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9-01-23 10:19
[기타경제] 韓 '30-50클럽' 7번째 회원… 다른 나라의 현황은?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5,84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8&aid=0004163812







어제 대한민국 한국은행에서 지난해 대한민국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1천달러를 넘었다고 발표하면서 


IMF에서 지난해 대한민국 국민소득 3만불을 돌파했음을 알려준데 이어 

공식적으로 대한민국 한국은행에서도 2018년 대한민국 1인당 국민소득이 3만불을 돌파했음을

확인해줬습니다. 


이로 인해 주요 선진국 기준이라는 "3만 달러" 기준을 드디어 넘어서면서 

대한민국은 1950년 한국전쟁 이후 폐허가 된 세계 최빈국에서 주요 선진국 도약이라는 

기적을 만들어냈습니다. 




국민소득 3만불 돌파를 함으로 인해 

대한민국은 인구 5000만명 이상 -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에 모두 해당하는 


세계 7번째 국가가 되었습니다. 



이제 대한민국도 주요 선진국으로 도약한만큼 

앞으로는 미래 먹거리등을 통해 5만불, 6만불 시대로 과연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를

다들 고민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국민들 복지 문제나 여러문제에도 과거보다는 이제 좀 더 신경을 어느정도 써도 될 시점도 된거 같구요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합니다. 









<2019년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이상 - 인구 5천만명 이상 주요 선진 7개국 현황> 



인구 : 대한민국 통계청 참고 

1인당 국민소득 : IMF 참고 
 




1. 대한민국 (인구 - 5181만 1167명) (1인당 국민소득 - 3만 2046 달러) 


2. 미국 (인구 - 3억 2909만 3110명) (1인당 국민소득 - 6만 2518 달러) 


3. 일본 (인구 - 1억 2685만 4745명) (1인당 국민소득 - 4만 106 달러) 


4. 독일 (인구 - 8243만 8639명) (1인당 국민소득 - 4만 8670 달러) 


5. 영국 (인구 - 6695만 9016명) (1인당 국민소득 - 4만 2261 달러) 


6. 프랑스 (인구 - 6548만 710명) (1인당 국민소득 - 4만 2931 달러) 


7. 이탈리아 (인구 - 5921만 6525명) (1인당 국민소득 - 3만 4349 달러)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19-01-23 10:20
   
노원남자 19-01-23 10:57
   
인구면에서 영프독 못지않는나라가 됬음좋겟고 모든산업역량에선 독일다음으로 간다면 좋겠군요.
     
스크레치 19-01-23 11:01
   
그렇게 되길 저도 바랍니다.
병든성기사 19-01-23 11:09
   
애효... 의미없다... 선진국은 얼어죽을...
연봉 3500 받는 사람 몇이나 될거 같음...? ㅡㅢ;;;
인당 국민소득이니까 비근로자 몫까지 하면
근로자들의 평균임금은 연봉 4000이 넘어야 하는데...
똑같이 나누지는 못해도 적당히 살아가려면...
     
스크레치 19-01-23 11:15
   
그럼 다른 선진국은 뭐 다릅니까?

국제사회에서 통계낸 기준이

의미가 있는지 없는지는 당신이 평가하는것이 아니니까요
     
숀오말리 19-01-23 11:30
   
유럽 연합 보다 경제규모 높은 세계 경제 1위국가 미국도 모든 3억이 다 잘사는거 아니에요.. 기사님 그거는 어쩔수 없죠 그리고 대한민국도 엄연히 선진국 입니다.
     
바람노래방 19-01-23 13:23
   
칭찬은 칭찬대로, 비판은 비판대로 해야지
아무대나 마구 섞어버리면 죽도 밥도 안됩니다.
     
할게없음 19-01-23 14:18
   
그건 어느나라나 마찬가집니다. 어느 정권일때도 마찬가지였구요
     
Evergrey 19-01-23 15:39
   
뭔 소린지...

1인당 GDP가 3만불이 넘었다고 해서 인당 평균 3만불을 벌어가는게 아니라요. 그 중에 60% 정도 비중이 가계소득입니다. 유시민처럼 GDP가 근로소득으로만 이루어지는 줄 아는 사람이 또 있네
운동포기 19-01-23 11:18
   
쥐잡고 닭잡으니 금방 되는거였습니다..
미래?..쥐 잔당, 닭 잔당 박멸하면 문제될거 없습니다...
매국노들이 젤 두려워하고 싫어하는 통일만 되면 지름길이 바로 앞에 있습니다..
그러니 기생충 박멸이 젤 먼저 할일 맞습니다...
     
