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2-07-14 04:10
[잡담] "인도, 중국 누르고 내년 세계 인구 1위"…역전 예상 시기 4년 앞당겨져 / 연합뉴스TV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2,672  

https://www.youtube.com/watch?v=fPqK2RhvS7M

조회수 972회   
2022. 7. 1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ijkljklmin 22-07-14 04:24
   
인구만 많으면 뭐하나? 생활 수준이 좋아야지.
인도가 조금씩 좋아지기는 하지만 아직 멀었습니다.
인구가 더 많아지면 국경분쟁에서 중국을 누르는가요? 경제를 살려서 K2, K9을 많이 사가야 이깁니다.
이름없는자 22-07-14 05:04
   
인도는 아직은 사회적 생산성이 너무 낮음.
중국이나 인도나 둘 다 부패하고 비효율적 관료주의 끝판왕 사회지만 차이는
중국에서는 뇌물을 쓰면 일이 되지만 인도에서는 뇌물을 써도 일이 안됨.
인도는 사람들이 다들 인생을 달관을 했는지 잘살려는 욕망 자체가 없음.
자본주의는 인간의 탐욕을 자극하지 않고는 성공할 수 없음.
기간틱 22-07-14 06:02
   
아무리 생각해도 저 둘 땅에 14,15 억 이 생존할 땅이 아닌데..
캡틴홍 22-07-14 09:57
   
그나물에 그밥이죠...ㅋ
파스크란 22-07-14 10:14
   
길바닥에서 똥을 싸는 사람들이 넘쳐나는 인도나 중국이나 미개하긴 매한가지
Less10 22-07-14 12:34
   
아... 중국, 인도는 인구 조절 좀 하자.. 제발.
dlrjsanjfRk 22-07-14 12:55
   
지금으로써는 인구가 늘어날수록 좋은게 아닙니다. 기후변화로 곡물생산량은 줄어들게됩니다. 그리고 인구가 늘어날수록 이산화탄소 배출은 더 늘어나게됩니다. 좋을게 하나도 없다는말. 지구의 자원은 무한한게 아니며, 한정되있다는것도 생각해야하고, 인도의 기후도 점점 심상치 않다는것도 생각해봐야합니다. 빙하가 녹아내리며,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밀도는 작아지는데, 부피는 팽창하고 있습니다. 즉 해수면상승이 점점 빨리잘수도 있다는것.
     
dlrjsanjfRk 22-07-14 12:58
   
사람들은 아마존이 지구의 허파라고 하는데, 잘못된 상식입니다. 지구의 허파는 바다입니다. 이 바다가 오염되면, 그때부터는 인류의 종말을 가져올수도 있습니다. 바다가 지구 육지식물보다 더 많은 산소을 발생시키고 있습니다. 바다에 쓰레기섬으로 가려버리면, 플랑크톤이 제대로 산소을 발생시키지 못합니다. 그외 바다 수온이 올라가면서, 호주의 세계최대 산호초 군락지가 산호초의 무덤이 되어버렸죠. 점점 환경파괴가 심해지고 있으며, 지구촌 생태계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dlrjsanjfRk 22-07-14 13:09
   
원전이 불안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빙하가 녹고, 바다의 부피팽창으로 미래에는 해변가들은 물에 잠기거나 침수될테니깐요. 바닷가 근처는 지대가 낮아서 점점 위험해 지는거죠. 태풍의 강도는 올라가며, 그 시기가 7년 이후부터는 위험해 질것이며, 시간이 갈수록 점점 대재앙이 올수 있다는것. 지금 시기에 원전을 새로 짓게되면, 10년도 안가서, 문제가 생길겁니다. 다시 철거해야하는 사태말입니다. 전문가들은 2030년에 위험이 닥칠것이며, 2050년에는 재앙이 올꺼라고 말하고는 있는데. 이걸 더 앞당겨버릴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산호초와 연관있는 바다생물들의 종류가 40만종이라고 합니다. 산호초가 죽어나가면, 다른 생물들도 피해을 받게되죠. 그로인한 기후조절자라는 바다가 산소량이 줄어들게되면, 온도는 더 올라갈겁니다.
               
