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8-27 06:32
[기타경제] 소득주도성장과 소비
 글쓴이 : 트랙터
조회 : 1,823  

경제를 얘기할때 항상 수요와 공급으로 따져볼 수 있겠죠.
문재인 정부에서 내건 소득주도성장은 가계의 임금 소득을 늘려 소비를 활성화 한다는 것이죠.
즉, 총수요를 늘려 내수 소비를 늘린다는 전략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소비보다는 공급이 과잉되어 있습니다.
정부의 경제정책은 항상 이 소비를 어찌 늘릴까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입니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까지 이어진 논란중 하나인 부자감세
사실 여러 이유를 대고 있지만 부자감세가 맞고요
이 역시 부자들에게 감세를 해주어 그들로 하여금 소비를 늘리겠다는 의도입니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허무맹랑한 낙수효과까지 들고 나왔던 것이였죠.
하지만 결론은 소비로 이어진 것이 미비한 실패한 정책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현 문재인 정부에서는 소득주도성장을 들고 나왔습니다.
그것을 위해 현재 대폭의 최저임금인상을 해서 하위노동자의 소득을 늘려보고자 하는데
소득주도성장을 현 임금주도성장 정책만으로 밀어붙인다면 결국 실패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영업자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국내 특성도 있을것이며
일단 중위소득 언저리와 이하의 한정된 재화를 가지고 분배를 촉구해봐야 소비의 증가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기 때문입니다.
부자감세와 마찬가지로 1분위의 가난한자의 임금인상으로 소비가 늘어난다는 생각은 반대적으로 실패에 직면할 것이라는 것입니다.
지난 보수정권하에서의 최저인금인상보다는 당연히 인상폭을 올리더라도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상위노동자에게 영향을 주면서도 이 소득주도성장을 받쳐 주려면 차등적용이 필요할진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고려입장이 아닌듯하여 안타깝습니다.

한가지 생각해볼것이 있습니다. 60~70년대도 아니고 밥 못먹고 사는 사람 거의 없습니다.
부자나 가난한 사람이나 결국 소비하는 양은 중간으로 수렴하게 되는 것이죠. 가난한 자라고 소비를 적게 한다? 졸부가 아닌 다음에야 부자라고 소비를 많이 한다?
상황은 다르지만 각자의 한계소비성향 비중에 다다르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 임금주도성장을 지지하는 이유는 지난 보수정권하에서 소득의 양극화 불평등이 심해졌기 때문입니다.
먹거리 지수인 엥겔계수를 살펴보면 2008년 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는걸 알 수 있습니다.
먹고살기에도 점점 빠듯해 진다는 말이겠죠.
GYH2018021900120004400_P2.jpg



그렇다면 경제활성화를 위해 우리가 생각해봐야 할것은 어떻게 하면 소비를 늘릴까에 대한 답이겠지요.
저는 이 문제에서 대해 두가지 정도를 생각해봅니다.

첫째로 고용률에 매달려 양에 집착 할것이 아니라 질을 올리는 것에 우선시 해야 한다는 것이죠.
즉, 현실적으로 두마리의 토끼를 다 잡을 수 없다면 현재 존재하는 일자리 자체의 질을 올리는 방향으로 선택을 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노동의 질이 올라감에 따라 삶의질의 증가 소비의 패턴도 달라지며 소비의 양도 증가한다는 것이죠.

두번째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답이 있다고 봅니다.
지역경제는 당연히 지역기업이 활성화가 되어야 따라오는 것이죠.
지방 인프라사업에 적극적 투자로 나서야 하는 것입니다.

이미 서울은 한계에 봉착해 있습니다. 흔히들 출산율을 얘기하며 경제활동인구의 감소를 얘기합니다.
출산율이 되었든 부동산이 되었든 모든것은 항상 서울 일극화에 가장 큰 원인이 있습니다.
출산율의 경우 많은 원인이 있겠지만 서울의 출산율이 0.8로 전국 최저임을 생각해 볼때 서울을 이렇게 방치해 놓고서는 아무것도 안되는 것입니다.
기업의 탈 서울화 유도, 국회를 포함하여 행정수도로서의 완전한 탈 서울화의 추진만이 어떠한 정책이 되었든 효과를 볼수 있을 것입니다.

