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1-31 20:45
[과학/기술]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1,824  

팔, 다리 절단 환자, 인공망막 사용 환자에게 효과적

생체 내에 전극을 넣어도 부식 등 변함없이 장기간 신경신호를 측정하고 세포에 효율적으로 전기 자극을 줄 수 있는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화학적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분흡수 및 투과가 없으며 생체친화적인 금(Au)과 불소(F)계 고분자로만 구성된 신경전극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개발된 신경전극은 화학적 부식요소가 없어 다양한 물질로 구성된 체액에서 장기간 삽입시 안정성을 가진다. 따라서 안정적인 뇌 신경신호를 검출하고 신경조직 자극도 지속적으로 가능하다.

최근 프랑스에서 손상된 뇌신경에 전극을 심어 1개월 동안 전기 자극을 계속 줘 식물인간인 환자가 깨어나 전 세계를 놀라게 했다. 하지만 환자가 정상이 되려면 대뇌 피질에 삽입한 전극이 내구성이 있어 지속적인 전기신호를 보낼 수 있어야 한다.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화학적 부식 요소 없이 장기간 삽입 가능한 유연한 신경 전극

실리콘(Si)을 기판으로 하는 전극은 기계적 강도가 강한 대신 생물학적으로 거부반응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유연한 고분자를 기판으로 하는 전극은 생물학적 거부 반응은 적지만 고분자 기판과 금속 전극 간 접합에 어려움이 있었다. 통상 크롬(Cr)과 티타늄(Ti)과 같은 접착층이 사용되는데, 이들 접착층은 생체에서 부식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연구진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흡습성이 거의 없는 불소(F)계 고분자 필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금(Au)전극과 접착률을 향상 시켰다. 또한, 플라즈마 처리된 불소계 고분자 필름을 녹는점 이하에서 열압착하여 불소계 고분자 간 화학적 결합을 통해 접착력도 키웠다.

이를 통해 불소계 고분자 필름으로 보호된 전극의 직경이 100㎛(마이크로 미터)인 16채널 금 신경전극을 제작하였다.

아울러 ETRI는 개발한 유연 신경전극을 섭씨 70℃의 진한 질산에 1시간 이상 담가도 부식되지 않는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본 전극이 생체 삽입용 혈당 센서, 착복형 유연 센서, 사지절단 장애인을 위한 신경 보철 보급, 뇌질환자의 기능 회복을 통한 고령화 대응, 웨어러블 센서 및 극한환경에서 내구성이 요구되는 화학 센서 등에 널리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화학적인 내구성이 뛰어나 생체 내 지속적으로 전극을 삽입하고 살아야 하는 팔, 다리 절단 환자, 인공망막 사용 환자들에게 향후 효과적인 연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ETRI는 본 기술을 바탕으로 장기간 생체안정성 및 내구성 검증과 더불어 수백 채널 급의 대뇌피질 삽입형 유연 제작 기술 등 공정개발을 중점 연구개발 할 계획이다. 또한 전임상 및 임상 협력 시험을 통해 의학적인 효용성도 검증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신경전극을 이용한 생체 삽입 실험

아울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개발을 위하여 이번 성과가 감도 좋은 전극을 개발함에 따라 향후 전극으로 동물에 전기 자극 실험을 한 뒤에 뇌신호 추출을 통하여 신경망 시스템과 양방향 통신을 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설명했다.

한편, ETRI 연구진은 지난해 말 금(Au)과 이리듐산화물(IrOx)을 이용, 전하주입이 가능한 나노구조 전극을 개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신경세포를 전기적으로 자극할 수 있는 신경전극 개발에도 성공한 바 있으며, 이번 플렉시블 전극 개발에도 적용되었다.


http://news.nate.com/view/20180131n34076?mid=n060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진구와삼숙 18-01-31 20:45
   
음~~굿잡
     
자의뉴스 18-01-31 21:33
   
댓글이 필요하셨군요.
멀리뛰기 21-01-02 09:29
   
[과학/기술]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3:48
   
[과학/기술]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개발 감사^^
 
 
Total 16,51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631
3692 [기타경제] 인도, 'LED 패널' 관세 폐지 (8) 귀요미지훈 03-06 1831
3691 [전기/전자] 美 상용차 시장서도 질주하는 LG화학…‘100조 수주’ 돌… (6) 스크레치 03-14 1831
3690 [기타경제] 최저임금 인상에도 지난해 자영업 폐업률 감소..11% 역대 … (19) 너를나를 07-28 1831
3689 [전기/전자] SK하이닉스, 車메모리·파운드리로 확장 가속 (7) 스크레치 08-17 1831
3688 [자동차] 'K-배터리' 위기?... 폭스바겐, 배터리 자체생산 확… (6) 조국과청춘 03-16 1831
3687 [기타경제] "미국, 내년까지 러시아 넘어 세계 최대 산유국 된다" (6) 스크레치 03-05 1830
3686 [과학/기술] 가제트 팔 개발 ,. 최대 17.5배 늘어나... (2) 진구와삼숙 03-15 1830
3685 [기타경제] 주요 개발도상국 1인당 GDP 증가 현황 (2018년) (5) 스크레치 12-11 1830
3684 [자동차] 올해 1월 유럽 승용차 판매 7.1% 증가…현대·기아차 '… (3) 스크레치 02-21 1829
3683 [주식] 이호진 전 태광 회장 차명 유산 소유권 소송, 항소심 간… 이진설 07-06 1829
3682 [기타경제] 중진국 함정에 빠진국가 현황 (6. 멕시코) (IMF) (8) 스크레치 11-16 1828
3681 [과학/기술] 서울-부산 20분, 하이퍼튜브 개발 본격화 (5) 가생이다 08-07 1828
3680 [기타경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법인세 내려 경제성장? 헛소리" (5) 너를나를 10-23 1827
3679 [잡담] 러시아백신 생산기지된 한국 (6) 유기화학 02-26 1827
3678 [전기/전자] 머리싸맨 韓배터리 "진짜 어려운 과제" ..전기차 충전 … (1) 스크레치 05-27 1827
3677 [기타경제] 대파 가격 왜곡 논란 (16) VㅏJㅏZㅣ 03-21 1827
3676 [전기/전자] 베일벗은 갤S21 괴물 카메라 떴다 "누가 찍든 작품" (1) 스크레치 01-15 1826
3675 [자동차] 현대차 日 도요타 제치고 베트남 1위, 작년 베트남 점유… (3) 스크레치 02-07 1826
3674 [잡담] 장기집권 들어간 일본 자민당 (5) 달구지2 02-17 1826
3673 [과학/기술] 생체 내에 장기간 삽입해도 부식 없이 유연한 신경전극 … (4) 진구와삼숙 01-31 1825
3672 [기타경제] [독일 깬 날, 월드컵 특수 ①] 잘싸웠다 태극전사…주류… (4) 스크레치 06-28 1825
3671 [기타경제] 한미FTA 개정안 공개 ISDS 중복 제소 방지 (4) lanova 09-03 1825
3670 [기타경제] 중국 BOE, LG제치고 세계최대 LCD 패널 업체 (8) 스쿨즈건0 02-16 1825
3669 [기타경제] "日정부관계자, 수출규제'오판'인정…'예상밖… (3) 스쿨즈건0 08-09 1825
3668 [잡담] 닛산,애플카 협력하나 (14) 유기화학 02-10 1825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