 진구와삼숙 03-25 4332
3756 [전기/전자] 우려 일축한 인텔 "7㎚ 기술적 결함 해결…2023년 제품 대… (10) 스크레치 01-22 4332
3755 파운드화 급락으로 영국이 GDP 6위군요 (10) 스테판커리 10-06 4333
3754 [기타경제] 기술 유출 혐의 日회사, 韓 철수하며 “韓 사법부 독… (13) 스쿨즈건0 04-17 4333
3753 [기타경제] 무너지는 日아베노믹스…日 4분기 경제 -7.1% (37) 스크레치 03-09 4333
3752 [자동차] 현대차, 2026년 글로벌 1위 예상 (6) 감솨 04-20 4333
3751 日기업 중국철수 확대…中 인건비 급등이 원인 (6) 스크레치 09-10 4334
3750 [기타경제] 韓-유럽 소득격차 현황 (2018년) (8) 스크레치 08-26 4334
3749 [기타경제] '일본불매'통했나…아사히·유니클로 등 일본기… (28) 스쿨즈건0 07-05 4334
3748 중국 금리 전격 인하 !! 10년 만기 국채 2% 대네요~ (5) 눈틩 01-14 4335
3747 [자동차] 日혼다…한국에 러브콜 (5) 스크레치 08-21 4335
3746 [기타경제] 중국의 ‘경제적 식민지’로 전락한 캄보디아 (16) 스크레치 07-28 4337
3745 [전기/전자] 영국 유력 정치인의 경고..'중국이 반도체 패권 노린… (4) 스크레치 07-17 4337
3744 삼성전자 반도체 글로벌 1위 예약 (5) 스크레치 06-05 4338
3743 유럽 빅5 역대 1인당 GDP (1980~2022년) (8) 스크레치 08-19 4338
3742 [기타경제] 중국인, 서울아파트 쓸어담는다 "규제가 뭐야?"… (34) 스쿨즈건0 10-21 4339
3741 삼성전자, 세계 최초 10나노 반도체 양산···인텔·TSMC 또… (6) 스크레치 10-18 4340
3740 韓, 2023년 4만달러 진입 예상 (현대경제연구원) (14) 스크레치 01-24 4340
3739 [기타경제] [최신 세계 여권(Passport) 랭킹] (주요 선진국) (2018년) (12) 스크레치 10-10 4340
3738 [기타경제] 역대 선진국 1인당 GDP 3만달러 최초 돌파시점 (7) 스크레치 10-14 4340
3737 [과학/기술] "中 '반도체 굴기' 답보상태..D램은 불가능, 낸드… (9) 월하정인 11-21 4341
3736 [전기/전자] 역시 제 바램대로 삼성의 M&A 대상은 자일링스가 아닐까 … (8) 3월의토끼 04-02 4341
3735 [잡담] 점입가경..미국vs중국..청나라채권 소송 가나요? (16) 니내아니 09-01 4341
3734 [기타경제] '러시아 의존 줄이자'..그리스, 대규모 해상 LNG터… (3) 굿잡스 05-04 4341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