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10 01:50
[기타경제] 국회예산정책처 "실질환율 1% 오르면 GDP 0.1% 감소"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1,520  

▲ 실질환율이 1% 오르면(원화가치가 1% 하락하면) 실질 GDP는 0.1% 내외 감소

▲ 실질환율의 하락(원화가치의 상승)은 수입 재화 가격의 하락을 통해 설비투자, 민간소비를 진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 환율이 전년 동기보다 10% 상승(하락)하면 소비자물가는 0.3% 오르는(내리는) 것으로 추정(원화가치가 10% 하락하면 소비자 물가 0.3% 오르고, 원화가치가 10% 상승하면 소비자 물가 0.3% 내리고)

▲ 환율이 수출입에는 별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 이론적으로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원화가치가 하락하면) 달러화로 표시한 수출 가격이 하락해 수출 물량이 증가해야 한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이 같은 관계가 약화

--> 환율 내리면 수출에 부정적이라고 난리치지만 실제 그렇지 않다

▲ 황종률 국회예산정책처 경제분석관은 "환율 상승(원화가치 하락)은 수출 증대 효과보다 투자, 소비 둔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며 전체적으로 환율(낮은 원화가치)의 성장률 제고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환율이 상승해 수입제품 가격이 올라도 대체할만한 국산품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실질환율이 오르면 같은 양의 원화로 사거나 투자할 수 있는 수입품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 환율이 올라가도 수출증대 효과는 없고 투자 및 소비 둔화시켜 오히려 성장에 도움이 안된다.

보고서는 "대칭적인 환율 효과를 고려하면 실질환율의 하락은 수입 재화 가격의 하락을 통해 설비투자, 민간소비를 진작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 환율이 내려가면 수입재화 가격 하락되어 투자 및 민간소비 촉진

====================================


세줄요약

1. 환율이 올라도(원화가치 하락) 수출에 도움이 안된다

2. 환율이 오르면  수입재화의 가격이 올라 물가가 오르고 투자 및 소비가 위축되어

경제성장에 도움이 안된다.

3. 환율이 내리면(원화가치 상승) 수입재화의 가격이 내려 투자 및 소비가 촉진된다


지난 10~15년간의 수출 및 환율 변동 그래프를 보면 이미 진작에 증명이 된 얘기인데

지난 정권들에서도 몰랐을리는 없고 조용하다가 이번 정부 들어서 발표하는군요. 다행이란 생각이 듭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18-06-10 01:54
   
영어탈피 18-06-10 11:20
   
이거 노무현때 이어서 제2의 부동산 폭등의 소리가 들리는구만 ㅋㅋㅋ
환타쥬스 18-06-10 13:06
   
잘 읽었습니다.

다만 모든 통계가 그렇듯이 명과 암이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민간소비는 부채와 더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껏 낮은 금리로 인해서 부동산 투자가 주를 이루었고
이제 가계부채가 한국경제에 발목을 잡는 상황에서
부동산 경기과열을 억제하는 정책은 당연했습니다.

여기에 점진적인 금리인상을 더해 장기적으로
민간소비는 환율과 무관하게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빚을 얻어 산 부동산 마저 상승여력이 없고
과도한 가계부채가 소비를 둔하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설비투자는 환율보다는 it관련 호황으로 인한
반도체 설비투자가 큰폭으로 증가한 이유가 크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반도체설비투자가 지난해보다 감소할 거라는 평가는
환율과는 무관하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대미 무역흑자 추이를 보면 2015년 정점으로 2016년 부터 하락세였고
2017년에는 5년만에 처음으로 200억달러 아래로 흑자가 떨어졌습니다.

이는 세계경제의 부활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약한 달러의 영향이 있었음은 간과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환율은 일본의 추이와도 연관되서도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본은 우리가 막대한 적자를 내는 국가이고 이는 그만큼 수입량이 많다는 뜻입니다.

동시에 많은 부분에서 수출품목이 겹치는 경쟁국가이기도 합니다.

무조건 강한 원화가 좋다 약한 원화가 좋다 이런 절대적인 법칙은 없는것 같습니다.