최저임금인상 원인 때문에 고용이 악화되었다. 소비역시 오른것 없이 미비하다. 이 정책은 실패했다.라고 말하기에는 아직은 시기상조임은 분명합니다.
이러한 경제정책은 시차를 두고 효과를 보게 되어있는 것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지적하고 싶은 것은 현 정책만으로는 소비증가의 효과를 보기 부족하다는 것이며 보안점을 빠르게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ariel 18-08-27 09:01
   
오늘도 재미있는 글을 올려주셧네요
잘 봤어요 ^^
세상속의나 18-08-27 09:20
   
최저임금의 올리는것보다, 먼저 시행되야 할 것은 기업의 숨통을 틔어 놓고 최저임금을 많이 올리던가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조선, 자동차, 핸드폰 기타 등등 전 산업분야에서 업체들의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그런데 최저임금을 급격히 상승시키면 원자재 부자재 관리비 등이 모두 오르게 됩니다.
우선 대기업들은 기존 수익을 맞추기 위해  하청업체를 때려 잡는 풍선효과가 나타납니다.
납품단가 후려치기를 시행하게 되지요.
 (저희 회사뿐 아니라 다른 회사들도 현재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심각한 걱정입니다.)
그러면 하청업체들은 어쩔수 없이 단가를 낮출수 밖에 없어요.
하청업체들은 기존 여러 문제점에서 플러스로 납품단가 후려치기 까지 당하니 답이 없는겁니다.
그럼 가장 먼저하는일은 1차밴더가 2차밴더를 후려잡는것이죠.  그럼 2차밴더니 3차밴더는 견디지 못하고 도산을 하는 겁니다.
그리고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사람 짤라내고 관리자들에게 작업자가 하는일을 시키게 되는거죠.
관리자들은 연봉제니깐 상관이 없죠.
그리고 협력사들의 연구 개발비는 더욱더 쪼그라져서 갈수록 경쟁력을 잃게 되는 구조가 됩니다.
내말은 대기업의 시황을 보고 괜찮다면 대기업의 납품단가 후려치기의 제동을 걸수 있는 구조를 해 놓고
임금인상을 급격하게 시행하든지 말든지 상관은 없다는 얘기입니다.
정부는 정부대로 대기업들은 대기업대로 아래위로 후려치면 중소기업들은 죽든다는 소리밖에 안나옵니다.
     
Sulpen 18-08-29 22:43
   
음... 그건 현실적으로 국회의원에게 요구해야 하는 사안이라고 봅니다.

우리나라의 문제점 중에 하나가 이런 부분인데 정작 국회의원들이 가지는 권한(입법)이 대통령이 가지는 권한(행정)과 비슷한 수준의 분권 국가임에도 국회의원들은 대충뽑고 대통령에게 요구하는 정치행태를 보이고 있지요.

2016년에 뽑혔던 국회의원들 임기가 2020년에 끝납니다. 아직 2년이나 남은거지요...
환9191 18-08-27 09:42
   
발제글에 상당수 동의 합니다
최저임금 인상이 현 소비지표를 견인하지 못하는 이유가
혜택 보는 사림이 많지 않다는 겁니다
중소기업 공장 노동자중 최저임금으로 맞춘 노동자중
외노자를 제외한 내국인 만 혜택을 본다는 겁니다
소위 직시급으로 임금 받던분만 혜택보는겁니다
이건 몇프로 되지도 않습니다
나머지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알바들인데
업주들이 버티기를 하고있죠
암묵적으로 적은 임금을 주고 있습니다
소득주도 성장이 제대로 먹히려면
내국인 취업율 이 획기적으로 늘어야하고
부동산으로 유입되는 돈을 소비로 돌려야됩니다

