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3-28 20:02
[금융] "中·러 뭉쳐도 달러패권 도전 쉽지않을 것"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2,716  

https://news.v.daum.net/v/20210328174929958







미국의 막강한 힘은 달러 패권에서 나오는데 

중국, 러시아 따위가 뭉쳐본들 


쉽지 않죠 당연히... 

게다가 러시아는 대한민국보다 경제적 영향력이 작은 나라인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스크레치 21-03-28 20:02
   
매일노가다 21-03-28 20:19
   
중공, 러시아 화폐로 뭘 하겠다고..
Architect 21-03-28 20:34
   
애초에 지금은 예전 소비에트 연방 시대의 러시아가 아니죠. 물론 러시아가 과거에 쌓아놨던 군사/외교적 유산과 과학기술, 자원, 광대한 영토 등으로 가지고 있는 지정학적 영향력을 무시하면 안되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영향력을 과대평가하는것도 경계해야 합니다. 명목GDP는 남한보다도 낮고 금융/산업 측면에서 가지고 있는 영향력은 미약하고요. 방위산업과 지하자원을 통해 버티고는 있지만 쇠퇴하는 국가입니다. 우리보다 먼저 인구감소를 겪어서 인구구조도 그야말로 엉망이고요.
     
스크레치 21-03-28 20:40
   
러시아 경제구조도 너무나 자원에 극도로 의존하는 경제라는 점이 취약하다고 봅니다.

국민소득이 1만불도 안되는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인 대한민국보다 코로나 이전에도 경제성장률이 낮았던 나라일 정도니


러시아는 근본적인 경제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쉽지 않을겁니다.
          
Architect 21-03-28 20:59
   
자원과 방산업이 사실상 전부라, 서방 제재 한번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전락하고 화폐가치 폭락, 물가가 폭등하는 기현상이 일어나고 있죠.. 거기다 대낮에 야권 지도자가 독살시도 당하는 등 정국도 불안정한 상황이라 고급인력들은 앞다퉈서 서방과 미국으로 이민 떠나고 있는 상황입니다(2015년 기준으로 연 30만명 이상). 미국 싱크탱크에서 이 대규모 탈출을 'Russia's slow Bleeding (러시아의 출혈)'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미래 경쟁력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거라고 보고있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러시아는 우선 정치개혁 후 경제구조 개혁 및 제조업 육성이 필요하겠지만, 이 상태대로라면 별로 가능성이 보이지 않네요.
도리곰 21-03-29 01:22
   
러시아는 영토의 저주에 걸려 있어서 발전이 더딥니다.
너무 많은 영토를 가진 덕분에 나라의 예산이 영토 관리에 싹 빨려나갑니다.
도로, 인프라 유지 보수에 자원을 다 쓰다보니 정작 산업 고도화에 힘을 쏟을 여력이 없습니다.
인구라도 많았으면 중국처럼 인구빨로 밀어부칠 수 있었겠지만, 그마저도 힘들죠.

농경시대야 넓은 영토가 유리했겠지만 산업 시대는 넓은 영토가 굳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방랑기사 21-03-29 04:40
   
주력 수출품이 석유인데 석유의존도를 낮추는 세계경제사회에서 더욱더 영향력을 상실할 겁니다.
가세요 21-03-29 10:37
   
러시아는 몰라도 중국은 모르는데
totos 21-03-29 17:21
   
중국은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라서 위안화 결제 한다고 통보해도 수입하는 측이 위안화 결제를 안 해주면 땡.
중국 내부에서도 공산당의 금융정책을 못 믿는 경제인들이 많아서 지들도 달러/유로화 결제를 요청합니다. ​
금융 패권이 하루 아침에 결정되는게 아닙니다.
carlitos36 21-03-30 11:28
   
금융 패권이 애들 장난이냐 ?
 
 
Total 23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8 [금융] 韓 "원화가치 강세 지속..하반기 1070원 간다" (LG경제연구… (23) 스크레치 04-21 4128
107 [금융] "美 대만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할 듯" (일본 닛케이) (18) 스크레치 04-15 4302
106 [금융] 1분기 수출 1천465억 달러..역대 최대 (2) 꼬마와팻맨 04-15 1254
105 [금융] 올해 경제성장률 3% 중반은 충분히 가능 꼬마와팻맨 04-15 814
104 [금융] 美, 中 환율조작국 지정 안할듯..韓도 관찰국서 빠질 수… (2) 스크레치 04-13 977
103 [금융] 韓 외환보유액 사상최대 세계랭킹 9→8위로 한계단 상승 (23) 스크레치 04-08 3735
102 [금융] 국가부채가 GDP 초과…나라빚 겁주기 보도에 지식인 반박… (12) 꼬마와팻맨 04-07 1892
101 [금융] 빗, 빚 그리고 빛 이 많네요 singularian 04-07 977
100 [금융] 다시 늘어난 외환보유고..약달러에 역대 최대치 (1) 스크레치 04-01 1732
99 [금융] "中·러 뭉쳐도 달러패권 도전 쉽지않을 것" (10) 스크레치 03-28 2717
98 [금융] 삼성전자가 투자한 기업 지분 현황 (4) 축신 03-25 2503
97 [금융] 대한민국 실질 임금 세계 4위?! (13) 꼬마와팻맨 03-23 2603
96 [금융] 터키 중앙은행 총재 전격 퇴출...리라 폭락.자본유출 우… (5) 봉대리 03-21 1922
95 [금융] 정부 경기진단서 '불확실성' 빼.."수출,투자 개선 … (1) 꼬마와팻맨 03-19 1184
94 [금융] 日주가 받쳐온 일본은행, 매수 줄일 가능성 연다 (9) 꼬마와팻맨 03-19 3039
93 [금융] 어제 댓글에 2025년 부채가 비기축 통화국 중에 3위라고 … (8) 빠샤샤샤샤 03-17 2247
92 [금융] 한국 gdp 대비 부채비율 (24) 가세요 03-16 2983
91 [금융] 日증시 큰손 BOJ, ETF 매입 줄이나 (1) 스크레치 03-15 1003
90 [금융] 휴업수당 못주는 중기 늘자···결국 추경에 손벌린 고용… 대팔이 03-15 302
89 [금융] OECD, 한국 올해 성장률 전망 3.3%로 높였다.. 중국은 뒷걸… (9) 꼬마와팻맨 03-11 2323
88 [금융] 세계10대 경제대국 외환보유고 현황 (2020년/2021년 기준) (6) 스크레치 03-08 4031
87 [금융] "한국인 가장 많이 결제한 온라인 서비스 1위 네이버..2위… (1) 봉대리 03-03 1553
86 [금융] [속보]2월 수출 9.5%, 일평균수출액 26.4% 증가 (2) 꼬마와팻맨 03-01 1972
85 [금융] 워런 버핏의 버크샤어가 (애플은 팔고) 세가지 비밀 매수… (1) 마술피리 02-17 980
84 [금융] 하이퍼 인플레이션? (2) 달보드레 02-15 1642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