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7-02-23 09:24
면세점 매출80% 중국인 지갑에서…'사드 보복' 시작되면 악몽
 글쓴이 : 스쿨즈건0
조회 : 3,142  

면세점 매출 80% 중국인 지갑에서…'사드 보복' 시작되면 악몽

중국인 관광객으로 붐비는 서울 시내 면세점.
 
한국 내 사드(THAD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임박한 가운데, 최근 중국 언론들이 연일 "사드가 배치되면 한국 기업이 큰 피해를 볼 것"이라는 식의 협박성 보도를 쏟아내면서 중국 사업이 활발한 업체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특히 '사드 부지 제공' 당사자인 롯데의 경우, 중국 현지에서 연 3조 원이 넘는 매출을 올리고 수 조 원대의 대형 복합몰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어 가장 큰 피해가 우려. 중국인 매출 의존도가 80%에 이르는 면세점업계나 약 20년 동안 중국에서 대대적 사업을 벌여온 이랜드 등도 속이 타기는 마찬가지다.

◇ 롯데, 中서 연 3조2천억 매출·2만여 명 근무…'소비자의 날' 동향 촉각

롯데 성주골프장을 사드 부지로 제공하는 이사회 결의를 앞두고 중국 언론들의 '롯데 때리기' 수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지난 21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環球時報)는 사평에서 "롯데가 입장을 바꿀 수 없다면 중국을 떠나야 한다"며 "롯데의 면세점 수입을 비롯한 영업 전망이 점점 나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서 19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도 "(롯데그룹이) 지역 관계를 격화시킬 수 있는 불장난을 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현재 롯데가 중국인을 상대로, 또는 중국 현지에서 벌이는 사업 규모를 고려하면 중국 언론의 이런 압박을 '엄포'나 '허풍'으로 치부할 수 없는 상황.

롯데에 따르면 1994년 롯데제과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유통·화학·관광 등의 업종에서 롯데 계열사의 중국 시장 진출이 이어졌다. 그 결과 현재 24개 계열사가 중국에서 사업 중이고, 현지에 모두 2만여 명에 이르는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유통의 경우 현지에서 수 천억 원의 적자를 내며 '쓴맛'도 봤지만, 아직 중국 내 약 120개 점포(백화점 5개·마트 99개·슈퍼 16개)를 운영하고 있다. 롯데시네마도 현재 12개 점, 90여 개 상영관을 운영하고 있고, 롯데제과·롯데칠성·롯데케미칼·롯데알미늄 등도 모두 중국 내 생산기지를 두고 있다. 이들 유통·제과·화학 등 계열사의 중국 현지 매출은 한 해 약 3조2천억 원에 이른다.

중국에서 롯데가 추진하는 쇼핑·레저 기능을 결합한 복합단지, 복합몰 건설 프로젝트도 사드 논란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아도 중국 인허가 과정이 까다로운데, 중국 당국이 고의로 규제에 나설 경우 추진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롯데자산개발 등은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중국 청두(成都)에 연면적 57만㎡ 규모의 복합상업단지 '롯데월드 청두'를 짓고 있고, 선양(瀋陽)에서도 테마파크(롯데월드 선양)·쇼핑몰·호텔·아파트 등을 모아 '롯데타운'을 건설하는 사업이 진행중이다. 이미 이번 겨울 들어 롯데월드 선양 공사가 중단된 것을 두고 사드 배치에 대한 중국의 보복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 롯데 관계자는 "중국 당국이 직접 전면에 나서지 않고 중국 소비자들이 '불매운동' 형태로만 반발해도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걱정.

롯데는 실제로 다음 달 15일 열리는 중국 '소비자의 날' 행사를 전후로 현지에서 어떤 형태로든 롯데와 관련된 언급이 나올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사드 배치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이 본격적으로 한국행 관광객을 제한할 경우, 가장 심각한 타격이 예상되는 업종은 면세점이다. 롯데면세점의 경우, 지난해 시내면세점 매출 가운데 무려 80%가 중국인 관광객의 지갑에서 나왔다. 예를 들어 서울 소공동 롯데면세점 본점은 작년에 무려 3조1천600억 원의 매출을 올렸는데, 2조6천억 원 정도가 유커 덕분이라는 얘기다. 내국인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항 면세점까지 더해도, 지난해 전체 롯데면세점 매출의 중국 의존도는 70%에 이른다.

