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10 07:35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글쓴이 : 공노비
조회 : 2,126  

삼성·마이크론, 하반기부터 QLC 기반 SSD 공급

IHS 마킷 “2~3년 내 QLC가 업계 주류 기술 될 것”

삼성전자를 비롯한 세계 낸드플래시 기업들이 올해부터 쿼드레벨셀(QLC·Quad Level Cell) 기술 상용화에 나선다. 메모리 반도체 시장 1위인 삼성전자를 필두로 마이크론, 인텔 등이 QLC 낸드플래시를 탑재한 서버용 솔리드스테이트(SSD)를 내놓으며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인 96단 3차원(3D) 낸드플래시에 QLC 기술을 적용한 SSD를 올 하반기에 출시한다. QLC는 1개의 셀에 4비트(bit)를 저장할 수 있는 기술로, 기존 트리플레벨셀(TLC)보다 셀의 집적도를 비약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낸드플래시는 한 셀에 1비트에서 3비트 사이의 정보를 담는다. 가령 1990년대까지 가장 보편적이었던 싱글레벨셀(SLC)는 셀 하나에 1비트를 담을 수 있는 기술이다. 2비트를 담는 멀티레벨셀(MLC) 방식은 2000년대 들어 가장 흔히 쓰였고, 현재는 TLC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셀 하나에 다수의 데이터를 집어넣기 위해선 그만큼 공정이 미세화 되야 한다. SLC는 1개의 셀에 1과 0를 구분할 수 있는 2개의 게이트를 갖추면 되지만, MLC는 4개, TLC는 8개로 세분화가 필요하다. 자연스럽게 개발 및 제조 난이도도 높아지지만 동일한 크기의 웨이퍼에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어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삼성전자 올해 상용화를 준비 중인 QLC는 TLC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간 제품이다. 아직까지 QLC 제품을 상용화한 사례는 아직 없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낸드플래시의 기본 단위인 셀은 아주 미세한 공간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많은 비트를 담게 될 경우 셀 자체가 무너지거나 오류를 일으킨다"며 "QLC 역시 구현하기가 매우 까다로운 기술"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론과 인텔도 QLC를 내세우며 삼성전자 추격에 나섰다. 최근 두 회사는 첫 QLC 기반 SSD 제품을 데이터센터용으로 발표한 바 있다. 마이크론의 기술 개발 담당 최고 부사장 스콧 디보어 마이크론 부사장은 “64층 4비트 낸드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TLC와 비교해 33% 더 높은 집적도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두 업체 모두 QLC 기반 SSD의 구체적인 공급 시기나 고객사, 가격 등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도시바 역시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QLC 기술을 접목한다는 방침이다. 업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QLC 기술 개발에 대한 포부를 드러내온 도시바는 이미 지난해에 768Gb 64층 QLC 낸드플래시 시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다만 대량 양산 기술을 확보하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는 모양새다.

SK하이닉스(000660)도 연내 QLC 기술을 96단 3D 낸드에 접목해 기술 개발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고객사와 공급 시기를 논의 중인 SK하이닉스는 내년 상반기부터 기업용 SSD 제품을 중심으로 QLC 기반 SSD를 상용화한다는 방침이다.

IHS마킷은 QLC 낸드가 2018년에 시장에 첫 선을 보인 후 점차 시장 비중을 높여 연말까지 전체 시장의 5.1%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QLC낸드는 2021년에는 30%에 육박하는 비중을 차지, TLC 방식과 함께 낸드 시장을 양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TLC낸드를 비롯해 앞으로 나올 QLC 낸드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심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황민규 기자 durchman@chosunbiz.co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공노비 18-06-10 07:35
   
Alice 18-06-10 07:55
   
기술이 넘 좋아 져서 살짝 무서움.
행복찾기 18-06-10 09:52
   
QLC 플래시메모리는 컨트롤러가 좋아야할 뿐만 아니라,
단점이 셀의 수명(내구도, Endurance)이 짧다는 것이죠.