다른 정책보다 영구임대 아파트를 대규모로 건축하는게
실효성이 높을것으로 사료됩니다
KKIRIN 18-08-27 10:27
   
현재 주52시간도 문제가 좀 있다고 봅니다.
대기업에서는 근로시간이 줄어들면서 일손부족으로 인해 추가 채용을 해야 되는데.
채용은 하지 않고, 협력업체에 전가를 갑니다. 그 비용은 대기업이 주긴하는데, 생각보다 적은 금액이죠.
이것도 결국 협력업체 단가후려치기에 같이 들어간다고 봅니다.
자유롭게v 18-08-27 11:18
   
결과를 보려면 과정이  중요하죠 지금 굴러가는 걸 보았을 때 과연 정상적인가?  하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현 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이지만  답답한 건 사실입니다
rozenia 18-08-27 19:31
   
개인적으로 방법을 강구해서 실질적인 야근수당이나 근무시간 수당을 명확하게 지켜지게끔만 하더라도 성장국면이 될거라 봅니다. 이나라엔 무료봉사시간이 너무 많아서

힘든일이나 남들이 기피하는 일이라면 그만한 보상을 해주어야 정상인데.

그만한 보상은 하기 싫다는게 현실입니다.

도대체 " 탄력근무제"는 노동법기준으로도 경제학 기준으로도 웃기는 개념입니다. 군대가 변화가 느리고 현실이 안좋다고 월급이 메롱이라고 기업들도 상황이 그렇고 관행이 그렇다고 내버려두는건 옳지 않다고 봅니다

청소부일을 우습게 보는이유도 사실은 그만큼 힘든일을 하고 남들 자는시간에 일을하는데 그만큼 안주니까 경제시장에서 직업이 청소부라그러면 " 돈도없는데 드러운 일"한다고 보는겁니다.

도덕적 자정작용을 기대하지 못한다면

경제적으로도 우위인 부분이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고승범 18-08-29 16:29
   
왜 소득주도 인가? 이거 한마디면 끝나죠. <<통화경색>>

경제가 제대로 흐르면 돈의흐름(통화)이 금융권 - 소비계층 으로 가면서 통화량이 늘어야 합니다. 

하지만 경제가 안좋을때는 정부에서 돈풀어봐야 대기업 유보금으로 쌓이거나 은행에서 자기자본비율 높이고 끝임

최악의 경우 부동산에 가서 버블만 키움(대부분 경제 안좋을때 부동산가격이 예상과 반대로 반등하는게 이원인)

그러니 최고의 방법은 정부에서 돈을 풀되 소비계층에게 바로 갈수 있도록 하겠다는 거임.

그게 바로 <<소득주도 경제성장>>

즉, 소비계층에게 돈을 주면 대부분 저금보다 생활비로 사용하게 되면서 통화량이 살아남

왜 효과가 없나? 제대로 소득주도 성장관련 예산 집행이 안되었고, 전정권들이 개판쳐놓은거

정리하느라 그런거.

소득주도성장 관련 예산 집행하고 향후 몇년 지나야 경제효과 나타나고 통계 잡히는거

(통계자체가 분기마다 데이터 받아 분석 이루어지는 속도 감안하면 지금 당장 결과 내놓으란건
 전정권들이 개판친 결과가 지금 나타나는거라 보면 됨. 실제로 2012년부터 경제 구멍난거 땡빵하며 버틴거)
Sulpen 18-08-29 22:51
   
현실적으로 입법부와 사법부가 변하지 않은 상황에서 행정부 혼자 국가적인 정책을 바꾸는건 한계점이 존재하는게 사실입니다.

이번 대통령을 뽑을때 애초에 국가 체질 자체까지 다 바꾸는걸 바라고 뽑은 사람은 거의 없을겁니다. 애초에 국가 체질이 그렇게 단기간에 바뀌는것도 아니고요.

