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6-02 22:23
[기타경제] [1인당 GDP 2만불대 국가] 2023년 2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001  

5년뒤 2023년에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불대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들 

2023년에 2만불대에 해당하는 국민소득을 보이는 나라들은 


"상위권 개발도상국 ~ 선진국 문턱 예상국가" 정도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그 중에서 3만불에 근접한 2만 8천불 이상 정도되는 나라들은 선진국 진입이 예상되는 국가들로 

볼수 있겠습니다. 



지난번에도 한번 언급한적이 있지만

여기에 해당하는 나라중 "대만"과 "사우디아라비아"는 좀 충격적인 상황으로 

먼저 대만은 올해 2만 5천불 정도로 예상되는 국민소득이 5년뒤에도 큰 변화없이 유지되는 상황으로 

꽤 여러나라들에 역전을 당함과 동시에 

2만불대에 머물게 될 것으로 예상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의 압박과 국제적 외교 고립으로 난감한 상황에 처한 대만인데 

경제적으로도 암울함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도 올해 2만 2650달러의 국민소득이 5년뒤에도 거의 변함없이 

2만 3700달러 정도로 예상되어 더이상 석유 하나만으로 경제를 유지하기엔 힘든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2023년 기준으로 1인당 국민소득이 2만불대에 속해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국가는 

전세계에 총 17개국으로 예상됩니다. 









[참고] 



<2023년 주요 10개 선진국 1인당 국민소득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호주 (7만 2091달러)
2. 미국 (7만 1805달러) 
3. 독일 (6만 3728달러)
4. 캐나다 (6만 2610달러) 
5. 프랑스 (5만 3839달러)
6. 영국 (5만 1114달러) 
7. 일본 (4만 8036달러)
8. 이탈리아 (4만 2133달러) 
9. 대한민국 (4만 867달러) 
10. 스페인 (4만 822달러)  







<2023년 주요 10개 선진국 명목 GDP 현황> (2018.4월 IMF 최신판)


1. 미국 (24조 5368억 달러)
2. 일본 (5조 9624억 달러)
3. 독일 (5조 2721억 달러)
4. 프랑스 (3조 5858억 달러)
5. 영국 (3조 4766억 달러)
6. 이탈리아 (2조 5542억 달러)
7. 캐나다 (2조 4343억 달러)
8. 대한민국 (2조 1546억 달러)
9. 호주 (1조 9581억 달러)
10. 스페인 (1조 8750억 달러)  











[2023년 1인당 국민소득 2만불대 국가 현황] (IMF. 2018. 4월 최신) 



1. 포르투갈 (유럽) (2만 9891 달러)

2. 리투아니아 (유럽) (2만 8691 달러) 

3. 슬로바키아 (유럽) (2만 8153 달러)

4. 바레인 (중동) (2만 7856 달러)

5. 대만 (아시아) (2만 7715 달러)

6. 그리스 (유럽) (2만 6237 달러)

7. 라트비아 (유럽) (2만 5716 달러)  

8. 사우디아라비아 (중동) (2만 3752 달러)

9. 우루과이 (남미) (2만 3103 달러)

10. 바베이도스 (중미) (2만 2410 달러)

11. 헝가리 (유럽) (2만 1980 달러)

12. 파나마 (중미) (2만 1657 달러)

13. 폴란드 (유럽) (2만 980 달러)

14. 앤티가바부다 (중미) (2만 495 달러)

15. 세이셸 (아프리카) (2만 434 달러)

16. 세인트 키츠 네비스 (카리브해) (2만 322 달러)

17.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미) (2만 70 달러) 










[2023년 1인당 국민소득 2만불대 국가 명목 GDP 현황] (IMF. 2018. 4월 최신) 




1. 사우디아라비아 (중동) (8660억 달러)

2. 폴란드 (유럽) (7932억 달러)

3. 대만 (아시아) (6596억 달러)

4. 포르투갈 (유럽) (3018억 달러)