호텔신라가 운영하는 서울 장충동 신라면세점 역시 지난해 매출의 80% 이상이 중국인 구매에 따른 것이었다. 다행히 지금까지는 사드 여파가 뚜렷하지 않지만, 최종 배치가 결정되거나 실제로 배치가 이뤄진 뒤 상황이 어떻게 급변할지 노심초사할 수밖에 없다. 한 면세점 관계자는 "지난달 유커 매출이 작년 1월보다 20% 이상 늘었다"며 "아직 중국인 관광객이 줄어드는 분위기는 아니나, 중국 언론의 '사드 보복' 언급을 접할 때마다 아찔한 느낌" 1994년 상하이(上海)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이래 23년 동안 중국 사업을 키워온 이랜드도 최근 상황에 긴장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이랜드는 현재 패션 부문에서만 중국에서 스파오(SPAO)·미쏘(MIXXO)·슈펜(SHOOPEN) 등 44개 브랜드의 7천 개가 넘는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진출한 유통 부문까지 더해 중국 현지 한 해 매출은 무려 2조7천억 원에 이른다. 아직 대부분의 중국 매출은 패션 부문에서 나오는데, 현재 국내 이랜드의 패션 매출(2조 원)과 비교해 중국 매출이 훨씬 더 큰 셈이다. 사드와 관련된 중국 내 반한 감정 등과 관련, 이랜드 관계자는 "'이랜드 중국' 법인은 그동안 전체 직원 3만 명의 대부분을 중국 현지인으로 채용하고, 사회공헌 활동도 활발히 했기 때문에 중국 안에서는 이랜드를 중국 기업으로 아는 소비자가 많다"면서도 "하지만 워낙 사안이 민감한 만큼, 중국 현지 소비자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람이라우 17-02-23 14:14
   
근대 면세점 매출 준다고 서민들이 피해가는게 있나요?
면세점이면 말그대로 세금도 거의 안내는 가게 인대
마이크로 17-02-23 15:12
   
조또 면세점 망한다고 내가 망하는것도 아닌데 대기업 징징거리는걸 내가 왜 듣고있어야 하는건데.
멀리뛰기 21-01-01 21:19
   
면세점 매출80% 중국인 지갑에서…'사드 보복' 시작되면 악몽 감사^^
멀리뛰기 21-01-08 11:08
   
면세점 매출80% 중국인 지갑에서…'사드 보복' 시작되면 악몽 잘 읽었어요~
 
 
Total 16,5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057
1021 사드 논란속, 중국 본토 증권사 첫 한국 진출. (5) 스쿨즈건0 03-01 3024
1020 中인민일보 "삼성·현대도 조만간 어려움 겪을 것"위협. (13) 스쿨즈건0 03-01 3682
1019 삼성디스플레이, 애플 전용 OLED 라인 6세대 6만장 추가 투… (4) 스크레치 03-01 3662
1018 2월 수출 5년만에 최고 실적…전년比 20.2%↑ (6) 스크레치 03-01 3171
1017 현대차, 수소차 상용화 날개 달다 (3) 스크레치 03-01 2728
1016 아이오닉 전기차 이미 2천대 판매…작년 실적 넘어 (3) 스크레치 03-01 2341
1015 베트남 현지 삼성공장 건설현장서 "대규모 난동" 발생. (5) 스쿨즈건0 03-01 3275
1014 삼성SDI, 美에 세계 최대규모 ESS 배터리 공급 (3) 스크레치 03-01 3139
1013 中, 노골적 韓기업 보복 본격화 "롯데는 앞잡이" 불매… (6) 스쿨즈건0 02-28 2861
1012 신문기사로 바라본 근생빌라 분석 (2) 김PD 02-28 2392
1011 베트남 투자 1위는 한국…일본 앞질러 (12) 스크레치 02-28 3581
1010 "애플 OLED, 삼성전자가 초기 납품" (6) 스크레치 02-28 2760
1009 브라질 스마트폰 시장점유율 순위 (2016년) (7) 스크레치 02-27 3491
1008 강남 바에 로봇 바텐더가 떴다! (2) 원칙이 02-27 2860
1007 부동산 투자로 노예되기 (2) 김PD 02-27 2333
1006 "LG G6, 아이폰 라이벌 자격있다"…외신 '호평' 이… (3) 스크레치 02-27 3394
1005 삼성·LG그룹, 베트남 투자 늘리는 이유는 (6) 스크레치 02-27 3914
1004 韓中日 스마트폰 업체들 '격돌' "내가 주인공" (2) 스쿨즈건0 02-27 3382
1003 금융시장 '4월 위기설' 확산...진화 나선 정부 (3) 블루하와이 02-27 3033
1002 현대·기아차, 이스라엘 초강세 1·2위 독식 (4) 스크레치 02-26 3946
1001 삼성전자-인텔, 반도체시장서 상대 영역 뺏기 가속화 (3) 스크레치 02-26 3717
1000 中"환영" 미국, 중국산 타이어 반덤핑 관세 부과 않기로… (2) 스쿨즈건0 02-26 3839
999 韓청년들,'취업·성공 자신감' 25개국 중 최하위 … (2) 스쿨즈건0 02-25 2939
998 "터키, 한국산 합성섬유·플라스틱원료 반덤핑조사 착수" (2) 스쿨즈건0 02-25 3891
997 주요 선진국 인구규모 및 경제력 (2016년) (3) 스크레치 02-25 4006
 <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