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0-13 00:22
[전기/전자] GM 리콜 LG가 1.4조 부담..배터리 리스크 "터지면 조 단위"
 글쓴이 : 대팔이
조회 : 3,171  

잇따른 화재에 GM은 세 차례에 걸쳐 14만 대를 리콜했습니다.

[제시 오르테가/GM 볼트EV 수석엔지니어/지난해 11월 : "문제의 배터리는 공급업체인 LG화학이 한국 오창공장에서 생산했음을 확인했습니다."]

배터리 교체 들어간 비용만 1조 4천억 원.

배터리를 납품한 LG에너지솔루션과 제작에 참여한 LG전자가 이 돈을 모두 내기로 했습니다.

이미 올해 초 현대차 코나EV 리콜 비용 6천여억 원을 부담했던 LG에너지솔루션, 이번까지 합해 올해만 1조3천여억 원을 내게 됐습니다.

모회사인 LG화학이 지난해 거둔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이 넘는 금액입니다.

LG전자 역시 이번 리콜 비용으로 3분기 영업이익이 반토막 났습니다.

https://news.v.daum.net/v/20211012214952809


잘나갈때 조심해야한다...
한번에 훅 갈수 있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카카로니 21-10-13 00:26
   
업보지. 비싸게 팔아먹는만큼 그만한 댓가를 치르는게 배터리시장 더 뚜들겨 맞아야 제대로된
배터리를 만들수있는 분위기가 만들어지는것. 지금이 그 시기라고 봄.
     
dlrjsanjfRk 21-10-13 01:53
   
그 시기는 지금도 하고있습니다. 안전한 배터리을 만들어서 공급만하면 그거하나만으로도 게임체인져가 되는데, 어떤기업이 가만있겠습니까. 각 나라마다 연구에 매친하고있을겁니다. 문제는 너무 빨리 확장하다보니, 문제가 생긴거라 보여집니다. 중국이 너무 커져버렸으며, 점유율을 따라갈려다보니, 확장을 하게된거죠. 거기다 희토류도 수입하는 상황. 이제는 원재자까지 상승해버렸습니다. 대체물질을 만들어질때까지 ,한동안 계속 이상태로 갈겁니다. 아니면 더 올라갈수도 있습니다. 천연가스,원유도 상승해버렸으니깐요.
노원남자 21-10-13 01:59
   
엘지베터리는 못박아도 안터진다고 공개영상도 나왔었는데 자동차용은 터지는건가..
     
dlrjsanjfRk 21-10-13 02:01
   
예전에 나온것들일겁니다. 제품은 버전업이되면서 점점 안전하게 바뀌니깐요. 차라리 배터리을 교체할수있는 방향으로 가야하지않나 싶네요. 문제가 있거나, 의심쩍으면 교체할수있게 말이죠. 배터리 기업은 교체만 해주면 그만이니깐요. 일체형이면,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그상태로 사고가나버리는거죠.
     
푸른마나 21-10-13 06:44
   
비용절감으로 가격이 싼 업체 부품을 쓰면서 문제가 생겼을 확률이 높죠...
문제는 배터리같은 경우 20년동안 안바뀔수도 있는데 이 기간동안 안전한지는 아직 검증이 안된 상황이죠..얼마든지 저런 악재가 계속해서 터질 확률이 높죠..

요즘 가끔 나오는 냉장고 발화사건의 원인이 대부분 10년정도 지난 콘덴서 문제인것처럼요...

제 생각은 차라리 배터리 내부에 안전장치를 만들어서 뭔가 이상이 생기면 배터리 충전이 안되게 만들어 버리는것도 한방법이라고 생각하네요..이럴경우 고장이라는 개념으로 바꾸면 되니 고객은 as센터 와서 교체할테고 화재도 안날테니 대량 리콜은 비켜갈수 있으닌까요..
한이다 21-10-13 09:51
   
터지지 않는 배터리가 개발될때까지 계속 부담을 안고 갈 수 밖에..
그런게 있을지 모르겠지만..
탱글곰 21-10-13 16:42
   
4-5년전 휴대폰 발화 엄청 많았잖아요. 그거의 확장?, 대형화로 보면됌..
요즘은 휴대폰 발화 거의 없잖아요. 차도 슬슬 안정화 단계로 넘어가는걸로 보임...
     
푸른마나 21-10-13 16:58
   
휴대폰은 자동차 사고와 같은 큰충격을 받을일이 거의 없죠... 자동차의 경우 사고로 인한 충격으로 화재사고가 날 확률이 엄청나게 높다고 봐야죠...
그리고 그런 경우가 1년에 몇번만 생겨도 해당 배터리 탑재한 차는 안타려고 할겁니다...

