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5-07 13:17
[기타경제] '최저임금 인상→물가상승' 주장하던 경제학자들, 지금 뭐하나
 글쓴이 : 짱구2
조회 : 4,405  

메인에는 안걸리는 기사

https://news.v.daum.net/v/20190507062005547

그런데도 각종 경제학회, 연구소 등에서는 고용률, 실업률로 설명하지 않고 인구감소로 줄어든 취업자증가수를 가지고 고용참사로 몰았다. 또한 지난해 청년실업률이 감소세로 전환됐고 올해도 낮아졌는데도 취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 일부를 추가 설명하는 고용보조지표3로 청년 체감실업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짱구2 19-05-07 13:18
   
Assa 19-05-07 13:31
   
식당을 하는사람으로써 경제학자들 현실모르고 짖거리는거 보면 짜증이 남 이미 직원들 월급이나 주방 홀 알바쓸때 최저임금 보다 더 주고있는 상황이 지속되었음 최저임금 지키면서 주는 알바들은 보통 젊은 애들 쓸때지 나이든사람들은 오면 따질거 다 따지고 사장이랑 협상하고 그렇게 함 이미 최저임금 인상전부터 직원들의 월급인상은 꾸준히 물가상승률에 반영되고 있었을거임 이번정권이 최저임금 크게 올려서 물가상승률이 확 늘거다 다 숫자만 보고 해석하는 어리석음이고
랍스타 19-05-07 13:59
   
보면 영혼없는 학자들 진짜 많은듯 조중동문에 특히... 신문에 이름을 올리고 싶지만 능력이 안돼서 조중동문의 입맛에 맞는 글을 올리는 짓을 참 많이 하는거 같음..하여튼 문제임..
새콤한농약 19-05-07 14:09
   
존문가색휘들...
바람노래방 19-05-07 14:31
   
지난해 15~64세 고용률(66.6%), 65세 이상 고용률(31.3%) 모두 역대 1위였고
청년고용률(42.7%)은 2007년 이후 최고 수준이었다.
전체 실업률(3.8%)이 전년에 비해 0.1%p 올랐지만 청년실업률(9.5%)은 0.3%p 줄었다.
호갱 19-05-07 15:01
   
물가안오르는건 뭔가 안좋은거 아님?
물가는 적당한게 좋은거임
마이크로 19-05-07 15:28
   
최저임금과 물가상승의 상관 관계가 없음을 수십번을 설명해도 못알아쳐먹거나 회피하는 토착왜구들이 많아서 답없음.

지금같은 상황엔 아가리 닫고 사라짐.  그리고는 영등포나 종로의 소규모 공장은 아직도 최저임금이하다라고 짖어뎀. 그런공장은 진즉 우리나라 산업과  체질적으로 맞지않아서 사라졌어야 할 공장들이라는걸 인정안함.
엑스일 19-05-07 15:47
   
가짜학위로 밥 빌어 먹던 인간들이 하던게 논문 표절인데
논문 자체에 자신들의 생각이 없는데 무슨 논리며 이론을 갖을 수 있을까?
starb612 19-05-07 16:27
   
현재는 전체적인 수요 곡선이 더 완만하단 소린가?
쿠비즈 19-05-07 17:06
   
일부러 그런거죠. 취업률, 실업률이 기준이 아닌 취업자수증가수를 기준으로 고용문제를 논하는건 듣도보도 못한 짓거리입니다. 이걸 진짜 저 어용학자들이 몰라서 그랬을까요? 개만도 못한 인간들 인증한거죠.
신비루 19-05-07 17:15
   
최저임금 인상이 물가상승의 요인이라구?
부동산 올라서 임대료 올라가봐라
식당이면 메뉴값오르고 횟집이면 횟값오르고 술집이면 안줏값오르고
공장이면 납품가 오르고....
오죽하면 사업주 위에 건물주라 하겠냐
Sulpen 19-05-07 18:29
   
음... 상당히 재미있는 기사네요. 특히 이 부분은 얼마전에 가생이 경제게시판에서도 같은 일이 있어서 더 인상깊네요.

이런 보도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은 물가상승률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다. 설령 나중에 사실이 밝혀져도 체감은 그렇지 않다고 반박한다. 너무나 당연한 듯 음식점, 커피점 등에서는 물가를 핑계로 사전 공고 없이 가격을 올리는 일이 흔해졌다. 그나마 가격 인상으로 물가상승률이 더 낮아지는 걸 막았다는 데 위안을 삼아야할 지경이다.


2500원이 3500원으로 오르면 40%인상이지만, 3500원이 4500원으로 오르면 사람들에게는 부담이지만 정작 물가 상승은 28.57%정도밖에 안오른겁니다. 그런데 사람들 심리가 신기한게 2500원에서 3500은 수용하더니 3500원이 4500원으로 오르니까 많이 올랐다고 아우성이더군요. 경제적으로는 그 반대로 행동해야하는데 사람들의 맹점인 부분이지요. 그걸 이용해서 기업들이 물가 낮은 시점에서 은근슬쩍 이득을 참 많이 봐왔지요...
구급센타 19-05-07 18:34
   
이러니까 경제글을  이슈게 정치게에 쓰는구나

토착왜구놈들이  지대로 쓰면 개까이니
다잇글힘 19-05-07 19:31
   
일단 스태그플레이션 소리는 못하겠지만 그래봤자 저쪽도 다 대응수단이 있습니다. 너무 우습게보시는듯.

