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1-15 22:53
[과학/기술] 한국이 갖지 못한 기술
 글쓴이 : 이리듐
조회 : 5,444  

1HA9IMG_4334-820x432.jpg


발전소 가스터빈


현재 이 기술을 가진 나라는 미국, 일본, 독일, 이탈리아 4개국 뿐

세계시장을 주도하는 회사는 일본의 미쓰비시, 독일의 지멘스, 미국의 GE


현재 GE의 7HA 가스터빈이 가장 효율이 좋다고 알려짐.

가스터빈의 핵심은 효율인데 이 가스터빈의 효율은 63.08%로 에너지를 그만큼 전기로 변환시킨다는 의미.


우리나라는 현재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발전소를 지을 때마다 수천억원의 재산이 빠져나가는 것이 현실.

현재는 두산중공업에서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전소 가스터빈을 개발 중. 내년까지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2021년 상용화 목표.

과연 세계수준의 효율을 가진 가스터빈을 개발할 수 있을지 앞으로가 주목됨.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노원남자 18-11-15 22:58
   
두산에서 계발중인것만해도 대단히 고마운소식인듯합니다.마냥 손놓고있는것보단 후발이라도 계발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들죠.엔진은 진짜 산업의 코어아닌가싶죠.
마할할 18-11-15 23:16
   
생각보다 안크네 라고 생각들었는데 자세히 보니 안에 사람이 있구나..
     
참치 18-11-16 01:24
   
저도 발견하고 댓글 썼는데, 이미 댓글이 있구낭.. ㅋㅋㅋ 

사람 보고 깜놀함.
     
새콤한농약 18-11-16 14:01
   
ㅇㅇ 한참 쳐다보다 저게 사람이구나 인식하고 많이 놀랐네요 ㅎㅎ
전쟁망치 18-11-15 23:19
   
영국 - 롤스로이스 빼먹으셨습니다

주로 해군함정에 많이 들어가는 가스터빈은
영국 롤스로이스 
미국 GE

발전소용 가스터빈은 주로 독일의 지멘스
일본은 어디 분야의 가스터빈을 주로 생산 하는지 모르겠네요

가스터빈이라도 이것이 어디 분야 인지에 따라 다른가 봅니다.
탱크, 헬기, 비행기, 선박, 발전소 사용하는 분야가 광범위 하고 크기도 제각각 다름
     
이리듐 18-11-16 00:16
   
여기서 말하는 분야는 발전소입니다. 두산중공업도 이 분야를 노리고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것과는 별개로 한화테크윈은 국내 유일의 항공기 가스터빈 제작사죠.

오해없게 수정했습니다.
흩어진낙엽 18-11-16 00:16
   
그나마 국내기업중 성일터빈이라는 기업이 발전소쪽 개발하는거같은데 지금은 어떤지 잘모르겠네요 대표가 의지는 있는거 같던데
     
이리듐 18-11-16 00:22
   
검색해보니 국가 R&D과제로 가스터빈 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이네요.

그나저나 성일터빈 우타관 대표는 산업부 장관과 커넥션 의혹이 있네요.
참치 18-11-16 01:24
   
저 사진에 퍼런게 뭔가 했더니 사람이네요. ㄷㄷㄷ;;;

세 사람이 작업하고 있네.. ㅋㅋㅋ 그냥 표본이 아니라 정비 중 인듯...ㅋㅋㅋ
     
행복찾기 18-11-16 09:27
   
4 사람입니다 ^^
이도저도 18-11-16 03:20
   
엔진은 진짜 따라잡는게 쉽지않은것이 그나라의 기초과학의 척도를 보여주는 분야라 어느 한부분만이아닌 여러분야의 총체적합이라고봐야죠. 더불어서 국가적역량도 중요해요.
다라지 18-11-16 17:52
   