삼성은 메모리 컨트롤러 기술이나 메모리 셀 내구도가 세계 최고이니 걱정이 없지만,
SK 하이닉스는 어떻게 해나갈지 궁굼합니다.
좋은비 18-06-10 12:44
   
삼성이 96단을 계발했군요

이쪽분야는 앞으로 셀단위를 높히면 높힐수록 앞도적으로 점유율 높혀나가게 될겁니다

그런의미에서 삼성은 qlc에서도 압도적으로 1위를 할걸로 예상되고

sk가 잘해줘야 다른회사들 견제를 할수가 있는데 잘하겠지요

그리고 저 도시바는 믿을수가 없어요 날조같네요 시제품과 양산은 엄청난 차이가 있기 때문이죠
멀리뛰기 21-01-02 14:07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멋진글~
멀리뛰기 21-01-08 14:17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감사^^
 
 
Total 16,5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842
3159 [기타경제] 청년 실업과 생산가능인구 하락의 시대 (14) 보쳉리 06-16 2231
3158 [기타경제] 남미대륙 전체 국부 순위 (2017년) (7) 스크레치 06-15 3940
3157 [기타경제] 포스코 세계 최대 두께 철강 반제품 연속 생산 성공 (17) 스크레치 06-15 3689
3156 [기타경제] 美 관세부과에 대한 중국언론 반응 (12) 귀요미지훈 06-15 3338
3155 [기타경제] 美, 중국제품에 고율관세 부과 승인 (14) 귀요미지훈 06-15 2682
3154 [전기/전자] 삼성전기의 혁신 "반도체 두께 절반으로 줄였다" (9) 스크레치 06-14 4696
3153 [전기/전자] 한국 28㎓ 주도권 강화···남미도 28㎓ 대열 합류 (10) 스크레치 06-14 3502
3152 [기타경제] WSJ "美, 15일 中에 대규모 관세부과 강행할듯…트럼프 결… (11) 귀요미지훈 06-14 2374
3151 [전기/전자] 5G 1차 표준 최종 '확정', 韓 SKT·KT 주도권 '확… (4) 케인즈 06-14 2546
3150 [기타경제] 사실상 붕괴된 일본 조선업 (23) 귀요미지훈 06-14 5093
3149 [잡담] 호치민시 4조6600억원 규모, 지하철 5호선 타당성 조사 실… (11) 현재now 06-14 4245
3148 [기타경제] 세계 국부순위 TOP10 (2017년) (20) 스크레치 06-13 5349
3147 [전기/전자] 현대차, 이집트 경제위기 속에서도 시장점유율 1위 수성 (4) 스크레치 06-13 2359
3146 [전기/전자] 삼성 TV, 무역 요충지 이집트서 점유율 '파죽지세' (3) 스크레치 06-13 2417
3145 [기타경제] 볕든 조선업, 중국 제치고 1위 탈환 눈앞 (10) 굿잡스 06-13 2575
3144 [전기/전자] "중국발 치킨 게임은 없다"...낸드업계, '96단·쿼드… (32) 스크레치 06-13 5189
3143 [전기/전자] 삼성, 차세대 아이폰용 OLED 패널 독점 공급하나 (7) 스크레치 06-13 2247
3142 [과학/기술] 기술격차 1년내로 좁힌 中, 64단 3D 낸드 납품…'메모… (12) 공노비 06-13 3608
3141 [기타경제] 아시아 주요국 1인당 GDP (2023년) (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 (16) 스크레치 06-12 3473
3140 [전기/전자] 삼성전기ㆍ무라타…불붙는 ‘MLCC’ 주도권 경쟁 (9) 스크레치 06-12 2867
3139 [전기/전자] 코오롱인더, 폴더블폰 핵심소재 선점 (6) 스크레치 06-12 1862
3138 [자동차] 현대차 "4세대 수소전기버스 9월 공개"...2022년 1000대 목표 (18) 스크레치 06-12 2755
3137 [전기/전자] 삼성 ‘아이소셀’ 이미지센서…中 스마트폰 절반이 채… (5) 스크레치 06-12 3169
3136 [자동차] [인터뷰] 현대차 디자인센터 스타일링 담당 이상엽 상무 … (7) 까르페디엠 06-11 2091
3135 [전기/전자] 中화웨이, SDC에 역대급 '6.9인치' OLED 주문 (7) 스크레치 06-11 3868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