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22 17:33
[기타경제] 주요국 국가신용등급 현황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3,168  

AKR20180622058351009_01_i.jpg



<피치>
GDP대비 정부부채는 38.1%로 국가신용등급보다 높은 AA수준에 부합
지정학적 리스크 여전

------------------------------------------

최고등급인 미국, 캐나다, 호주, 싱가폴 등 공통점이 주변에 적국이나 적대국이 없음.
한국도 지정학적 리스크만 해소가 되면(짱깨가 있어 완전해소는 어렵겠지만) 최고등급 AAA 또는 최소 AA+는 될거 같은데...


스페인, 이탈리아 = 필리핀, 인도, 태국 급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8-06-22 17:35
   
환타쥬스 18-06-22 17:48
   
잘 보았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인데 영국은 어디든 고평가 받고 있다고 생각이 드네요

성장률이 좋은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부채가 적은것도 아니고....

여전히 일본도 엄청난 고평가 받고 있고요.

투기등급이나 그 근처인 a-정도는 내려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귀요미지훈 18-06-22 18:00
   
환타쥬스님 의견에 공감합니다.

영국이나 일본이나 거품 많이 끼었다고 봅니다.

집없는 홈리스에 밥조차 못먹는 사람들(푸드뱅크)이 천지인 나라가 영국인데..


그걸 떠나서 국가신용등급은 경제적 측면만 보는게 아니라

안보, 지정학적 리스크까지도 보다보니...아무래도 한국에는 불리하고

영국은 미국의 1티어 동맹국에 외딴 섬나라라서 안보위협이 없다보니 훨씬 유리한 점이

있을 수 밖엔 없는 듯 싶습니다.
스크레치 18-06-22 18:10
   
짝짝짝 ㅋ

잘보고 갑니다.
스크레치 18-06-22 18:13
   
대한민국이 그동안 경제발전 해온걸 보면

일제 식민지배로 다 털리고 그나마

남은거 한국전쟁으로 모두 잿더미에 폐허

여기에

주변 강대국들 틈바구니 속에서

세계7위의 군사강국으로 도약하고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에

국민소득이 3만불이 넘어가는 주요 선진국으로

발돋움한건 솔직히 세계 경제사에서도

가장 불가사의하고 기적적인 일일 겁니다.
     
귀요미지훈 18-06-22 18:32
   
네. 맞는 말씀...사실이 또 그렇구요.

이게 근현대사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기적적인 일임에는 분명한데

제 사견으로는.....

(제가 역사는 잘 모르지만) 긴 역사를 돌이켜보면 우리민족이 원래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경제력, 군사력, 기술력 등 종합국력에 있어 세계 10위 안에는 충분히 들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식민지배 ~ 6.25 전쟁 직후 폐허가 된 시점부터 현재까지의 발전상만 보고 '한강의 기적'이라고 국내외에서 초점을 맞추다보니 마치 근본도 없는 애들이 갑자기 졸부가 된것 마냥 비춰지는 측면이 많다보니 해외에서 '기적', '불가사의' 등으로 받아들이고  (우리민족의 민족적 역량과 노력, 역사문화적인 유산 등은 전혀 모른채) 오직 '미국의 원조와 도움'으로 가능했다고 해석하는 경향이 많더군요.


앞으로라도 유구한 한국의 역사/문화와 교육제도(태학, 성균관, 서원, 서당 등의 교육기관), 세계적으로 앞선던 과학기술(첨성대, 금속활자, 해시계, 물시계, 거북선 등)에 초점을 맞추고 한국홍보를 많이 해서 저런 외국인들의 무지에서 비롯된 오해가 생기지 않게 하고 한국을 제대로 알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스크레치 18-06-22 18:39
   
예 딱 10위권인거 같아요 ㅋ

진짜 짜맞춘것처럼 대부분의 순위보면

10위가 많더군요


각종 시장규모도 10위권 언저리에서 노는게

가장 많은걸 볼때 ㅋ


대단하죠 어찌보면

이 자원도 없고 좁은 땅 덩어리에서
바람노래방 18-06-22 20:34
   
상위권에 랭크되는 한국의 지표를 보고 있자면 반대로 북한과 참 비교됩니다.
자원도 많아, 농사도 잘되는 지형, 중국/소련으로 지원도 많이 받았고, 인적 자산이 부족한것도 아니고, 대륙과 연결도 되어 있고 뭐하나 부족한게 없는 국가가 최하위 빈곤국에서 벗어나질 못하는것 보면 역시 정치가 중요하다는걸 다시 한번 깨닫습니다.
프리홈 18-06-24 01:51
   