검색해보니 ge가40% 시장을 점유하고있고 그다음이 지멘스가 18%정도 다음이 미츠비시가 13%정도 10%정도는 알톰스사가 먹고있네요.사실상 ge가 쌈싸먹고 있다고봐도 무방.
멀리뛰기 21-01-02 14:59
   
[과학/기술] 한국이 갖지 못한 기술 좋은글~
멀리뛰기 21-01-08 14:48
   
[과학/기술] 한국이 갖지 못한 기술 잘 읽었어요~
 
 
Total 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3 [과학/기술] 포스코 - 극저온용 철강, 녹슬지 않는 철강, 초고강도 철… (7) 귀요미지훈 11-28 3266
142 [과학/기술] ETRI, 25Gbps급 '틱톡 인터넷' 기술 개발 ( 인터넷 전… (15) 진구와삼숙 11-27 3047
141 [과학/기술] LG전자, 폴더블폰 이름은? … ‘LG벤디’ 등 상표명 여럿 … (3) 설설설설설 11-26 1923
140 [과학/기술] KAIST, 초소형X-선 튜브·근접 암치료장비 개발 (4) 진구와삼숙 11-22 1903
139 [과학/기술] 中, '반도체 올림픽'서 3위 부상..'반도체 굴기… (5) 참치 11-22 3525
138 [과학/기술] "中 '반도체 굴기' 답보상태..D램은 불가능, 낸드… (9) 월하정인 11-21 4342
137 [과학/기술] 근육 만드는 3D 프린터...상처 재생에 효과 (6) 진구와삼숙 11-21 1576
136 [과학/기술] 곤충 눈 구조 띤 초박형 카메라 개발 (6) 진구와삼숙 11-20 2505
135 [과학/기술] 中 낸드플래시 6세대 직행..D램도 韓 타도 노골화 (39) 참치 11-19 5561
134 [과학/기술] 셀트리온이 만드는 바이오신약, 독감치료제 'CT-P27 (6) 진구와삼숙 11-17 3174
133 [과학/기술] 한국이 갖지 못한 기술 (14) 이리듐 11-15 5445
132 [과학/기술] 카멜레온처럼 색깔 변하는 소재 나왔다 (3) 진구와삼숙 11-14 1768
131 [과학/기술] 북한이 AI,소프트웨어 기술이 상당한 수준인가 보네요. (6) 월하정인 11-14 2061
130 [과학/기술] 한국이 대일무역적자가 심한 이유는 (12) 이리듐 11-13 4519
129 [과학/기술] 부산대, 원자보다 작은 움직임 관찰하는 기술 개발 (3) 진구와삼숙 11-13 1868
128 [과학/기술] 폭발 위험 없이 오래 쓰는 차세대 종이 전지 핵심기술 개… (9) 진구와삼숙 11-07 2371
127 [과학/기술] 한국 반도체의 쾌거..SK하이닉스, 96단 4D 낸드 플래시 개… (5) 설설설설설 11-04 2633
126 [과학/기술] [우주항공 특집다큐] 누리호, 우주시대를 열다! (6) 귀요미지훈 11-02 2254
125 [과학/기술] `태양광`으로 달리는 쏘나타…현대·기아차, 솔라시스템 … (6) 진구와삼숙 10-31 1857
124 [과학/기술] 천연가스에 풍부한 메탄 자원화…촉매기술 구현 (4) 진구와삼숙 10-30 2231
123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 (8) 진구와삼숙 10-30 2739
122 [과학/기술]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용량 2배 이상 늘어난다 (10) 귀요미지훈 10-25 3379
121 [과학/기술] 구글, LG 손잡고 글로벌 `스마트도시` 프로젝트 (7) 귀요미지훈 10-25 2148
120 [과학/기술] 천리안2A호 발사장 이송! (3) 귀요미지훈 10-19 1845
119 [과학/기술] 양자컴퓨터 '초소형 메모리' 구현할 핵심원리 찾… (3) 진구와삼숙 10-19 189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