과거 정부시절에 꾸준히 친기업 정책을 펼치면서 그게 국민들 생각, 판사들 판결, 국회의원들의 관행에 모든 영향을 주었듯이 소득주도성장이라는 단순 경제정책의 효과만 조명할게 아니라 이후 바뀔 개개인의 생각과 사회적 기준점 자체에 노동자들의 가치를 높이는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노동의 가치를 높여서 자본을 천대하자는게 아니라 최소한의 노동의 가치를 유지하고 보장해주는 관념을 모든 사람이 가질 수 있으면 성공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멀리뛰기 21-01-02 14:44
   
[기타경제] 소득주도성장과 소비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32
   
[기타경제] 소득주도성장과 소비 잘 읽었어요~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01
3583 [기타경제] 정치게시물 잠금, 경제게시판 등록금지조치 (2) 진인사수 08-31 694
3582 [잡담] 대만도 저출산·고령화 심각…이르면 2022년부터 인구 첫 … (5) 진구와삼숙 08-31 1506
3581 [기타경제] LCD·OLED 패널 훈풍…삼성·LG디스플레이 하반기 실적 기대… (5) 굿잡스 08-31 2496
3580 [전기/전자] 7나노 포기한 美 GF 구조조정 돌입…반도체인력 대이동 (7) 스크레치 08-31 3130
3579 [기타경제] [속보] 트럼프 대통령 3차 관세폭탄 긴급 지시, 중국산 200… (12) 스크레치 08-31 3740
3578 [기타경제] '남미 빅2' 브라질·아르헨티나 금융시장 '휘… (13) 스크레치 08-31 2211
3577 [기타경제] 포스코, 5배 강한 ‘녹슬지 않는 철’로 승부수 (7) 스크레치 08-31 3045
3576 [기타경제] 1950년대에 미국 국민소득이 2400달러 였대요. (3) YUNA 08-31 1520
3575 [잡담] 과연 소득주도 성장은 실험인가? (14) 부두 08-31 1506
3574 [기타경제] LCD 이어 올레드 TV패널 가격 '꿈틀'…LGD 흑자전환 … (5) 굿잡스 08-31 2133
3573 [전기/전자] '魔의 7나노'…파운드리 시장 판 흔들린다 (8) 스크레치 08-30 4064
3572 [전기/전자] SK텔레콤-KT '5G장비', 삼성전자 안고 화웨이 배제… (11) 스크레치 08-30 2853
3571 [전기/전자] 수십초만에 휴대폰 완충..'끝판왕 배터리' 기술 … (6) 진구와삼숙 08-30 2628
3570 [금융] "미국이 또 다른 금융위기 자초한다" (4) 부두 08-30 2160
3569 [잡담] 중국경제 스테그플레이션 조짐있는거같은데 (9) 정닭밝 08-30 3521
3568 [기타경제] 소득주도 하위20%소득증대.. 하지만.. (14) 파롸다이스 08-30 1673
3567 [기타경제] 상반기 세계 주요 제조업 순위 (자동차, 반도체, 조선) (4) 스크레치 08-30 2584
3566 [기타경제] 미, '한국 철강관세 면제' 최종 발표 (15) 아로이로 08-30 2867
3565 [잡담] 근거 없는 내수1억설 (13) Irene 08-29 3437
3564 [기타경제] 북극항로 항해 세계 첫 컨테이너선 부산서 출항 (4) 굿잡스 08-28 3455
3563 [기타경제] [대만의 추락] GDP 5천억달러대 국가 현황 (2023년) (16) 스크레치 08-28 5837
3562 [기타경제] 中, 학계 IT인재까지 싹쓸이 하나..진화하는 '악마의 … (10) 굿잡스 08-28 3438
3561 [기타경제] 각국 기업들 중국 탈출 가속화 (7) 귀요미지훈 08-28 4628
3560 [전기/전자] [삼성 vs TSMC 2파전] 파운드리 2위 업체 차세대 7나노 투자 … (7) 스크레치 08-28 3763
3559 [기타경제] "올해 LNG선 50척 발주된다"…韓 조선업 수혜 기대감 (7) 스크레치 08-28 2926
 <  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  519  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