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10-16 03:38
[잡담] 오징어 게임 소품 저작권_비닐로 싸여진 술래인형 (ft.대만, 스페인, 강원랜드)
 글쓴이 : 조지아나
조회 : 4,890  


오징어 게임   모든 저작권은  넷플릭스에 있습니다.
컨텐츠 저작권 관련하여 (장소,소품)등의   최소 국내  지적재산권은  문화 관광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해줬으면 합니다.  
  문화관광부가  국내 지적재산권을 구매하여  타 사업자에게 재판매 할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강원랜드  워터파크  etc

  오징어 게임 시즌 1의 경우는  컨텐츠 제작업체가  모든 지적재산권을   넷플릭스에 판매 하였지만..
  시즌 2의 경우   문화관광부가  계약과정에서    일정부분 역활 할수 있다고 판단됩니다.


 무형의 문화 상품으로,  관광상품과 연계할수 있습니다.

 국내  오징어 게임  "술래잡이" 인형은  비닐로 밀봉하고 
 대만의 경우  넷플릭스에서 홍보용으로  거대한 술래인형을  전시 중입니다.(잘못된 정보 정정합니다.)
 합성,   지역도 홍콩 

넷플릭스의 의중을 모르겠군요.

 관련기사 1개 ,   관련영상 3개 ( 대만, 스페인,  강원랜드 워터파크 ) 


비닐로 꽁꽁 싸매진 '오징어 게임' 술래 인형…무슨 일?
기사입력 2021.09.30.

 -  중 략 - 
박물관 측은 지난 17일 드라마가 공개된 후 10여 일 동안 협의 없이 인형을 일반에 공개해 왔다. 앞서 인형 제작사는 평소 친분이 있던 진천 마차 박물관에 해당 인형을 맡긴 것으로 알려 졌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캡처)
이후 박물관 관람객들을 통해 ‘오징어 게임’ 속 술래인형을 봤다는 사진과 글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확산되면서 큰 관심을 모았다.

이에 박물관 측은 과도한 관심을 우려해 술래인형을 치우기로 했으며, 이 과정에서 오른손이 파손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오른손의 행방도 화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 이하 생략  - 

끝.

넷플릭스 홍보용_ 대만의 해당지역 랜드마크가 되어버린 술래잡이 인형(합성_홍콩 정정) 

set playing point    after 7분 24초 

조회수 42,822회      
최초 공개: 2021. 10. 14.



조회수 96,785회   
2021. 10. 14.



조회수 19,835회  
2021. 10. 14.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조지아나 21-10-16 08:35
   
대만의  술래잡이 인형은 합성 이라고 합니다. ~  지역도  대만이 아니고 홍콩입니다.
  게시글 정보 일부 정정 합니다.
카카로니 21-10-16 09:56
   
도박쟁이들이 돈 잃고 태평하게 물놀이하고 자빠지겠냐 ㅋㅋ돈 잃고 바로 한강다리 가기 바쁘지 ㅋㅋ
 참 돈 쉽게 버니까  헛군대 쓰기 바쁘네 ㅋㅋ
박수세번 21-10-16 13:25
   
토건족, 적자는 자신들과는 상관 없으니까...
 
 
Total 16,50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7729
14458 [잡담] 삼성 인텔,tsmc에 영업이익 기술 모두 밀린다 (16) 냉철한분석 11-01 5385
14457 [기타경제] 대만 국민소득 한국 추월 임박... (32) 냉철한분석 11-01 6065
14456 [잡담] 넷플릭스와 한국 기업협업으로 놀이동산, 만들면 좋… (10) 조지아나 11-01 3159
14455 [잡담] 오징어 게임의 영희 의상은 왜 팔지 않을까요? (5) 조지아나 10-30 6238
14454 [기타경제] 독일언론 "중국과의 디커플링, 예전같지 않은 미국" (17) 달구지2 10-29 8167
14453 [과학/기술] 현대제철, 3Q 영업이익 8000억 넘었다..역대 최대 (1) 꼬마와팻맨 10-28 2709
14452 [전기/전자] LG전자, 매출 70조 눈 앞..글로벌 가전 경쟁력 입증 (1) 꼬마와팻맨 10-28 3511
14451 [기타경제] 미국, 사회복지 위해 `억만장자세` 도입 검토 중 (8) 사랑하며 10-28 1926
14450 [전기/전자] 세계 반도체 시장도 AI 패권 경쟁 중 (6) 사랑하며 10-28 2215
14449 [전기/전자] 국내 배터리사, 글로벌 시장서 순항..LG엔솔 2위, SK·삼성 … (1) 꼬마와팻맨 10-28 1981
14448 [부동산] 국토교통부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2… (2) 사랑하며 10-28 1607
14447 [전기/전자] 삼성전자 연 매출 300조 넘본다..메모리·스마트폰·OLED 활… (3) 꼬마와팻맨 10-28 1993
14446 [전기/전자] 삼성전자, 반도체-폰 두날개로 3분기 73조9천800억원 매출.… (2) 꼬마와팻맨 10-28 1353
14445 [전기/전자] "반도체 강국 못 된다"…TSMC 창업자, 美 정부·인텔에 쓴… (24) 달구지2 10-27 7725
14444 [기타경제] 중국… 투자 늘렸다가 중국 공산당 ‘인질’ 될 수도 (10) 사랑하며 10-27 4303
14443 [전기/전자] 미국 이례적인 반도체 영업비밀 요구에 업계 당혹감 (5) 달구지2 10-27 4871
14442 [잡담] 한국의 비전에 최대악은 사교육 (38) 땡말벌11 10-26 5097
14441 [기타경제] 韓 가입에, "시큰둥日...CPTPP 가입 가능 할까".. (88) 스쿨즈건0 10-24 14834
14440 [전기/전자] 日,대만 TSMC 공장유치 논란 비판여론 확산 (22) 파생왕 10-23 9284
14439 [전기/전자] 러시아서 삼성폰 판매금지 판결 "삼성페이 특허 침해… (10) 스쿨즈건0 10-23 7814
14438 [잡담] . (26) pasa 10-22 3270
14437 [잡담] 다 깨져버린 공급망 (12) 혜성나라 10-22 9345
14436 [기타경제] 중국의 전력 문제 주먹구구 계산 (15) 이름없는자 10-22 5197
14435 [기타경제] <중국의 항복> '전력난' 중국, 미국 LNG 대량 … (13) Real블루 10-22 5587
14434 [전기/전자] SK하이닉스, 1초에 영화 163편 처리하는 HBM3 D램 개발 (2) 카카로니 10-20 5119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