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02 08:33
[기타경제] 빚더미 톈진의 실패…죽음 택한 中은행장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3,5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81&aid=0002918521












이것이 후진국 중국 경제의 비참한 현실 

진핑이가 독재자로 전락하면서 


각 지방정부는 조작질이나 해서 눈속임이나 하고 



얼마나 조작질을 그동안 해댔으면 톈진은 2010년에 17%가 넘던 경제성장률이라고 했었는데 

올해 막상 까보니 1%대로 폭락 


지금 열심히 진핑이가 중국 국민들 눈속임하기 위해 

떠들고 있는 "굴기타령" 도 다 저런 허황된 망상일 가능성이 농후하다는게 현실 


단순 14억 인구빨로 뭐가 된거마냥 설쳐댔지만

실상은 엄청 가난한 후진국일뿐이고 



암울한 중국의 현주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8-06-02 08:33
   
상생벗 18-06-02 08:46
   
지나의 가장 큰 약점은 독재 입니다. 독재는 모든체제에서 그렇지만 특히 자본주의에서 독입니다.대부분의  문제가  독재에서 파생됩니다.합리성 보다 성과위주고 .시황제 등극을 보고 4-5년내 폭삭하리라 보고 있읍니다.지나가 망하면 자연스럽게 통일이죠.지나가 망하지 않으면 통일은 망상입니다.홍 아무개가 티비에서 북한이 친미 되면 어쩌구 하던데 한참을 웃었읍니다.어이가!
     
아롱홀로 18-06-02 16:01
   
양날의 검입니다. 능력자의 독재는 가장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가능하게 하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다만 확율이 돈슨에서 로또터질 확율의 백만분의 일쯤되는게 문제죠.
Sulpen 18-06-02 09:15
   
작년 11월에 부임했는데 1~2분기 후 죽은거면 기획의 냄새가 나네요.

중국에서도 분명 이전에 누군가 경제지표를 조작했다는걸 알면서도 정작 그 부분은 조명하지 않고 현재 지표가 급감했다는걸 조명해서 책임을 묻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더군요.

이런 방식의 책임회피가 허용되면 끝까지 조작하는걸 장려하는 결과를 초래할텐데 그렇다고 현재 바로 책임을 묻기에도 고위직들이 다 연계되어 있을께 뻔하다보니 여러모로 방법이 없어보입니다. 예전처럼 위원끼리 피의 숙청을 하던 시기는 이런걸 대놓고까지는 하지 못했을텐데 지금처럼 통합된 이후에는 부패가 걷잡을 수 없겠지요...
공노비 18-06-02 09:17
   
     
공노비 18-06-02 09:22
   
기사에 따르면 중국 정부 당국의 레버리지 축소를 강조, 반부패 정책 강화+ 텐진시 빈하이구 신규사업 실패가 맞물려서 이런 일이 발생한 걸로 나오네요. 그동안 좀비 기업을 살린다는 중국이 이제 좀비 기업 퇴출시키면서 경쟁력 강화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 같네요
          
환타쥬스 18-06-02 11:25
   
그렇긴한데 중국투자에 대한 신용은 적어도 지켰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허나 지금 중국의 행보를 보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http://news.joins.com/article/22675750

이런식으로는 세계에서 3번째로 큰 채권시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위안화의 세계화는 매우 힘들것 같습니다.
          
곰시기 18-06-02 13:40
   
지적재산권 준수(공산당식 제외), 공산당의 개입, ............이런거만 하더라도
중공의 경쟁력 강화요???? ㅡㅡ;;
당장 공산당의 과다한 보조금 책정 같은 개입 중지하면
중공의 반도체, 건설, 조선,전자, 이런쪽으로 그냥 죄다 망하고 실업자 엄청나게 쏟아져 나옵니다.
          
바람노래방 18-06-03 12:17
   
당국의 발표 제목을 그대로 믿으면 안되죠.
반부패를 외치면서 정적을 숙청했죠.
레버리지 축소는 그동안 중국의 성장률이 무엇이었나를 반증하는 거라고도 볼 수 있죠.

