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10-30 18:37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수 있는 기술 개발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2,744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사용자 컴퓨터에서는 동영상 재생과 함께 병렬적으로 CNN 기반 초해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비디오 플레이어 버퍼에 저장된 저화질 비디오를 고화질로 바꾸게 된다. 모든 과정은 실시간으로 이뤄져 사용자는 고화질의 비디오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연구팀은 이 시스템으로 최대 26.9% 적은 인터넷 대역폭으로도 최신 적응형 스트리밍과 같은 체감 품질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 같은 인터넷 대역폭 환경이라면 최신 적응형 스트리밍보다 평균 40% 높은 체감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진구와삼숙 18-10-30 18:37
   
frogdog 18-10-30 20:52
   
인터넷 인프라가 잘갇춰지지 않는 나라라던가 느린나라에 수출하면 되겠군요
전쟁망치 18-10-31 01:44
   
이거 보다는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인터넷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 되는 그런 기술 개발 하면 대박 일텐데.
특히 전세계 게이머들이 찬사를 보낼 겁니다...
유럽이든 미국이든 상관 없이  ping 100  이하로 떨궈줄 기술... 없을려나
Banff 18-10-31 07:11
   
화질 떨어지는 부분을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하드웨어 써서 기존 데이타들로 학습한 것으로 고화질 추정을 real-time으로 하겠다는건데 그건 deepfake도 그렇고 이미 많이들 연구하고 있는 것.  유모-노모 converter도 조만간.. ㅎㅎ
     
구름위하늘 18-11-01 17:26
   
설명을 보니 실시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전송할 영상에 미리 학습된 데이터 같이 보내는 기술 같았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높은 화질을 보일 수 있는 것이겠죠.
저는 꽤 괜찮은 아이디어로 생각되더군요.
          
Banff 18-11-02 02:02
   
말씀하신대로 AI 구현에는 현재 matrix coefficient를 찾는 training과 그 coefficient로 neural network matrix연산을 하는 inference 두가지가 있는데, 보통 기존 GPU보다 precision을 낮춘 cnn 전문하드웨어 써서 real time으로 inference를 구현하죠.  이미 수년전부터 다양한 application에 적용하고 있고 논문도 쏟아져 나오고 있는 분야라, 기사만 봐서는 어떤 차별적인 아이디어가 있는지는 알수는 없는데, 한국도 이쪽으로 연구과제들이 많이 생겨서 연구인력이 많이 몰리고 결과를 내고 있다는건 긍정적이에요.
멀리뛰기 21-01-02 14:56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잘 보았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45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수 있는 기술 개발 멋진글~
 
 
Total 29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 [과학/기술] 천연가스에 풍부한 메탄 자원화…촉매기술 구현 (4) 진구와삼숙 10-30 2237
123 [과학/기술] KAIST, 인터넷 속도 느려도 유튜브서 고화질 영상 감상할 … (8) 진구와삼숙 10-30 2745
122 [과학/기술] 휴대폰이나 노트북 배터리 용량 2배 이상 늘어난다 (10) 귀요미지훈 10-25 3384
121 [과학/기술] 구글, LG 손잡고 글로벌 `스마트도시` 프로젝트 (7) 귀요미지훈 10-25 2151
120 [과학/기술] 천리안2A호 발사장 이송! (3) 귀요미지훈 10-19 1848
119 [과학/기술] 양자컴퓨터 '초소형 메모리' 구현할 핵심원리 찾… (3) 진구와삼숙 10-19 1894
118 [과학/기술] 눈낄 끄는 연구 (3) 귀요미지훈 10-07 3242
117 [과학/기술] 코리아텍 김용재 교수 국제로봇학술대회 우승 (3) 귀요미지훈 10-07 1326
116 [과학/기술] "중국 스파이 칩, 애플·아마존 서버서 발견" 애플 발끈 (14) 프리홈 10-06 3220
115 [과학/기술] 미 '듀폰'이 장악했던 수소차 연료전지 핵심재료 … (6) 귀요미지훈 09-17 3989
114 [과학/기술] 미래 에너지 핵융합, 최초 '불씨' 형성 과정 한국… (14) 블랙미스릴 09-16 3089
113 [과학/기술] 살아있는 세포 관찰, 생체현미경 최초 개발 (3) 진구와삼숙 09-15 2121
112 [과학/기술] 반도체에 빛 쏘면 스스로 도핑…"전도도 10만배 향상" (4) 진구와삼숙 09-14 1459
111 [과학/기술] 울산과기원, 휘발유보다 효율 높은 전기차 배터리 개발 (7) 귀요미지훈 09-13 2290
110 [과학/기술] 설계부터 제작까지 100% 국산 로켓 내달 발사 (7) 스크레치 09-07 1819
109 [과학/기술] ETRI, OLED 나노렌즈 제작기술 개발 (5) 진구와삼숙 09-06 2527
108 [과학/기술] 세계 협동로봇 시장, 2024년 100조원 돌파할 것 (4) 귀요미지훈 09-04 2365
107 [과학/기술] 한국원자력연구원, 고강도 내열성 합금 소재 개발 (4) 귀요미지훈 09-04 2200
106 [과학/기술] LTE보다 주파수 1000배 넓은 테라헤르츠…숭실대 연구팀, … (3) 진구와삼숙 09-04 1281
105 [과학/기술] 태양광 효율 10배, 수소이온 연료전지 기술 개발 (7) 귀요미지훈 08-28 2609
104 [과학/기술] 한화·두산, 세계 최초 초대형 부생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7) 좋은비 08-19 3224
103 [과학/기술] 차세대 광학 소재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조절기… (3) 진구와삼숙 08-16 1984
102 [과학/기술] 한국형 발사체, 시험발사체 발사대 기립 영상 (5) 귀요미지훈 08-16 2164
101 [과학/기술] 외부절개 필요없는 '유연 내시경 수술로봇' 수술 … (3) 귀요미지훈 08-16 1300
100 [과학/기술] 정부, 혁신성장 전략투자 내년 5조원 투자 (5) 귀요미지훈 08-14 1593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