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10 07:47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글쓴이 : 공노비
조회 : 1,502  

(서울=뉴스1) 이수호 기자 = 1인당 국민소득 2만달러(2154만원) 미만의 신흥국 사이에서 때아닌 '블록체인' 바람이 불고 있다. 선진국보다 낙후된 사회 인프라를 끌어올리기 위해 블록체인 신기술을 접목한 것이다.

대표적으로 발트3국 중 하나인 에스토니아 정부는 지난해 8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암호화폐 '에스트코인' 출시를 결정하고, 직접 자금모집(ICO)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인구가 130만명에 불과한 소국 에스토니아는 1991년 구소련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첨단 정보통신(IT) 기술을 인프라 확대에 적극 활용해왔다.

2015년에는 세계 최초의 디지털시민권인 '이레지던시(e-Residency)'를 발급했고 이를 통해 외국인에게도 계좌 개설, 온라인 송금, 유럽 국가 내 결제 서비스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금은 블록체인 기반으로 이레지던시 서비스를 개선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는 올해부터 국민 의료정보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를 눈여겨 본 엔지니어와 자본이 에스토니아에 몰리면서 때아닌 창업 붐까지 일었다.

실제 지난 2015년 이레지던시 발행 이후 에스토니아 디지털시민권을 취득한 사람은 3300만명에 달하며, 창업에 성공한 기업은 5000여곳에 달한다.

금융 인프라가 낙후된 아프리카 케냐 역시 최근 블록체인업체들이 주목하는 국가다. 지난 2014년 케냐에서 비트코인 송금 서비스(모바일 기반)를 시작한 '비트페사'는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거래 시스템을 구축했다. 비트페사는 4년만에 케냐에서 주목하는 금융업체로 발돋움했고, 지금은 우간다 등 인접 국가에서도 대중적으로 쓰이고 있다.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이 자국 화폐 가치가 불안정하고 기존 은행을 통한 송금수수료가 7%에 달해 '비트페사'를 통해 암호화폐를 자산으로 보는 현지 투자자가 적지 않다.

중앙아메리카 최빈국 중 하나인 온두라스는 최근 미국 블록체인 스타트업 '펙텀' 기술을 활용해 국가 토지대장을 블록체인 방식으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블록체인은 정치적 자유가 억압돼 있는 신흥국에서도 유용하게 쓰인다. 지난 4월 중국 한 대학생은 학내 성폭행범 범죄를 이더리움 네트워크에 기록한 덕분에 현지 정부의 온라인 검열에도 불구하고 전세계에 알려져 주목을 받았다.

김열매 한화투자증권 수석연구원은 "블록체인은 검열에 저항하는 미디어가 탄생했다는 점에서 신흥국에 더 큰 의미를 지닌다"며 "금융계좌가 없는 전세계 17억명에게 블록체인은 큰 효용을 발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공노비 18-06-10 07:48
   
멀리뛰기 21-01-02 14:09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17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멋진글~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842
3171 [기타경제] 베트남 상류층에 부는 ‘프리미엄 韓流’ 열풍 (8) 스크레치 06-18 4729
3170 [자동차] 현대·기아차, 유럽시장 순항 중…5월 판매 2.9% ↑ (8) 스크레치 06-18 1681
3169 [전기/전자] 'MLCC 1위' 무라타, 3000억원 들여 신공장 증설 (8) 스크레치 06-18 2498
3168 [전기/전자] 中 '반도체 굴기'로 韓 노골적 견제...민관 대책 … (12) 술먹지말자 06-18 4118
3167 [자동차] (최근) 유럽 자동차 대회에서 현대자동차의 결과 (7) 까르페디엠 06-17 3316
3166 [전기/전자] 美 의원들 "ZTE에 합당한 처벌은 사형선고 뿐... (10) 귀요미지훈 06-17 3455
3165 [전기/전자] 삼성전자, EUV 활용한 차세대 D램 개발 프로젝트 '박차… (9) 스크레치 06-17 3152
3164 [기타경제] 일본은 0척, 韓조선 15척 수주 (16) 스크레치 06-17 3748
3163 [금융] IMF “미 적자 확대로 인플레 급등→금리인상 리스크” … (2) 부두 06-17 1696
3162 [기타경제] 동남아시아 국부 순위 (2017년) (7) 스크레치 06-17 4145
3161 [잡담] 미국 금리인상때문에 미국경제 침체가 올거 같습니다 (16) 부두 06-16 2553
3160 [기타경제] 세계 10대 제약사 순위 (2017년) (11) 스크레치 06-16 4709
3159 [기타경제] 청년 실업과 생산가능인구 하락의 시대 (14) 보쳉리 06-16 2234
3158 [기타경제] 남미대륙 전체 국부 순위 (2017년) (7) 스크레치 06-15 3941
3157 [기타경제] 포스코 세계 최대 두께 철강 반제품 연속 생산 성공 (17) 스크레치 06-15 3691
3156 [기타경제] 美 관세부과에 대한 중국언론 반응 (12) 귀요미지훈 06-15 3339
3155 [기타경제] 美, 중국제품에 고율관세 부과 승인 (14) 귀요미지훈 06-15 2683
3154 [전기/전자] 삼성전기의 혁신 "반도체 두께 절반으로 줄였다" (9) 스크레치 06-14 4696
3153 [전기/전자] 한국 28㎓ 주도권 강화···남미도 28㎓ 대열 합류 (10) 스크레치 06-14 3503
3152 [기타경제] WSJ "美, 15일 中에 대규모 관세부과 강행할듯…트럼프 결… (11) 귀요미지훈 06-14 2374
3151 [전기/전자] 5G 1차 표준 최종 '확정', 韓 SKT·KT 주도권 '확… (4) 케인즈 06-14 2546
3150 [기타경제] 사실상 붕괴된 일본 조선업 (23) 귀요미지훈 06-14 5093
3149 [잡담] 호치민시 4조6600억원 규모, 지하철 5호선 타당성 조사 실… (11) 현재now 06-14 4245
3148 [기타경제]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7년) (20) 스크레치 06-13 5350
3147 [전기/전자] 현대차, 이집트 경제위기 속에서도 시장점유율 1위 수성 (4) 스크레치 06-13 2359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