경기가 좋아도 정치적으로 공격하고 싶다면 물가인상 이야기하며 서민들 지갑 얘기를 하겠죠. 반대로 물가인상으로 공격하지 못한다면 그대신 디플레 얘기를 할겁니다. 실제 디플레 관련기사들이 올라오고 있구요.

닫힌 지갑에 서비스물가 19년만에 0%대…'디스인플레' 우려 확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5/02/2019050201802.html

경제라는게 하나가 좋으면 다른 하나가 나빠지고 반대로 나쁜것이 있으면 좋아지는 것이 있게 마련입니다. 상대가 나쁜것이 있으면 나쁜것을 강조하고 좋은것이 있으면 그건 숨기고 나쁜것을 부각하는게 정치에요. ^^
트랙터 19-05-08 02:02
   
최저임금을 29% 올린다고 물가가 막올라 10%씩 오르는 것은 있을수도 없는일이죠.
하지만 임금과 물가는 당연히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최저임금은 1분위와 2분위중 일부에 적용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영향이 적은것일 뿐입니다.

저물가시대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별내용이 없을것입니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으로 업주의 비용전가로 인한 외식비용 상승등의 체감은 어쩔수 없는것이죠. 
또한 기사는 2015년 100기준이라는것을 빼먹었군요 당연히 명시 해야 합니다.

우려스러운것은 4월까지는 계속 개선되겠지만
5월 기름값 인상과 중국돼지고기살처분에 따른 돼기고기값이 큰폭오르기 때문에
5월에는 소비자물가가 꽤 올라가지 싶군요.
발해로가자 19-05-08 10:31
   
저런 전문가들이 주5일 근무제 하면 나라 망한다던 사람들임.
더도 말고 덜도 말고 OECD 평균까지만이라도 끌어올려서 사람답게 살자는데
개돼지들은 걍 나가 죽어라 하는 넘들임.
멀리뛰기 21-01-02 16:03
   
[기타경제] '최저임금 인상→물가상승' 주장하던 경제학자들, 지금 뭐하나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5:59
   
[기타경제] '최저임금 인상→물가상승' 주장하던 경제학자들, 지금 뭐하나 잘 봤습니다.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30
3633 [기타경제] 日서 韓 '냉동김밥' 대박, 품절사태도 (6) 스크레치 02-09 4380
3632 현대건설 사기분양, 대법원 확정 판결 (6) 김기수 04-22 4381
3631 [기타경제] 터키의 이스탄불 운하 (5) 이름없는자 11-24 4382
3630 우리나라가 경제성장 모범으로 봐야할 나라는 어디일까… (16) 미나앓이 02-06 4383
3629 [전기/전자] 삼성 "SSD도 초격차".. 값 낮추고 성능은 6배 (15) 스크레치 03-10 4383
3628 [금융] "베트남 건설분쟁, 소송시효 2년 불과…100여개 한국기업 … (1) 조지아나 08-14 4383
3627 '조센징' 욕먹으며 韓 조미시장 광복 이끌어. (3) 스쿨즈건0 09-02 4385
3626 [기타경제] "중국인, 한국 분유 다시 찾아요" (9) 스크레치 06-23 4385
3625 [잡담] 태국 현지인이 운영하는 "보라 마트" 34개 지점 (ft. 맥심… 조지아나 01-23 4385
3624 [기타경제] 사면초가 애플 (4) 귀요미지훈 12-27 4386
3623 [잡담] LG화학,한국 기업 최초로 세계 10위 화학회사 등극ㄷㄷㄷ… (6) 임진왜란 08-05 4387
3622 '아이폰 엣지' 나오나… 애플, 내년에 곡면 OLED 출… (5) 스크레치 08-24 4388
3621 [전기/전자] 美 태양광 모듈시장 장악한 한화큐셀 (3) 대한사나이 09-30 4388
3620 [전기/전자] 삼성 세계최초 2억화소 이미지센서 시대 열다 (18) 스크레치 09-03 4388
3619 인간개발지수(HDI) TOP20 최상위권 국가 (2017년) (8) 스크레치 06-06 4390
3618 [자동차] 현대차, 수소연료전지 유럽 첫 수출...'비(非)자동차 … (2) BTJIMIN 09-16 4390
3617 [기타경제] “일본제의 추악한 진실” 눈물 뚝뚝 외국인 노동… (6) 스쿨즈건0 09-02 4391
3616 [전기/전자] 韓美 반도체동맹 불편한中..SK '인텔 낸드 인수' … (7) 스크레치 05-26 4391
3615 주택담보대출 1인당 1억…부채 상환액 급증 (4) 블루하와이 09-28 4392
3614 [자동차] 우즈 사고효과? GV80 등 제네시스 美판매 '껑충' (8) 스크레치 03-03 4392
3613 [전기/전자] SK하이닉스, 日 키옥시아 상장으로 1.8조 수익 눈앞 (13) Architect 07-06 4392
3612 [기타경제] 현대重·삼성重, 초대형 에탄선 12척 수주…1조6700억 '… (21) 스크레치 08-02 4393
3611 [과학/기술] 韓선수단 도시락공수에 日올림픽상 "후쿠시마산 안전해" (19) 스크레치 07-20 4393
3610 [전기/전자] 中 공세에도 유럽서 큰소리치는 '코리아 배터리 3인… (9) 스크레치 03-10 4395
3609 [기타경제] 아직 정신 못차린 중국 (13) 귀요미지훈 12-10 4395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