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9-02 09:25
[전기/전자] 밑에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칩 수주관련 기사...
 글쓴이 : 3월의토끼
조회 : 3,417  

https://www.reuters.com/article/us-nvidia-samsung-elec/nvidia-taps-samsung-micron-for-new-gaming-chips-idUSKBN25S5Q6


아침부터 기분좋은 기사인데...삼성에서 단가부분을 많이 희생하고 따낸건지 걱정이 약간 되네요....


뭐...그래도 지금 이 사업은 일단 점유율과 고객확보가 훨씬 중요하니 무조건 좋긴 하네요...ㅋㅋ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오징어세상 20-09-02 09:34
   
삼성은 단가 후려치기에 능숙합니다. 과거 부터 그렇게 경쟁자들을 정리 해 왔습니다.
기술이 되면 나머지는 가격이죠. 후발 주자가 빠르게 점유율을 올릴 수 있는 방법은 바로 가격 경쟁입니다. TSMC는 여전히 1위지만 똥줄이 타들어 갑니다. 지켜야 하거든요.
단지 그거 하나 거든요. 삼성은 여러 사업 중에 하나 일 뿐입니다.  파운드리는 주력 사업도
아니었고. 근래 들어서 이 시장마저 먹기 위해서 나선 겁니다.
     
아이온 20-09-02 10:43
   
맞습니다. 똥줄타는건 TSMC죠.
삼성은 반도체 회사이기때문에 천문학적인 장비가 들어가는 파운드리를 사업을 하다가 실패하더라도 반도체 라인으로 장비를 옮겨서 사용할수 있기에 TSMC보다 투자에 대한 위험부담이 덜 하다는 기사를 본적이 있습니다.
반면에 삼성에게 점유율 빼앗기고 생산라인 가동률이 떨어지면 TSMC는 다른 대책이 없는거죠.
carlitos36 20-09-02 10:45
   
나름 전략 좋은데요 뭐
totos 20-09-02 11:05
   
8nm 공정이 성능도 좋으면서 싸니까요.
12nm에서 공정을 바꾸려면 10nm는 티도 안나고 7nm로 이동하자니 가격이 너무 비싸서 8nm 선택한겁니다.
TSMC는 8nm가 없고, 10nm에서 7nm로 직행하는데 삼성은 8nm가 있어요.
삼성이 8nm를 적극 권장한것도 있는데, 삼성 8nm는 평균 98% 수율 나오니깐 빅칩 뽑아도 타산이 나오는거죠.
수율이 받혀줘야 가격 경쟁력도 생기는겁니다.
7nm는 ArF로는 램프업 레이어가 너무 많아요.
     
아이엠미 20-09-02 11:16
   
성능과 가격을 잘 잡을 듯 해요~~ ^^
덕분에.. 시장 교란 제품으로 탄생될 듯(실 제품이 발표에서 말한 만큼의 성능이 나온다면)
RTX 20XXX 시리즈는 이제....... ㅎㅎ
후후후훗 20-09-02 11:59
   
어제 새벽 신재품 발표후 게임 관련 사이트 분위기.
2000상위권 모델 산사람은 망했다. 중고나라 2080 급격한 매물 폭주.
(매년 있는 행사지만, 신재품이 가격이 높아 나름 상위모델 방어 해줬는데 이번엔 그런거 없다. 망.)

3000최상위 모델은 여전히 비쌈(8k게임용, 비싼 메모리 잔득넣음)...
기술적 큰 발전은 없고. RTX 시연 칭찬만 재반복 하다가 끝남.
전성비가 똥망인지 크기만 너무 커졌음. 파워 대용량 상위등급으로 바꿔라고 함.
비알레띠 20-09-02 14:10
   
수율이 많이 좋다고 들었는데..경제성 좋을듯
이케몬의혼 20-09-02 18:54
   
아니 삼성 단가 걱정을 왜하지?????? 재미있네..
carlitos36 20-09-03 08:35
   
삼성 이런건 무서움
멀리뛰기 21-01-12 09:28
   
[전기/전자] 밑에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칩 수주관련 기사... 잘 읽었어요~
 
 
Total 2,58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1 [전기/전자] 中 파운드리 기술력 韓·대만에 5년 뒤처져 (12) 스크레치 09-03 6665
730 [전기/전자] 갤럭시폴드2 본 주요외신 "꿈을 현실로 만들었다" (45) 스크레치 09-02 12929
729 [전기/전자] 엔비디아 차세대칩 TSMC 아닌 삼성이 만들었다 (14) 스크레치 09-02 8012
728 [전기/전자] 하반기도 돋보인 韓배터리’…中·日 밀어낸 LG화학 (8) 스크레치 09-02 3957
727 [전기/전자] 밑에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칩 수주관련 기사... (10) 3월의토끼 09-02 3418
726 [전기/전자] 삼성·TSMC 격돌..'반도체 첨단 패키징' (49) 스크레치 09-01 6532
725 [전기/전자] 삼성 멈추지않는 초격차.. 세계최초 EUV D램 양산 (47) 스크레치 08-30 7536
724 [전기/전자] 中 자력갱생식 반도체굴기 나서나 (65) 스크레치 08-28 10726
723 [전기/전자] ‘최고의 TV’ 아무나 뽑히나…LG 올레드, ‘보는 맛’ 충… (6) 스크레치 08-26 3658
722 [전기/전자] 中 CATL 전기차배터리 안전성 논란…韓 기술과 격차 확인 (12) 스크레치 08-26 3340
721 [전기/전자] 이 반도체 잡아야 승자..'팀코리아'도 나섰다 (6) 스크레치 08-26 2914
720 [전기/전자] 시작된 전기차 배터리 전쟁, 선두 탈환 위해 속도내는 유… (4) 스크레치 08-26 1404
719 [전기/전자] 日 도시바메모리 SK도 투자금 회수? (9) 스크레치 08-26 5295
718 [전기/전자] 삼성스마트폰 베트남시장 부동의 1위…코로나19에도 2분… (12) 스크레치 08-26 1718
717 [전기/전자] SK하이닉스 D램 급성장했다…1년 반 만에 글로벌 시장 점… (2) 스크레치 08-26 1605
716 [전기/전자] TSMC, 2nm 공장 신설 - 아래 삼성 파운드리 관련 뉴스 참조 (7) 셀시노스 08-26 1866
715 [전기/전자] 삼성 쫓던 넘버2 日 '키오시아' 성장 멈췄나? (9) 스크레치 08-25 4188
714 [전기/전자] 배터리 독주하겠다 LG 화학 통큰 배팅 (5) 스크레치 08-25 2375
713 [전기/전자] 中화웨이보다 삼성폰 낫네..中누리꾼들 갤노트20 카메라 … (5) 스크레치 08-25 3928
712 [전기/전자] 폴더블폰이 100만원?..삼성 접는폰 대중화 노린다 (3) 스크레치 08-25 2297
711 [전기/전자] '제2의 테슬라' 루시드·리비안, 전기차 양산 임박… (2) 스크레치 08-25 1311
710 [전기/전자] 삼성 연말부터 5나노 적용한 차세대 AP 양산 (9) 스크레치 08-25 1953
709 [전기/전자] 인도 "中화웨이 OUT"..반중정서 수혜자는 삼성? (4) 스크레치 08-25 1408
708 [전기/전자] 中 수백조 부었지만 韓이 '독점한' 이것 근황 (55) 스크레치 08-24 11927
707 [전기/전자] 삼성디스플레이 中화웨이 '메이트 X2' 폴더블 패… (7) 스크레치 08-24 4304
 <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