dlrjsanjfRk 22-07-14 13:47
   
세계경제의 암울함도 바로 미래가 닥칠 문제들이며, 앞으로 불확실성과 변수가 너무도 많다는겁니다. 세계는 서로 협력해야할 판에, 분열되고 있습니다. 더 암울해져버린겁니다.
Kaesar 22-07-14 13:54
   
실제 인도 인구는 지금도 중국보다 많음.

출생신고 안된 빈곤층 인구가 엄청나게 많기 때문에.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965
15209 [전기/전자] TSMC.스냅드래곤 성공적으로 생산..드디어 발열문제 해결. (27) OS2NO3 07-23 7915
15208 [기타경제] 깎아준다던 종부세 다시 인상..1주택자 세폭탄 맞나 (3) NIMI 07-23 3540
15207 [기타경제] 원·달러 환율, 다시 1310원대..5.3원 상승(종합) NIMI 07-23 2257
15206 [기타경제] 14년전 자료 재탕해 법인세 감세..대기업은 투자 축소 … (4) NIMI 07-22 2170
15205 [주식] MOU 국산 전차·경공격기·자주포, 폴란드와 19兆 수출 계… (28) 조지아나 07-20 7978
15204 [기타경제] "미국도 제 코가 석잔데.." 1300원대 환율, 통화스와프로 … (9) NIMI 07-19 6075
15203 [잡담] 차세대 탐 크루즈는 한국 남자배우 (10) 이름없는자 07-18 8427
15202 [잡담] 브라질 엠브라에르 인수는 어떨지... (4) 이름없는자 07-18 4497
15201 [금융] 외환거래 사전신고 의무폐지 (11) 가민수 07-17 3463
15200 [잡담] DSLR 의 종말이 고급카메라의 종말이 아님 (15) 이름없는자 07-17 4467
15199 [잡담] DSLR 카메라 시대 종언..日 기술개발 중단 (1) 감을치 07-17 3549
15198 [기타경제] 강달러에 빅스텝도 무소용..추락하는 원화 (66) NIMI 07-16 3585
15197 [잡담] 현 정부가 내놓은 빚 탕감 실제 실행 가능할까? (32) 놀구먹자 07-16 4138
15196 [기타경제] 1,320원마저 뚫린 환율..고물가·고금리 3고에 경기침체 우… NIMI 07-16 1381
15195 [잡담] 정통 보수의 경제적 핵심가치 (6) 이름없는자 07-15 1987
15194 [기타경제] 코인 투자 '빚투' 탕감해준다니..역차별 분노하는… (8) NIMI 07-15 2577
15193 [기타경제] 대한민국 경제의 희망과 문제점 (13) 혜성나라 07-15 2120
15192 [잡담] 후진국 들의 인구 상황 (9) 이름없는자 07-14 5549
15191 [전기/전자] 반도체전쟁에서 대한민국과 일본, 임진왜란시 도공들을 … 박선달 07-14 2965
15190 [잡담] 인도는 원래부터 인구가 많았음. (14) 이름없는자 07-14 2081
15189 [잡담] "인도, 중국 누르고 내년 세계 인구 1위"…역전 예상 시기… (11) 조지아나 07-14 2673
15188 [기타경제] 김주현 금융위원장 "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 불가" (5) samanto.. 07-14 2010
15187 [부동산] 이창용 총재가 ‘영끌족’에게…“집값 조정은 불가피, … (4) 가민수 07-13 2350
15186 [기타경제] 오세훈표 '디자인서울' 부활. (5) 샤넬케이 07-13 2828
15185 [기타경제] “경제형벌 지나치다, 형량 줄여야”…정부 형벌조항 검… (2) NIMI 07-13 205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