황제폐화 19-01-24 00:11
   
실질적으로 지금상태에서 통일되면 바로 중진국으로 떨어지고 20년 이상 고생합니다.
희망은 좋지만 팩트는 체크해야죠.
          
Sulpen 19-01-24 11:35
   
그것도 엄밀히 따져보면 과장된겁니다.

남한인구 5천만 3만불
북한인구 2.5천만 1500불 정도라고 봤을때

통일되면 7.5천만 2.05만불 규모로 중진국 수준이 되긴 하는데 그렇다고 남한쪽 인구가 갑자기 못 살아지는건 아닙니다. 지금과 비슷한 소득을 창출하겠지만 세금의 많은 부분이 북한에 투자된다는거 정도지 전국민이 중진국 수준으로 떨어지는게 아닌거지요.

어떤 면에서는 세금이 증가하는 대신 북한과 통합하면서 경제 활성도를 높여(투자 증대) 가계소득이 증가세로 계속 이어질 가능성도 없는게 아닙니다. 이건 너무나 많은 가능성이 열려있고 변수가 많아서 고생만할거라는게 팩트가 될수가 없지요.

보통 독일의 경우를 생각해서 20년 고생한다고 하지만, 서독만 존재했을때 현재 독일보다 1인당 더 부유해졌을 수 있지만 서독만 잘산다고 현재 독일급 영향력으로 존재하지는 못했을겁니다. 그리고 통일이 되었기 때문에 군비로 나가는 돈이 적은게 현재 독일이지만 분단된 독일이 현재까지 존재했다면 군비로 나가는 국가적 지출도 고려해야하지요.
punktal 19-01-23 11:50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경제발전을 이룬 대한민국이 세계에서 유래가 없는 분배를 이루었으면 좋겠습니다.
     
스크레치 19-01-23 20:38
   
앞으로 그런 방향으로 차차 나아가야죠
     
Sulpen 19-01-24 11:37
   
오...
김쌍큼 19-01-23 12:32
   
서로의 차이를 인정할 줄 알아야 되겠습니다. 잘사는 사람도 있고 아닌사람도 있죠 당연하게..
Banff 19-01-23 15:25
   
엄밀히 30-50 클럽이라는건 없고..  이명박이 20-50 클럽이라며 특유의 그 자뻑하려다가 욕 뒤지게 먹었던 시절이 있었음. 언론서 그냥 3만불 넘겼다고 하면 되지 왜 자뻑왕 이명박시절 따라하는지 모르겠음.

대신 3만불 넘긴건 가시적 성과이자 당연히 자랑스러워할 일이죠.
----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33&aid=0000023532
기사입력 2012-07-04
ㆍ이대통령 연설서 ‘세계 일곱번째 가입’ 자찬… 국내 정치용으로 사용 논란

요즘 ‘20-50 클럽’이란 용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20-50 클럽은 국내 경제연구소가 만든 단어로, 경제지표와 연관성이 거의 없는 신조어라는 비판이 많다.
     
Sulpen 19-01-24 11:57
   
사실 20-50이니 30-50이니 G2니 G7이니 이런건 경제적으로는 큰 의미는 없지요.

하지만 그게 완전히 국제적으로 의미가 없냐고 보면 그건 또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G2라는 용어가 공식석상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니더라도 실질적으로 미국 제외한 그 다음 파워를 지닌 국가가 중국이라는데에는 동의하는 사람이 많고, 실질적으로도 중국의 정책에 수많은 나라들이 휘청이지요.

20-50 이라는 개념도 그것과 비슷한 관념의 분류라고 봅니다.

실질적으로 국가별 gdp를 보면 많은 국가들이 일정 인구, 일정 gdp 이상의 규격을 가지고 있고

다소 특수한 중국, 인도, 러시아, 캐나다, 호주같은 국가를 제외하고 보면 인구 5천만 gdp 2만불 이상의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일정 gdp 이하라도 인구만 많으면 국제적인 영향력이 커지고, 반대로 인구가 적더라도 일정 gdp 이상이면 국제적인 영향력을 지니지만 두가지가 어느정도 이상일 경우 국제적인 평가는 더 좋아지지요. 특히 10년전에는 영프독이스 이렇게 유럽 경제대국들이 대부분 이런 형태를 띄고 있어서 나름 설득력이 컸습니다.