5. 그리스 (유럽) (2742억 달러)

6. 헝가리 (유럽) (2122억 달러)

7. 슬로바키아 (유럽) (1537억 달러)

8. 파나마 (중미) (983억 달러)

9. 우루과이 (남미) (824억 달러)

10. 리투아니아 (유럽) (740억 달러)

11. 라트비아 (유럽) (495억 달러)

12. 바레인 (중동) (456억 달러)

13.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미) (283억 달러)

14. 바베이도스 (중미) (64억 달러)

15. 세이셸 (아프리카) (20억 달러)

16. 앤티가 바부다 (중미) (19억 달러)

17. 세인트 키츠 네비스 (카리브해) (12억 달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싱그런하루 18-06-03 01:38
   
대만은 정말 한계가 보이네
     
참치 18-06-03 04:20
   
전자업체들도 중국과 엮이면서 기술이 많이 넘어가고, 경쟁력이 무너졌죠.

대만은 앞으로도 정말 암울합니다.

이대로 가다간 중국에 경제적으로 흠수될 지경임..
          
스크레치 18-06-03 10:48
   
대만도 이제 선택의 갈림길에 선것만큼은 분명해

보입니다.


그래도 반중 기치를 내건 총통이 등장해서

뭐좀 해보려고 이리저리 해보려고는 하는거같은데


대만은 결정적으로 외교적으로 자유롭지

못한 한계가 아주 크게 다가오는듯합니다.


대만과 수교 맺은 국가는 이제

소국 몇개 남았는데

그나마도 요즘 한두 나라씩 단교중이구요


경제 때문에

중국에 기웃거려봐야

상황은 저렇기 때문에


대만도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인건 분명해보임
     
스크레치 18-06-03 10:50
   
대한민국과는 이제 무려 1만 3천달러 이상

국민소득 격차가 벌어질 것으로 예상될 정도로


충격적입니다.
귀요미지훈 18-06-03 11:48
   
고급 기술이 없는 대만입장에선 인건비 따먹기 할 수 밖엔 없었고, 같은 중국인이라 중국시장 장악하리라는 기대감에 중국에 올인 했는데 그 결과가 중국에 쪽쪽 빨리고 이젠 중국에서 빠져 나올 수도 없는 상황이지요.
고급인력의 경우 임금도 이젠 중국이 더 많이 주니 인재들까지 중국으로 흡수되는 중이더군요.

아무리 반중을 외쳐봤자 첨단기술이 없어 인건비 따먹기 할 수 밖에 없는 하청 위주의 대만경제 자체가
현재 중국에 담보잡혀 있는 상황이라 향후에도 계속 내리막길일거라고 봅니다.
     
스크레치 18-06-03 12:11
   
예 그런거 같습니다.

하청위주의 대만경제 구조적 문제가 발목을 또 잡는게 맞는거 같구요
블랙미스릴 18-06-03 13:39
   
여담인데 바레인은 국토 자체는 정말 작지만 지리적 위치가 예술입니다. 전세계 원유의 70% 이상이 매장된 페르시아만 카타르 옆에 바로 위치해 있죠. 그 작은 카타르보다 훨씬 작은 영토지만 신이 일부러 갖다 놓기라도 한것처럼.. 역시나 다른 중동의 산유국처럼 마땅한 제조기업 한개도 없지만 아랑곳없이 잘먹고 잘 삽니다.
     
스크레치 18-06-03 13:49
   
예 그런거 같습니다.