그렇지만 중국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경제의 크기와 영향에 비해 신뢰와 기대를 잃어가고 있다는 점이라고 보입니다.
노브레인 18-06-02 11:03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선 더만은 빚을 내서라도

경제성장을해야한다.

올해 목표15%  마이나스.
마칸더브이 18-06-02 11:23
   
지방도시 부패나 비리 다 까면 장난이 아니겟당
멀리뛰기 21-01-02 14:05
   
[기타경제] 빚더미 톈진의 실패…죽음 택한 中은행장 잘 읽었어요~
멀리뛰기 21-01-08 14:15
   
[기타경제] 빚더미 톈진의 실패…죽음 택한 中은행장 감사합니다.
 
 
Total 16,51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356
3088 [전기/전자] 삼성전자, 대만 TSMC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14) 스크레치 06-07 4538
3087 [잡담] 러시아가 가스관연결로 얻게되는 이익은 새발의피도 안… (4) 베이빈 06-07 2579
3086 [기타경제] [1인당 GDP 1만불대 국가] 2023년 1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6) 스크레치 06-07 1458
3085 [전기/전자] 인텔 확 따돌린 삼성 반도체… 28억 달러 격차로 더 벌려 (9) 스크레치 06-07 2007
3084 [전기/전자] TSMC 회장 “중국 반도체 기술 10년 내 못 쫓아와” (8) 스크레치 06-07 2474
3083 [전기/전자] 삼성, 中스마트폰 업체 '오포'에 OLED 공급 (4) 스크레치 06-07 1649
3082 [자동차] 현대·기아차 美 판매 드디어 반등…코나·투싼 '첨병… (7) 스크레치 06-07 1398
3081 [잡담] 2008년 - 2018년 10년간의 주요국들 경제 GDP 변화 (5) 백제만세 06-07 1741
3080 [기타경제] 콜롬비아 OECD 회원 가입완료, 연말 코스타리카 가입완료… (6) 오랑꼬레아 06-07 1799
3079 [기타경제] 원산 갈마 해안 관광지구 .멋지내요.해안이 어렸을적 해… (5) 상생벗 06-07 1881
3078 [잡담] 우리나라가 언제즘 캐나다나 이태리를 추월해서 G7이 될… (22) 내너구리 06-07 3622
3077 [주식] 내 관심 종목;참고 하세요. (6) 상생벗 06-06 1238
3076 [기타경제] 베트남, 알리페이 모바일 결제 전면 금지.. 中 강력 반발 (11) 굿잡스 06-06 2357
3075 [기타경제] 현대로템, 대만 역대 최대 9098억원 규모 철도차량 사업 … (3) 스크레치 06-06 1532
3074 [자동차] 현대車 `군집 자율주행` 박차…운송비 절감 물류혁명 주… (4) 스크레치 06-06 1301
3073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의 PC용 새 프로세서 '스냅드래곤850… (5) 스크레치 06-06 1900
3072 [과학/기술] KAIST, 대용량에 폭발 위험 없는 2차전지 개발 (10) 진구와삼숙 06-06 2114
3071 [전기/전자] TSMC 모리스 창, "중국반도체, 우리보다 5~7년 정도 뒤쳐져.… (8) 귀요미지훈 06-06 2865
3070 [기타경제] 한국 경제는 왜 위기인가? 최저 임금 소득 주도 성장의 … (18) 융융 06-06 2174
3069 [기타경제] 미국에 꼬랑지 내린 중국 (7) 귀요미지훈 06-06 2563
3068 [전기/전자] 두산중공업, 2조원 규모 인도네시아 화력발전소 수주 (4) 욜로족 06-06 2761
3067 [기타경제] [중동지역 경제] 1인당 GDP와 명목 GDP 현황 (7) 스크레치 06-05 2253
3066 [자동차] 기아, 독일 전기차시장 1위 등극 (2018년 4월) (10) 스크레치 06-05 2491
3065 [전기/전자] 한국 1분기 D램시장 장악…마이크론은 위협 (15) 스크레치 06-05 3135
3064 [전기/전자] "퀄컴·삼성 뛰어든 이유있네"…車반도체 시장 35조 (10) 스크레치 06-05 3069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