보통 한국이 막차를 타는 입장이다보니 다소 한국에 맞춰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향도 없는건 아니지만 과거 20-50기준이나 현재 30-50기준은 보통의 상위 gdp 대국의 공통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요즘와서는 영프독+이탈리아+스페인에서 독일빼고 모두 주춤하고 있고, 반대로 캐나다 호주가 적은 인구에도 계속 발전중인 형국이라 상대적으로 설득력을 잃는 부분은 있다고 보입니다. 게다가 1조달러 규모가 넘는 국가에 인도네시아 멕시코 같은 인구형 국가들이 계속 합류하면서 오히려 인구가 작거나 인구가 많은 형태가 gdp 대국에 더 유리한가 싶은 생각도 들때가 있습니다 ㅎㅎ
존버 19-01-23 17:30
   
성장과 분배를 동시에 가져갈때이다.
     
스크레치 19-01-23 20:32
   
공감합니다.
마고님 19-01-24 08:26
   
30-50 그 클럽 협회장은 누구고 언제 설립됐고 본사는 어디 있나요?
멀리뛰기 21-01-02 15:16
   
[기타경제] 韓 '30-50클럽' 7번째 회원… 다른 나라의 현황은? 감사합니다.
멀리뛰기 21-01-08 15:04
   
[기타경제] 韓 '30-50클럽' 7번째 회원… 다른 나라의 현황은? 잘 읽었어요~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67
15158 [전기/전자] LG, 휘어지는 OLED 게이밍 모니터 공개할 것 (17) 유랑선비 01-04 5887
15157 [기타경제] 한국 조선업, 설계 기술 없고 핵심부품 수입한다? (20) 귀요미지훈 09-10 5886
15156 [잡담] 한국,일본 1인당 GDP 비교 완벽 정리(일본은 이미 후진국) (17) 메흐메르 12-06 5883
15155 [기타경제] 한국이 반도체 강국이라고? 메모리에 가려진 착시. (30) 샤넬케이 04-10 5881
15154 [전기/전자] 中 "한국 휴대폰 안산다" 삼성 점유율 0%.. (48) 스쿨즈건0 04-25 5880
15153 [전기/전자] 화웨이제재 中이 걱정하는 3대 '최악의 시나리오' (10) 스크레치 09-15 5879
15152 [기타경제] 세계 무역/수출/수입/수지 순위 (19) archwave 01-15 5877
15151 [기타경제] 일본 튼튼하지 않습니다. (9) 화이팅 07-05 5871
15150 [자동차] "독일 3사와도 경쟁가능"··제네시스 G80 디자인 해외서 … (12) 스크레치 03-16 5870
15149 [기타경제] 깡패 트럼프 VS 중국 무역 대결 아래 한국의 경제 상황. (14) 한세월 10-19 5869
15148 [기타경제] 동남아시아 1인당GDP 현황 (73) 스크레치 09-26 5869
15147 [기타경제] 中 "한국 판단 잘하라" 보도 하루뒤… 美대사, 대놓고 反… (30) 스쿨즈건0 06-07 5868
15146 [전기/전자] 질주하는 삼성 파운드리 신규 수주 현황 (11) 스크레치 06-24 5868
15145 [기타경제] 최악의 한해를 보낸 개발도상국 (20) 스크레치 12-15 5867
15144 [기타경제] 조선 빅3 "저가 수주 안한다"...쉘 프로젝트 입찰 포기 (13) 스크레치 05-15 5867
15143 유럽 자동차시장 한국-일본 기업 판매량 순위 (2017년) (8) 스크레치 11-20 5863
15142 [재테크 타임] 종잣돈 만드는 3대 스킬! (2) 블루하와이 01-22 5862
15141 [전기/전자] 美·中 `빅딜`에도…한국산 반도체 끄떡없어 (7) 스크레치 03-29 5862
15140 [기타경제] 기술 훔치는 중국?…수십조 원 산업 ‘흔들’ (2) 스쿨즈건0 10-08 5861
15139 [기타경제] 세계5번째 가스터빈 한국 (4) 냥냥뇽뇽 09-22 5859
15138 [전기/전자] 中화웨이 "이제 생존목표..퀄컴칩 주면 기꺼이 사용" (15) 스크레치 09-25 5859
15137 [주식] 도요타에서 올해 전고체 배터리 전기차 모델을 선보인다… (62) 가세요 01-09 5856
15136 [전기/전자] 삼성 "2027년 1.4나노 양산" 선언... TSMC와 정면승부 (8) FOREVERLU.. 10-04 5856
15135 [금융] 원화강세에 韓경제 후폭풍 우려 (중국 위안화 강세) (21) 스크레치 06-01 5852
15134 [잡담] 삼성 디스플레이, 하만 실적 전망 (1) 강남토박이 10-28 5850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