어쨌든 지역적 축복인지 석유가 많이 나오는 지역이다보니

중동에는 소위 말하는 부국들이 많기도 하죠

변변한 제조업은 없어도


한편 대한민국은 진짜 전쟁으로 남은거 다 파괴하고

자원도 하나 없는 나라에서

여기까지 기적적으로 올라온것이구요
          
블랙미스릴 18-06-03 14:02
   
당연히 한국인이지만 대한민국은 제가 생각해도 불가사의 합니다. 애초부터 분단되지 않고 전쟁도 없었고 성장했다면 지금 위치가 어땠을지 생각해 보네요. 그리고 통일 이후나 통일이 되지 않더라도 안정된 한반도 상황에서 성장하는 대한민국 경제가 어디까지 성장할지도요.
멀리뛰기 21-01-02 14:05
   
[기타경제] [1인당 GDP 2만불대 국가] 2023년 2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4:14
   
[기타경제] [1인당 GDP 2만불대 국가] 2023년 2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좋은글~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877
3096 [기타경제] 남북경협 급물살 타는데…러시아 물류 노리는 日 (17) 공노비 06-08 2677
3095 [기타경제] "美中 무역분쟁으로 中수출 10% 줄면 韓성장 0.9%p 감소...… (4) 공노비 06-08 1517
3094 [기타경제] 美의원들, 'ZTE 제재 해제' 급제동… "화웨이까지 … (7) 공노비 06-08 2472
3093 [기타경제] 위기 진정될까… 아르헨티나, IMF서 500억달러 구제금융 … (4) 공노비 06-08 1649
3092 [기타경제] "샤오미 IPO 규모 100억달러 달할 것" (3) 공노비 06-08 1630
3091 [금융] EU, 구글에 과징금 11조원 때린다 (3) 공노비 06-08 1577
3090 [잡담] 최신 세계GDP 현황(2018) (15) 베렉투스 06-08 3971
3089 [잡담] 2017 파운드리 회사 랭킹 (4) 호갱 06-08 2138
3088 [전기/전자] 삼성전자, 대만 TSMC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14) 스크레치 06-07 4538
3087 [잡담] 러시아가 가스관연결로 얻게되는 이익은 새발의피도 안… (4) 베이빈 06-07 2579
3086 [기타경제] [1인당 GDP 1만불대 국가] 2023년 1만불대 예상국가 현황 (6) 스크레치 06-07 1458
3085 [전기/전자] 인텔 확 따돌린 삼성 반도체… 28억 달러 격차로 더 벌려 (9) 스크레치 06-07 2007
3084 [전기/전자] TSMC 회장 “중국 반도체 기술 10년 내 못 쫓아와” (8) 스크레치 06-07 2474
3083 [전기/전자] 삼성, 中스마트폰 업체 '오포'에 OLED 공급 (4) 스크레치 06-07 1649
3082 [자동차] 현대·기아차 美 판매 드디어 반등…코나·투싼 '첨병… (7) 스크레치 06-07 1398
3081 [잡담] 2008년 - 2018년 10년간의 주요국들 경제 GDP 변화 (5) 백제만세 06-07 1741
3080 [기타경제] 콜롬비아 OECD 회원 가입완료, 연말 코스타리카 가입완료… (6) 오랑꼬레아 06-07 1799
3079 [기타경제] 원산 갈마 해안 관광지구 .멋지내요.해안이 어렸을적 해… (5) 상생벗 06-07 1882
3078 [잡담] 우리나라가 언제즘 캐나다나 이태리를 추월해서 G7이 될… (22) 내너구리 06-07 3622
3077 [주식] 내 관심 종목;참고 하세요. (6) 상생벗 06-06 1238
3076 [기타경제] 베트남, 알리페이 모바일 결제 전면 금지.. 中 강력 반발 (11) 굿잡스 06-06 2358
3075 [기타경제] 현대로템, 대만 역대 최대 9098억원 규모 철도차량 사업 … (3) 스크레치 06-06 1532
3074 [자동차] 현대車 `군집 자율주행` 박차…운송비 절감 물류혁명 주… (4) 스크레치 06-06 1301
3073 [전기/전자] 삼성전자, 퀄컴의 PC용 새 프로세서 '스냅드래곤850… (5) 스크레치 06-06 1900
3072 [과학/기술] KAIST, 대용량에 폭발 위험 없는 2차전지 개발 (10) 진구와삼숙 06-06 2114
 <  531  532  533  534  535  536  537  538  539  5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