하지만 참고할만한 통계자료임에는 맞는것 같습니다.
저도 읽고 참고 많이 하였습니다.

수고하세요.
스크레치 18-06-10 17:59
   
좋은글 잘 보고 갑니다.
멀리뛰기 21-01-02 14:07
   
[기타경제] 국회예산정책처 "실질환율 1% 오르면 GDP 0.1% 감소"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4:17
   
[기타경제] 국회예산정책처 "실질환율 1% 오르면 GDP 0.1% 감소" 잘 읽었어요~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65
3159 [기타경제] 청년 실업과 생산가능인구 하락의 시대 (14) 보쳉리 06-16 2231
3158 [기타경제] 남미대륙 전체 국부 순위 (2017년) (7) 스크레치 06-15 3940
3157 [기타경제] 포스코 세계 최대 두께 철강 반제품 연속 생산 성공 (17) 스크레치 06-15 3689
3156 [기타경제] 美 관세부과에 대한 중국언론 반응 (12) 귀요미지훈 06-15 3338
3155 [기타경제] 美, 중국제품에 고율관세 부과 승인 (14) 귀요미지훈 06-15 2683
3154 [전기/전자] 삼성전기의 혁신 "반도체 두께 절반으로 줄였다" (9) 스크레치 06-14 4696
3153 [전기/전자] 한국 28㎓ 주도권 강화···남미도 28㎓ 대열 합류 (10) 스크레치 06-14 3502
3152 [기타경제] WSJ "美, 15일 中에 대규모 관세부과 강행할듯…트럼프 결… (11) 귀요미지훈 06-14 2374
3151 [전기/전자] 5G 1차 표준 최종 '확정', 韓 SKT·KT 주도권 '확… (4) 케인즈 06-14 2546
3150 [기타경제] 사실상 붕괴된 일본 조선업 (23) 귀요미지훈 06-14 5093
3149 [잡담] 호치민시 4조6600억원 규모, 지하철 5호선 타당성 조사 실… (11) 현재now 06-14 4245
3148 [기타경제]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7년) (20) 스크레치 06-13 5349
3147 [전기/전자] 현대차, 이집트 경제위기 속에서도 시장점유율 1위 수성 (4) 스크레치 06-13 2359
3146 [전기/전자] 삼성 TV, 무역 요충지 이집트서 점유율 '파죽지세' (3) 스크레치 06-13 2417
3145 [기타경제] 볕든 조선업, 중국 제치고 1위 탈환 눈앞 (10) 굿잡스 06-13 2575
3144 [전기/전자] "중국발 치킨 게임은 없다"...낸드업계, '96단·쿼드… (32) 스크레치 06-13 5189
3143 [전기/전자] 삼성, 차세대 아이폰용 OLED 패널 독점 공급하나 (7) 스크레치 06-13 2247
3142 [과학/기술] 기술격차 1년내로 좁힌 中, 64단 3D 낸드 납품…'메모… (12) 공노비 06-13 3608
3141 [기타경제] 아시아 주요국 1인당 GDP (2023년) (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 (16) 스크레치 06-12 3473
3140 [전기/전자] 삼성전기ㆍ무라타…불붙는 ‘MLCC’ 주도권 경쟁 (9) 스크레치 06-12 2867
3139 [전기/전자] 코오롱인더, 폴더블폰 핵심소재 선점 (6) 스크레치 06-12 1862
3138 [자동차] 현대차 "4세대 수소전기버스 9월 공개"...2022년 1000대 목표 (18) 스크레치 06-12 2755
3137 [전기/전자] 삼성 ‘아이소셀’ 이미지센서…中 스마트폰 절반이 채… (5) 스크레치 06-12 3169
3136 [자동차] [인터뷰] 현대차 디자인센터 스타일링 담당 이상엽 상무 … (7) 까르페디엠 06-11 2091
3135 [전기/전자] 中화웨이, SDC에 역대급 '6.9인치' OLED 주문 (7) 스크레치 06-11 3868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