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1-15 09:51
[부동산] 공급대책 엇박자…與-野 대리전으로 번진 재개발·재건축
 글쓴이 : 사랑하며
조회 : 1,412  

주택 공급의 주요 통로인 재개발·재건축 정비 방식을 두고 정부와 지자체가 엇박자를 내고 있다. 

정부는 용적률 상향을 골자로 한 공공재개발을, 서울시는 사업속도 단축을 이점으로 한 신속통합기획을 내세워 대립 구도를 형성하고 있다.

“공공재개발에서 탈락해 착찹했는데 서울시가 규제도 풀어주고 지원하니 좋으면 좋지 나쁠 게 없어 보인다” vs “용적률 등 인센티브 없이는 사업성이 낮아 공공재개발이 답이다”

같은 양천구 신월7동에 자리잡은 1구역과 2구역 주민들의 말이다. 신월7동 1구역은 신속통합기획을, 2구역은 공공재개발을 통해 재개발에 나서고 있다.

내년 대통령 선거를 4개월 여 앞두고 정부와 서울시의 재개발·재건축 경쟁이 공교롭게도 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야당인 국민의힘의 부동산 정책 전쟁의 대리전으로 흐르는 모습이다.

 ‘공공’을 강조하는 이재명 민주당 대선후보와 ‘민간’을 강조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의 주택 공약이 공공재개발과 신속통합기획 경쟁에 그대로 담겨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해와 올해 쏟아낸 공급대책의 핵심인 ‘공공재개발’은 용적률을 더해주는 대신, 임대주택을 더 많이 기부하는 것이 골자다. 지역민들은 사업성 개선을, 정부는 공공주택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이다.

반면 오 시장의 ‘스피드 공급’ 전략의 핵심인 ‘신속통합기획’은 이름 그대로 속도가 관건이다. 조합 설립과 철거에만 최소 5년 넘게 걸리던 민간 재개발·재건축의 복잡한 행정절차를 2년까지 대폭 축소해 서울시에 주택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그림이다.

두 진영의 경쟁은 시작부터 뜨겁다. 정부의 공공재개발은 서울에서만 24곳이 참여하고 있다. 

4곳의 공공재건축도 추진 중이다.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 역시 1차 공모에 102곳의 재개발 지역이 몰렸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25곳 정도로 추려 최종 후보지를 확정할 계획이다.

하지만 드러난 숫자로 보여지는 팽팽한 대결 양상과 달리, 정부와 서울시 두 가지 선택권을 쥔 현장 주민들의 반응은 다소 서울시 쪽으로 기우는 모습이다. 개인 재산인 땅과 집의 ‘공공성’을 앞세운 현 정부 정책에 대한 불만과 불안감이다.

여의도에서 준공 40년이 넘은 아파트에 살고있는 한 주민은 “땅값 비싼 여의도에 공공재건축은 애초 불가능한 제안이었다”며 “민간 재건축을 빠르게 진행해준다는 신속통합기획에 기대감을 갖고있다”고 말했다. 

대치와 압구정, 잠실, 여의도 등 대규모 아파트 단지 뿐 아니라 강북의 많은 재개발 지역이 오세훈 표 신속통합기획에 열광하는 이유다.

심지어 성동구 하왕십리와 마포구 대흥5구역 등에서는 정부의 공공재개발에 참여했다,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으로 돌아선 곳도 나오고 있다.

이 같은 신속통합기획의 인기에 민주당의 견제도 시작됐다. 

장상기 서울시의회 의원은 지난 4일 열린 도시계획국 행정사무감사에서 “서울시 전역이 신속통합기획 민간개발로 몰리면서 저층주거 밀집지역 주민들의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며 “기존 공공재개발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라”고 대립각을 세웠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사랑하며 21-11-15 09:51
   
호로파 21-11-15 11:12
   
오세훈표 공공으로 여권공공의 매매시  현금청산이란 강수도 무력화 되버렷음
입주때까지 매매 못하는 정부공공 매매가 자유로운 오세훈표 공공
누굴 선택할지는 명확한거 아님?
 
 
Total 16,5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9737
14502 [전기/전자] 인도 "中화웨이 OUT"..반중정서 수혜자는 삼성? (4) 스크레치 08-25 1410
14501 [잡담] 한국 인구 문제와 암울한 미래 (15) 김너겟 02-24 1410
14500 [자동차] 폭스바겐, 中 배터리 제조사 최대주주 등극 (1) 스테판 04-12 1410
14499 [잡담] 최저임금 29% 오를 때, 빈곤층 소득 29% 줄었다 (6) 니하 08-22 1411
14498 [기타경제] 재난 지원금은 특정인들 돈찬치? cjfekdrks 01-13 1411
14497 [전기/전자] 삼성 3분기도 인텔제치고 반도체 1위 유력 (2) 스크레치 08-21 1411
14496 [주식] 연준 2조 3천억불 유동성 공급 바추카포 쏘다 (6) Banff 04-10 1412
14495 [과학/기술] 전기차. 배터리 싸움, 한국이 일본 압도. K-배터리 美 장… (2) FOREVERLU.. 05-24 1412
14494 [기타경제] 코스닥 사이드카 발령 (5) 기구수 08-05 1413
14493 [기타경제] 중부발전, 국내 최초 유럽 풍력발전 진출 (4) 귀요미지훈 11-07 1413
14492 [기타경제] 유튜브, 동영상 앱 압도적 1위...2~6위 뭉쳐도 '깨갱 (4) 야놉스 07-29 1413
14491 [자동차] "테슬라 잡아라"..中 전기차 스타트업 大戰 (2) 스크레치 09-28 1413
14490 [잡담] 하이닉스 파운드리 중국공장 22년 상반기 가동 (1) 유기화학 02-05 1413
14489 [전기/전자]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퀄컴이 엔디비아의 Arm 합병에 항… (5) 마술피리 02-13 1413
14488 [잡담] 인텔, 파운드리 tsmc,삼성 잡을수 있을까 (9) 유기화학 03-27 1413
14487 [부동산] 공급대책 엇박자…與-野 대리전으로 번진 재개발·재건… (2) 사랑하며 11-15 1413
14486 [잡담] EUV 장비 제작의 국제적 협업과 중국 반도체 굴기 (2) 강남토박이 05-06 1413
14485 [과학/기술] 악재에도 돈 몰린다..K바이오 1兆 투자시대 (2) MR100 08-01 1414
14484 [기타경제] 한화솔루션, 전량 日수입 '탄소분자체'…국산화 … (2) 스크레치 06-09 1414
14483 [잡담] 화이트리스트 재지정과 한일 반도체 협력의 의미 (2) 강남토박이 05-13 1414
14482 [과학/기술] [4차산업혁명 시작 '블록체인']글로벌 표준화...정… (3) 답없는나라 03-28 1415
14481 [기타경제] 2018년 나라별 인기 스마트폰 종류 및 시장점유율 (3) 남십자성 02-12 1415
14480 [전기/전자] LG 폴란드를 유럽배터리 전진기지로 만든다 (1) 스크레치 01-24 1416
14479 [기타경제] 삼성SDI, BMW·볼보·구글과 "심해저 광물 채굴 중단" 선언 (1) 스크레치 04-01 1416
14478 [전기/전자] "삼성, 美오스틴에 파운드리 공장 지을듯..20조 투자 유력 (1) 스크레치 05-21 1416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