북한과 안보상황이 종전이나 평화협정과 함께 경제협력이 본격화되는 2020 년부터는
북한문제 해결로 안보리스크의 95 % 가 사라지며 여전히 중국과 러시아가 안보리스크 국가이지마는 그 두 국가는 안보리 상임이사국이라 국제적 지위와 책임이 있어 함부로 어쩌지 못하는 상황이라 아직 5 % 의 안보리스크는 존재하리라 봅니다.

2019 년엔 한국경제가 좀 어려우리라 보이고요.
암튼 2020 년경엔 AA+ (Aa1) 으로 한, 두 단계 상승하리라 보네요.
멀리뛰기 21-01-02 14:31
   
[기타경제] 주요국 국가신용등급 현황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4:20
   
[기타경제] 주요국 국가신용등급 현황  잘 보았습니다.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06
3233 [전기/전자] 삼성, 1분기 인텔과 격차 더 벌렸다…반도체 1위 굳히기 (20) 스크레치 06-27 2562
3232 [기타경제] 포스코 9년 연속 세계 최고 철강사 선정 (5) 스크레치 06-27 2131
3231 [기타경제] 포스코 '기가스틸', 미래차 선도…'르노삼성 S… (4) 스크레치 06-27 1917
3230 [자동차] 수소차 2022년 ㎞당 70원에 달린다 (3) 스크레치 06-27 1448
3229 [자동차] 수소차 생태계 구축에 5년간 2조6000억 투자·일자리 3800개… (4) 스크레치 06-27 1308
3228 [전기/전자] 삼성 손잡았던 퀄컴, 다시 TSMC 가나…파운드리 사업 빨간… (3) 3월의토끼 06-27 1990
3227 [기타경제] 관광입국 가능한가. 각 국 해안선 면적 (5) 코삐 06-27 1724
3226 [기타경제] 현대로템, 대만 무인경전철 사업 수주…5424억원 규모 (9) 스크레치 06-26 3060
3225 [과학/기술] 한국형발사체 개발 초읽기 (15) 귀요미지훈 06-26 3428
3224 [과학/기술] 2018.6월 수퍼컴퓨터 순위 (8) Banff 06-26 3149
3223 [기타경제] [하위권 선진국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6) 스크레치 06-25 2596
3222 [자동차] '수소차' 원조 한국, 일본과 초격차 벌린다... (19) 스크레치 06-25 5234
3221 [전기/전자] 삼성, 세계 첫 프린팅 기반 QDCF 도전, 옥사이드 기술 확보… (10) 스크레치 06-25 3052
3220 [기타경제] 北여성 "시집갈 때 한국산 화장품 예물로 받으면…" (13) 스크레치 06-25 3645
3219 [전기/전자] 삼성전자, 가정용 마이크로 LED TV 내년 조기 출시…프리… (8) 스크레치 06-25 1820
3218 [잡담] 중국과 한국의 도시별 1인당 GDP (10) 진성한 06-25 4905
3217 [잡담] 중국 현지 평균임금 수준이 얼마정도 하죠? (10) 로빈손 06-25 3689
3216 [기타경제] 가덕에 신공항+항만 ‘투포트’ 추진 (4) conelius2030 06-25 1833
3215 [기타경제] 세계 1인당 국부순위 (2017년) (8) 스크레치 06-24 2795
3214 [전기/전자] 삼성 시네마 LED '오닉스' 인도까지 진출…9개국 … (6) 스크레치 06-24 2424
3213 [전기/전자] 삼성전자, 10년 연속 사이니지 시장 1위 도전...마이크로 L… (6) 스크레치 06-24 1933
3212 [금융] 캄보디아, 국내금융기관들 진출 가속화 (5) 귀요미지훈 06-24 1947
3211 [금융] 은행들 가자!동남아로 下 (5) 귀요미지훈 06-24 1300
3210 [금융] 은행들 가자!동남아로 上 (6) 귀요미지훈 06-24 1619
3209 [주식] 5일선이 상승턴하려면 30분-20선이 쌍바닥이어야 (5) 상생벗 06-24 1250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