자동차 배터리 사업은 선두업체가 망할 확률이 상당히 높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 배터리 사업은 처음엔 작게 운영하면서 기술력만 높이다가 확신이 섰을때 설비를 확장시켜서 선두를 탈환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하네요..
중고인생 21-10-14 20:28
   
제작년에 현다이 코나사건때만해도 현다이 잘못이라고 하는사람들이 많앗죠?

바로 과충전 방지시스템이 안좋아서 기술력이 딸려서 그렇게 알려졋지만

감정결과는 LG의 밧데리 분리막에서 원인이 나와서 불이낫다고 햇엇죠

근대도 아직 LG는 이 분리막을 아직도 중공제를 씁니다 얼마나 더 물어줘야 정신차릴까요???

더군다나 GM같은 거대기업을 안앗지만 돈보다도 이미지 신뢰가 깨지면 정말 LG 로써는 큰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빨리 분리막업체를 바꾸던지 아니면 자체생산을 하던지 해야할겁니다

계속 똥고집 부리면서 밧데리 가격낮출거라고 중공제 분리막 쓰다가는 잘못하면 CATL 또는 SK 삼성한테까지

밀리게 될지도 모릅니다

빨리 정신을 차려야할텐데 이런게 바로 잘목하면 죽쒀서 개주는 꼴 나는겁니다
새끼사자 21-10-18 15:30
   
리스크는 오픈하고 터는 순간 리스크가 아닌 것이 되버리는게 주식판...
결국 GM문제 오픈해버리고 돈 낼께 해 버리니까 올라감...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664
14458 [잡담] 삼성 인텔,tsmc에 영업이익 기술 모두 밀린다 (16) 냉철한분석 11-01 5385
14457 [기타경제] 대만 국민소득 한국 추월 임박... (32) 냉철한분석 11-01 6065
14456 [잡담] 넷플릭스와 한국 기업협업으로 놀이동산, 만들면 좋… (10) 조지아나 11-01 3159
14455 [잡담] 오징어 게임의 영희 의상은 왜 팔지 않을까요? (5) 조지아나 10-30 6238
14454 [기타경제] 독일언론 "중국과의 디커플링, 예전같지 않은 미국" (17) 달구지2 10-29 8166
14453 [과학/기술] 현대제철, 3Q 영업이익 8000억 넘었다..역대 최대 (1) 꼬마와팻맨 10-28 2709
14452 [전기/전자] LG전자, 매출 70조 눈 앞..글로벌 가전 경쟁력 입증 (1) 꼬마와팻맨 10-28 3511
14451 [기타경제] 미국, 사회복지 위해 `억만장자세` 도입 검토 중 (8) 사랑하며 10-28 1926
14450 [전기/전자] 세계 반도체 시장도 AI 패권 경쟁 중 (6) 사랑하며 10-28 2214
14449 [전기/전자] 국내 배터리사, 글로벌 시장서 순항..LG엔솔 2위, SK·삼성 … (1) 꼬마와팻맨 10-28 1980
14448 [부동산] 국토교통부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 (2) 사랑하며 10-28 1607
14447 [전기/전자] 삼성전자 연 매출 300조 넘본다..메모리·스마트폰·OLED 활… (3) 꼬마와팻맨 10-28 1993
14446 [전기/전자] 삼성전자, 반도체-폰 두날개로 3분기 73조9천800억원 매출.… (2) 꼬마와팻맨 10-28 1353
14445 [전기/전자] "반도체 강국 못 된다"…TSMC 창업자, 美 정부·인텔에 쓴… (24) 달구지2 10-27 7725
14444 [기타경제] 중국… 투자 늘렸다가 중국 공산당 ‘인질’ 될 수도 (10) 사랑하며 10-27 4303
14443 [전기/전자] 미국 이례적인 반도체 영업비밀 요구에 업계 당혹감 (5) 달구지2 10-27 4871
14442 [잡담] 한국의 비전에 최대악은 사교육 (38) 땡말벌11 10-26 5096
14441 [기타경제] 韓 가입에, "시큰둥日...CPTPP 가입 가능 할까".. (88) 스쿨즈건0 10-24 14834
14440 [전기/전자] 日,대만 TSMC 공장유치 논란 비판여론 확산 (22) 파생왕 10-23 9284
14439 [전기/전자] 러시아서 삼성폰 판매금지 판결 "삼성페이 특허 침해… (10) 스쿨즈건0 10-23 7814
14438 [잡담] . (26) pasa 10-22 3270
14437 [잡담] 다 깨져버린 공급망 (12) 혜성나라 10-22 9345
14436 [기타경제] 중국의 전력 문제 주먹구구 계산 (15) 이름없는자 10-22 5197
14435 [기타경제] <중국의 항복> '전력난' 중국, 미국 LNG 대량 … (13) Real블루 10-22 5587
14434 [전기/전자] SK하이닉스, 1초에 영화 163편 처리하는 HBM3 D램 개발 (2) 카카로니 10-20 5119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